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674

우려되는 드라마 " 주몽 "

[특집1] 우려되는 드라마"주몽" 김운회(동양대 교수) 1. 화제의 드라마 "주몽" MBC 창사 45주년 특별기획드라마 ‘주몽’이 화제가 되고 있다. 이 드라마는 총제작비가 300억원에 이르고 총 60회 장편 대서사시로 계획되어있다고 한다. 그러면서 이 드라마는 고구려의 시조 주몽과 한민족 최초의 국모이자 여걸인 소서노의 꿈과 사랑을 그린 블록버스터 사극이라고 한다. 벌써부터 ‘국민드라마’라는 말 이 나오고 있고 "주몽 폐인"이 생길 정도로 인기 몰이를 하고 있다. 동북공정으로 시끄러운 작금의 상황을 고려한다면, 우리 민족 영웅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가 성공적으로 시작되었다는 것은 일단 축하할 일은 분명하다. 2. 우려되는 드라마 "주몽" 그러나 인기를 떠나서 냉정히 바라보면 이 드라마는 상당히 심각한 ..

호계공 이을규(虎溪公 李乙奎)

■ 22世 이을규(李乙奎) [세계] 경주이씨 판전공파 [생몰년] 1508년(중종 3) ~ 1545년(명종 1) / 향년 38세 [문과] 중종(中宗) 30년(1535) 을미(乙未) 알성시(謁聖試) 갑과(甲科) 1[장원(壯元)]위 [생원진사시] 중종(中宗) 26년(153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3등(三等) 14위 ----------------------------------------------------------------------------------------------------------------- 字(자)는 문경(文卿), 호(號)는 호계(虎溪), 양졸당(養拙堂). 1531년(중종 26)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535년(중종 30)에 별시문과(別試文科) 장원(壯元)으로 급제, ..

복수(福壽) - 가야(伽倻) 사람

■ 복수(福壽). 생몰년은 알 수 없다. 가락국(駕洛國), 좌지왕의 비(妃)로 대아찬 도령(道寧)의 딸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의하면 좌지왕이 즉위 초에 미천한 여인 용녀(傭女)를 취(娶)하여 그의 일족에게 벼슬을 내리니 나라가 소란했다. 그리하여 좌지왕은 용녀를 하산도(荷山島 : 위치는 미상)로 귀양 보내고 그녀 일족을 내쫓아 보낸 후 정치를 바르게 행하고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였다 한다. 아마 복수는 용녀를 내 쫓은 뒤 맞아들인 왕비로 추정되며 복수는 좌지왕의 아들 취희(吹希)를 낳았는데 그가 좌지왕의 왕위를 이어받아 제7대 취희왕이 되었다. 참고문헌 : 三國遺事, 三國遺事 考訂中(三品彰英), 原書房, 1979) - 權悳永

옥지(屋知) - 부여(夫餘) 사람

■옥지(屋知) 부여시대 사람으로 생몰년은 알 수 없다. 고구려 유리왕(類璃王)을 보좌한 사람으로 서기19년(동명왕 19),고구려 동명왕의 아들 유리(類利:琉璃王)가, 아버지를 찿아 부여에서 고구려로 갈 때 구추(句鄒),도조(都祖)와 함께 수행했다. 한편 유리가 고구려로 간 연대를 서기전 17년이란 설도 있다. 참고문헌 : 三國史記, 東國李相國集(徐永大)

이승증(李承曾)

■ 이승증(李承曾) [세계] 25世 교감공파(校勘公派) [생졸년] 1515(중종 10)~1599(선조 32) /수(壽) 85歲 [생원진사시] 명종(明宗) 13년(155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2위. / 합격연령 : 45세 -------------------------------------------------------------------------------------------------------------------------------------- 조선 중기의 의병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자(字)는 희로(希魯), 호(號)는 관란(觀瀾). 경주 출신이다. 아버지는 훈도(訓導) 계간(季幹)이고, 어머니는 영천이씨(永川李氏)이다.김대유(金大有)의 문인이다. 1558년(..

낙랑군과 낙랑국의 차이

■ 낙랑군과 낙랑국의 차이는 무엇인가 ㅣ 2004. 09. 30 :00:24 1. 독립된 나라인 '국(國)'과 한 나라의 행정구역인 '군(郡)'은 엄연히 다릅니다. 그런데 왜 낙랑'군'과 낙랑'국'을 구 분하지 않고 가르치십니까? 2.『삼국사기』「고구려본기」에 보면, 낙랑'왕'(王)인 최리(崔里)가 옥저 지방에서 고구려의 호동왕자를 만나 고 왕자에게 "혹시 북쪽 나라(북국. 北國) 사람이 아닌가?"하고 물은 뒤 그를 데리고 돌아와 사위로 삼지 않습 니까? 그렇다면 ― 낙랑왕은 고구려를 자기네 북쪽에 있는 나라로 보았으므로 ― 낙랑'국'(國)은 고구려의 남쪽에 있 어야 하지 않는가요? 따라서 평안도에 있는 낙랑 유물들은 낙랑'국'(國)의 유물이어야 하지 않습니까? 왜 이 것들이 낙랑'군'의 유물이라고 주장..

웅녀(熊女) - 고조선 시대 설화인물

■ 고조선의 웅녀 ◈시 대 : 고조선 ◈생몰년 : 미상 ◈활동분야 : 신화의 인물 생몰년은 미상으로 우리나라의 건국 신화인 단군신화에 나오는 우리민족의 시조모(始祖母)로, 우리민족의 시조인 단군왕검(檀君王儉)의 어머니라고 한다. (삼국유사) 고조선 왕검조선조(古朝鮮王儉朝鮮條)에 의하면 처음에는 곰이었으나 하늘에서 내려온 환웅(桓雄)에게 호랑이 한 마리와 함께 사람이 되도록 해달라고 빌어서 환웅으로부터 쑥 한줌과 마늘 20개를 받아서 먹고 삼칠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매, 문득 여자의 몸으로 변하였다. 그러나 호랑이는 실패하였다. 웅녀는 혼인해서 같이 살 사람이 없으므로 날마다 신단수(神壇樹)밑에서 아기배기를 기원하였다. 이에 잠시 변신을 한 환웅과 혼인하여 단군 왕검을 낳았다고 한다. 단군신화에서 등장하..

여옥(麗玉) -고조선시대의 설화 인물

■ 여옥(麗玉)-고조선시대의 설화 인물 ◈시 대 : 고조선 ◈생 몰 년 : 미상 ◈활동분야 : 설화의 인물 생몰년 미상으로 고조선시대의 뱃사공 곽리자고(霍里子高)의 아내. 서정가요 "공후인" (箜篌引)의 작자라고 전한다. "공후인"은 중국 진(晋)나라 때 최표(崔豹)가 지은 "고금주 古今注" 3권에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어느날 곽리자고가 강가에 나갔다가 강기슭으로 달려오는 머리가 하얗게 센 사나이를 보았다. 그 사나이는 아내의 만류를 뿌리치고 미친 듯이 강으로 뛰어 들어가 물에 빠져 죽었다. 뒤따르던 아내는 공후를 타면서 슬피 노래하다가 남편을 따라 강물에 몸을 던져 죽었다. 곽리자고가 집에 돌아와 아내 여옥에게 그 부부의 슬픈 운명을 이야기하니, 여옥이 이를 공후에 담아 노래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