분류 전체보기 7674

제3대 이승만대통령 취임사

제3대 이승만대통령 취임사 (1956년 8월 15일 수요일) 나의 사랑하는 동포 여러분! 내가 오늘 또 한번 우리 민중 앞에 서서 대통령 취임 선언식을 제3차로 행하게 된 것입니다. 우리 동포들이 나의 지도에 신념을 표시한 것에 대해서 내가 겸손한 마음과 영광스러운 뜻으로 평화할 때에나 전쟁 중에서나 또 국내 국외의 관계를 막론하고 우리 민족의 복리를 위해서 내 성심과 능력을 다하기를 맹서하는 바입니다. 이 다음 4년은 우리 역사에 제일 긴절한 시대입니다. 우리가 앞에 당한 여러 가지 큰 문제를 위해서 많은 희생을 당하며 여기까지 나온 역사를 대강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한 것입니다. 우리의 제일 긴급하고 절박한 문제는 통일입니다. 한국이 분열된 것을 잠시라도 그저 두는 것은 우리나라 국민에게 불공평한 것..

제2대 이승만대통령 취임사

제2대 이승만대통령 취임사 (1952년 8월 15일. 금요일) ˝오늘 취임식에서 내가 다시 지게되는 책임은 내가 할 수만 있으면 지지 않았을 것입니다. 지나간 4년 동안에 행한 정부 일은 쉬운 일이 아니었던 것입니다. 이 앞으로 오는 일이 좀 쉬우리라고는 볼 수 없는 터입니다. 우리 사랑하는 민국(民國)이 이 위험한 때를 당해서 정부관료나 일반 평민이나 너나를 물론하고 누구나 각각 나라의 직책과 민족의 사명 외에는 다른 것은 감히 복종할 생각도 못할 것입니다. 우리 생명도 우리의 것이 아닙니다. 우리 앞에 당한 노력과 고초를 우리들이 피하고 우리 몸의 평안과 마음에 원하는 것을 감히 생각도 할 수 없는 것입니다. 노소를 막론하고 할 수 있는 대로는 우리의 최선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밖에서 노력해서 이남..

제레 순서

■ 제례순서 영신(迎新)->강신(降神)->참신(參神)->초헌(初獻)-> 독축(讀祝)->아헌(亞獻)->종헌(終獻)->첨작(添酌) ->삽시정저(揷匙正著)->합문(闔門)->계문(啓門)->진다(進茶)->철시복반(撤匙覆飯)->음복(飮福)->철상(撤床)->사신(辭神) 먼저 대문을 열어 놓는다. 제상의 뒤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상 위에 제수를 진설한다. 지방을 써 붙이고 제사의 준비를 마친다. [1]영신 먼저 대문을 열어 놓는다. 제상의 뒤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상 위에 제수를 진설한다. 지방을 써 붙이고 제사의 준비를 마친다. 고례(古禮)에는 출주라 하여 사당에서 신주를 모셔 내오는 의식도 있었다. [2]강신(降神)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이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꿇고 앉아 향로에 향을 ..

초대 이승만 대통령 취임사

[취임식 개요] 초대 이승만대통령은 1948년 7월 20일 국회에 의해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1948년 7월 24일 당시 국회의사당으로 사용되던 중앙청(옛 조선총독부) 광장에서 우리나라 헌정사상 최초의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대통령 취임식은 개식, 애국가제창 및 국기에 대한 경례, 취임선서, 대통령 취임사, 부통령 취임사, 축사 및 축전 낭독, 만세삼창, 폐회 등의 식순으로 진행되었다. -------------------------------------------------------------------------------------------------------------------------------------- ■ 초대 이승만 대통령 취임사(1948년 7월 24일 토요일) 여러번 죽었던 이 ..

족보란 무엇인가?

1.족보란 무엇인가? 족보(族譜=譜牒)란 한 종족(宗族)의 계통을 부계(父系) 중심으로 알기 쉽게 체계적으로 나타낸 책으로, 동일혈족(同一血族)의 원류를 밝히고 그 혈통을 존중하며 가통의 계승을 명예로 삼아 효의 근본을 이루기 위한 집안의 역사책이다. 2.족보의 기원 보첩(譜牒=譜牒)은 원래 중국의 육조시대(六朝時代)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는 제왕연표(帝王年表)를 기술한 것이었으며, 개인적으로 보첩(譜牒)을 갖게 된 것은 한(漢)나라때, 관직 등용을 위한 현량과(賢良科) 제도를 설치하여 응시생의 내력과 그 선대(先代)의 업적 등을 기록한 것이 시초가 된다. 특히 북송(北宋)의 대문장가인 삼소『三蘇=소순(蘇洵), 소식(蘇軾), 소철(蘇轍)』에 의해서 편찬된 족보는 그 후 모든 족보편찬의 표본이 되었다. 우리나..

족보(族譜)의 의의(意義)

■ 족보(族譜)의 의의(意義) 잠이 오질않아 컴에 앉아 몇자 적습니다만 시간이 되면 앞으로 보(譜)에 대하여 우리 생활에 참고 될만한 용어들만 추려서 간단 간단히 글을 올려볼까 합니다. 오늘날 많은 젊은이들이 일가족(族)의 계보(系譜)인, 족보란 말만 하면 조선시대의 유물론으로 치부하며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물론 우리집 아이들도 말할것 없습니다. 그러나 보(譜)의 의미는 적록(籍錄) 한다든가, 또는 어떤 사물의 계열을 포열(布列) 한다는 말로서 우리 인간에게 해당되는 혈통적(血統的)인 문제를 놓고 하는말 입니다. 가계(家系)는 혈통(血統)과 상관(相關)된 관계를 지니고 있으므로 이는 동족(同族)의 단결과 보다 나은 활동을 추진하기 위한 씨족(氏族)의 보감(譜鑑)으로서, 즉 보(譜)란? 인간관계(仁間關係..

남이 나를 헐뜯을때와 칭찬할때.

[해설] 이글은 지금으로부터 약 400년 전 조선시대의 문신 이시발 선생(李時發 先生)의 문집(文集)벽오유고(碧梧遺考)에 남긴 글로서 우리가 일생을 살아가면서 아무리 조심해도 듣게 되는 타인의 험담이나 비난들을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하고 대처해야 되는지를 잘 나타내는 가르침으로 오늘날 우리들은 주변의 비난에 너무 지나치게 예민하고 칭찬에 또한 우쭐대는 현대인들에게 귀담아 들어야 하는 이야기로 소개 하고자 한다. ------------------------------------------------------------------------------------------------------------------------------------------------------ 남이 나를 헐뜯을 때와 칭찬할..

김포시 상공인 신년 인사회 정치인 많이참석.

오늘 오후4시 김포시청 대회의실에서 김포지역 상공인 신년 인사회가 개최 됬다. 김포시 각 기관장 및 유관 단체장 그리고 시의원과 상공인을 비롯하여 손학규 경기도지사.유정복 지역국회의원,남경필 국회의원, 김문수 국회의원 전재희 국회의원,김영선 국회의원등 약150명이 참석했다. 이체로운 것은 예년과는 달리 경기도의 총49명 국회의원(서울시 국회의원수 보다 1명 많음)중 5 명이나 참석 하셨으니 경기도 국회의원의 10.2%가 참석한 셈이다.ㅋ

치우(蚩尤) - 중국의 고대 신화에 나오는 인물.

■ 치우[蚩尤] - 중국의 고대 신화에 나오는 구려족의 우두머리 ↑치우 상(蚩尤 像) 중국의 고대 신화에 나오는 전설상의 인물로 구려족(九黎族=중국의 소수민족의 하나인 리족(黎族, Li people)의 우두머리로서 황제(皇帝)와 전쟁을 벌였다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그는 염제(炎帝)의 후예인데, 81명의 형제가 있었다고 한다. 모두 동(銅)으로 된 머리와 철로 된 이마를 가지고 있었고, 머리 위에는 긴 뿔이 있었으며, 매우 모질고 사나웠다고 한다. 과(戈)·모(矛)·극(戟)·추모(酋矛:자루의 길이가 스무자인 창)·이모(夷矛) 등의 병기를 만들었다. 황제(黃帝)와의 전쟁중에 과부족인(夸父族人)·풍백우사(風伯雨師)·이매망량(魑魅魍魎:도깨비)의 도움을 받았다. 치우는 연기를 빨아들이고 안개를 뿜으며, 공중을 ..

황제헌원(皇帝軒轅) - 중화민족의 시조로 추존.

■ 황제헌원(皇帝軒轅) - 중화민족의 시조로 추존. ▲황제헌원(皇帝軒轅) 황제(皇帝)는 중국의 전국시대 이후로 문헌에 등장하는 제왕(帝王)중 첫 번째 제왕으로 삼황(三皇)에 이어 세상(중국)을 다스렸다고 한다. 황제 헌원씨(皇帝軒轅氏)라고도 한다.「황제(皇帝)」의 명칭은 제위시 황용(黃龍)이 나타나 토덕(土德)의 상서로운 징조가 있다고 하여 붙여졌다[오행설에 황색은 흙에 해당된다] 도교(道敎)의 시조로도 추앙 받고 있으며, 죽어서 신(神)이 되었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한 대의 사마천이 저술한 역사서 《사기(史記)》에 의하면 그는 소전(少典)의 아들로, 성은 공손(公孫), 희(姬)라고도 하며,이름은 헌원(軒轅)이고, 치우[蚩尤: 중국의 전설상의 인물. 81명의 형제가 있었는데, 모두가 동(銅)으로 된 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