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674

만주군 예비소위 박정희.

↑최초로 고개 되는 만주군 ‘예비소위’ 박정희의 모습 위의 사진은 박정희가 만주 군관학교와 일본육사(본과) 졸업 후 2개월간의 사관 견습을 마치고 소위로 임관하기 직전인 1944년 6월말 일본군 소조(상사에 해당) 복장으로 찍은 것이다. 당시 만주군 장교는 어께에, 일본군장교는 목 칼라에 계급장을 달았다. 배 부위의 둥근 버컬은 장교를 나타내는 장교대로 견습사관 시절에는 윗옷의 겉에 착용하다가 임관 직후에는 허리띠에 부착 사용했다. 어께의 대각선 가죽띠는 작전명령서와 지도, 색연필 등을 넣고 다니던 즈노. [사진 출처>인터넷 ]

이석규(李錫奎)

■ 이석규(李錫奎) [세계] 상서공후 백사공파 [생졸년] 1758년(영조 34)~1839년(헌종 5) / 수(壽)는 82歲 ------------------------------------------------------------------------------------------------------------------------------------- 초명은 영석(永錫, 자(字)는 치성(어릴치,成), 호(號)는 동강(東江)이며 이항복(李恒福)의 7대손으로 경관(敬寬)의 아들이다.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서울에서 거주 하였다. 1783년(정조 7년),사마시에 합격하여 참봉을 거쳐 고양 군수를 지냈다. 1807년 알성 문과 을과에 급제 비변사낭관을 거쳐 1810년에 낙원부제조(樂院副提調)로 가선대부에..

이경령(李慶齡) 여사 80회 생신 잔치

■이경령(李慶齡) [생졸년] 1896. 12. 10 ~ 1976. 3. 25 이경령여사 80회 생신 잔치(1975년 1월 22일 수요일) / 육영수 여사의 생모 행사순서 . -생신잔치, 손님입장. -이경령여사 입장, 손님들 박수. -선물, 기뻐하는 이경령여사, -이경령여사와 박정희 대통령 케? 커팅 -자손들 인사, 식사와 담소. -이경령여사의 답례말씀 -손님 중 한 사람이 `백마강` 노래, 앵콜 `사공의 뱃노래` -사회자의 진행으로 노래하는 사람들. -박지만(아들)의 새마을의 노래, 손님들과 다같이 합창 -이어지는 손님들 노래 (흘러간 두만강 등등..) -박정희 대통령의 노래(고복수의 `짝사랑`) -박근혜(장녀)의 새마을의 노래, 손님들과 다같이 합창 이 영상은 고(故) 박정희대통령의 장모님 생신 행사 ..

이상설의 봉밀산(蜂蜜山) 독립기지 개척

이상설의 봉밀산(蜂蜜山, 펑미산) 기지 개척 독립운동기지의 이전 거주 전에 우수리강 및 흑룡강 양안 남북 일대로 옮길 것을 결정하고 중아(中俄)한 양국 정부에 양해와 지원을 얻어 교포들의 이주를 장려하여 일대 독립기지를 형성하여 놓았다. ....(중략).... 이리하여 항카호 연안의 이류가(伊柳街)와 그 대안 쾌상별백포자(快常別 白泡子)의 일대에 각각 수 백호를 이주시켰으며, 다시 흑룡강과 송화강이 합류되는 양강구(兩江口) 서북쪽 조운현(鳥雲縣) 전역에 亘(뻗칠 긍)하여 鳥拉까河를 중심으로 수백호를 정착시켜 개간케 하였으니....지리적 조건이 독립운동 기지로 적(適)한 곳이다. (姜相遠 「李溥齋先生略史草案」중에서) --------------------------------------------------..

이문형(李文炯)

■ 이문형(李文炯) [세계] 22世 익재공후 청호공파 [생졸년] 미상~1466년(세조 12) [문 과] 世宗 29年(1447년) 丁卯 式年試. 丁科. 19등/33명 ------------------------------------------------------------------------------------------------------------------------------------- 관향(貫鄕)은 경주(慶州)로 담(談)의 손자요, 관찰사 희(田+喜)의 아들로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세종29년(1447) 궁직(宮直)으로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문종2년(1452), 세종실록 편찬에 참여 하였고, 1453년 정랑, 1460(세조6)년 시(詩)를 잘 지은것이 계기가 되어 승지로 발탁 되었고, 예..

광주 진압 공수부대 대대장 수기

이 글은 광주 민주화 운동 진압작전에 참여했던 박종규 당시 3공수여단 15대대장(중령)의 체험기다. 박종규 대대장은 자신이 광주 시내 일원에서의 체험을 군인 입장에서 기술하고 있다. 이 글을 통해 공수부대가 광주에서 어떤 방식으로 시위를 진압했으며, 시민들은 어떻게 대응했는지, 광주교도소로의 철수, 이후의 진압작전은 어떻게 전개됐는지를 알 수 있다. 자료는 육군본부가 펴낸「역사자료」에 들어있는 내용이다. -------------------------------------------------------------------------------------------------------------------------------------- 광주 진압 공수부대 대대장 수기 박종규 당시 3공수여단 15대대..

이기룡(李起龍),

■ 이기룡(李起龍), [생졸년] 1600년(선조 33)~1643년(인조 21) ------------------------------------------------------------------------------------------------------------------------------------- 자는 군서(君瑞), 호(號)는 범은(凡隱), 동비야인(東鄙野人)으로 화원 홍규(泓虯)의 아들로 경주이씨(慶州李氏)이다. 조선 중기의 화원으로 도화서 교수(圖畵署 敎授)를 지냈다. 1643년 통신사행의 수행화원으로 김명국(金明國)과 함께 일본에 다녀왔다. 그의 유작으로 1629년 서울 남대문 밖 남지(南池)에 12명의 기노(耆,老)들이 모여 계회를 열었떤 광경을 그린 기념화, 남지기노회도(南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