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674

天休堂 李夢奎 行狀 - 상서공 후

[인물요약] ● 천휴당 이몽규(天休堂 李夢奎) [생졸년] 1510년(중종 5년) 2월 초6일 ~ 1563년(명종 18) 6월 1510(중종 5)~1563(명종 18)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인신(李仁臣)의 아들로, 종실이었던 이모부 흥녕부정(興寧副正) 이린(李磷)에게 출계[양자] 함. 사후에 명현(名賢)으로 평가받아 대사헌(大司憲)에 추증되었으며, 율곡 이이(李珥)가 지은 행장(行狀)과 잠곡 김육(金堉)이 지은 전기(傳記)가 있음. ---------------------------------------------------------------------------------------------------------------------------------------------------..

자라를 먹지않는 집.

■자라를 먹지않는 집 고려말 정승을 지내신 문충공 익재(益齋) 이제현의 7세손 공린(齊賢-達尊-德林-伸-繼蕃-尹仁-公麟)은 일찍이 사육신 박팽년(朴彭年)의 둘째 따님에게 장가 드셨는데 당시 청빈(淸貧)하기로 소문난 관찰사(觀察史) 윤인공(尹仁公)집에서 혼수 예물을 대광주리 하나에 면포 2단을 보냈다 한다. 이에 장모께서 예단이 이렇게 소흘함은 대가(大家)의 법도가 아니라며 크게 노하여 남편인 취금헌 박팽년(醉琴軒 朴彭年)공에게 파혼을 청했는데 취금헌 박공(朴公)은 사람만 좋으면 됬지 다른 무엇이 필요 한가며 아내 얘기를 물리치곤 혼사를 치뤘다 한다. 그런데 공린(公麟)깨서 장가든 첫날밤, 큰 자라가 나타나 "내 아들 8 형제를 살려 달라고 애원하니 깜짝 놀라 깨어보니 꿈이었다". 공(公)은 하도 꿈이 기..

반식재상(伴食宰相)

■ 반식재상(伴食宰相) 伴(짝반)食(먹을식)宰(재상재)相(서로상)자로 자리만 차지 하고있는 무능한 재상을 빗대어 이르는 말이다. 중국 당 나라 여섯째 황제인 현종(玄宗)이 양귀비(楊貴妃)를 총애 하다가 나라를 망친 황제로 유명 하지만, 그가 즉위 초에는 현인을 등용하고 문예를 장려하여 " 개원의치(開元의治)"라 불리 울 만큼 문물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현종은 당시 정권 탈취의 음모를 꾸미고 있던 태평공주(太平公主 : 측천무후의 딸)와 그 일파를 제거하고 연호도 개원(開元)이라 바꾸었다. 개원2년(713년), 현종은 과감한 개혁을 실시하였는데. 문무백관의 호사스러운 관복을 불살라 사치를 금하고, 조세와 부역을 줄여 백성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형벌 제도도 바로잡고, 부역을 면하기 위해 승적(僧籍)에 오른 자를..

이철견신도비(李鐵堅神道碑)

■ 양평공 이철견신도비(襄平公李鐵堅神道碑)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38호 명 칭 이철견신도비(李鐵堅神道碑) 분 류 석비 수 량 1기400㎡ 지정일 1995.05.12 소재지 대구 달성군 옥포면 강림리 731-1 소유자 경주이씨양평공파종친회 관리자 경주이씨양평공파종친회 이 비는 조선 성종(成宗)때의 공신인 이철견 장군의 신도비(神道碑)이다. 장군은 세조에서 연산군사이에 의금부사(義禁府事),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 호조판서(戶曹判書),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한성판윤(漢城判尹) 등을 지냈으며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웠다. 이 비는 비신(碑身)의 상부에 가로로 『양평이공신도비명(襄平李公神道碑銘)』이라 제(題)하였으며 홍귀달(洪貴達)이 짓고 안침(安琛)이 전액(篆額)과 본문(本文)을 썼..

삼복(三伏)

■ 삼복(三伏) 삼복(三伏)은 음력(陰曆)의 개념이 아닌 양력(陽曆)의 개념을 적용한 것으로 초복(初伏)은 하지(夏至)로 부터 세번째 돌아오는 경일(庚日)이고, 중복(中伏)은 네번째 경일(庚日)이며, 말복(末伏)은 입추(立秋)로 부터 첫번째 경일(庚日)이다. 그리고 경일(庚日)이란 60 甲子 중에서 경(庚)자로 시작되는 날을 말합니다. 그런데 삼복과 관련하여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 조선의 정조와 순조 시대의 학자인 홍석모의 저서를 말함)에는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복(伏)날 먹는 음식으로 개를 푹 삶아 파를넣고 끓인것을 개장이라하고 하는데 이것에 닭이나 죽순을 넣으면 더욱 좋고 또 개국에 고추가루를 타서 밥을 말아 시절(계절)음식으로 먹고 땀을 흘리고 나면 더위를 물리 치게되며 또한 몸이 허한것을 보강..

서전서숙 개숙 100주년 기념행사 파송 일정계획서

우선 수해를 입은 이재민 여러분의 빠른 피해복구를 기원합니다. 다름 아니옵고 이번 9월20일은 민족의 선각자, 보재 이상설 선생께서 중국의 만주 지역에 최초로 설립한 민족학교 서전서숙(오늘날 용정 실험소학교)개교 100주년 기념 행사가 있습니다. 당 사단법인 보재 이상설 기념사업회서는 이번 기회를 통하여 선생의 항일 유적 답사와 더불어 민족의 명산 백두산 천지와 북경의, 명13능, 만리장성, 자금성등의 여행을 아래와 같이 마련 하였사오니 관심있는 시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부부 동행은 더욱 좋습니다) (사)보재 이상설 기념사업회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 합니다. ATTN 이재훈 기획 이사님 귀하. FROM 지오 여행 클럽 TEL 02-2601-1454 이 광희 011-9888-0597 FAX 02-..

경주이씨 유래((慶州李氏由來)

↑시조공 께서 강림하신 광림대(光臨臺) ↑광림대 석혈(光臨臺 石穴) ↑閼平公(알평공)은 謁平公(알평공)의 오자임. ↑표암재(瓢巖齋)/所在地: 慶州市 東川洞 산16번지 所在地:慶州市 東川洞 산16번지丁巳年(1917) 2月 27日 창건발족(創建發起)하여 기성회(期成會)를 결성(結成)하고 8年에 걸친 공사로 강원도 강릉((江原道 江陵)에서 대관령 백송(大關嶺 白松)을 수운(水運)하여 건립(建立), 乙丑年(1925)에 준공(竣工)되었고 1971年에 중수(重修)하다. 매년 3월 중정(中丁)에 제향(祭享)을 드린다. ----------------------------------------------------------------------------------------------------------------..

상탕왕,상주왕,이윤,기자,비간 ,미자,반경,부열,달기,

■ 상탕왕(商湯王) 이름 이(履) 또는 천을(天乙) ·태을(太乙). 탕은 자이며, 성탕(成湯)이라고도 한다. 史記에 의하면 시조 설(契)의 14세에 해당한다. 商은 원래 夏의 속국이었는데 하왕조 말년 걸왕(桀王)이 학정을 하여 내부 모순이 극에 다달았으나 성탕은 유덕하여 백성들이 따르고 제후들의 대부분이 유덕(有德)한 성탕에게 복종하여 세력은 날로 증강하였다. 걸왕은 이를 눈치채고 성탕을 하대(夏臺)에 유폐하여 죽이려 하였으나, 재화와 교환하여 돌아온 후 하나라를 치기위한 준비를 하였다. 탕왕은 박에서 제후들을 소집하여 하나라 정벌이 청명임을 선포하고 현상(賢相) 이윤(伊尹) 등의 도움을 받아 걸왕을 명조(鳴條)에서 격파하였으며 걸왕은 남소에서 죽었다. 성탕이 국호를 商이라 정하여 개국군주가 되었다. 탕..

이상설 선생 서전서숙 개숙(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사단법인 보재 이상설선생기념사업회 이재정 회장은 중국 만주지역에 최초로 설립한 민족 교육학교 서전서숙(현 중국 용정 실험소학교)개교 100주년 기념행사를 2006년 9월 20일 중국 용정시 현지에서 용정실험소학교의 주관과 이재정 기념사업회장의 후원으로 개교 이래 가장 성대한 기념행사를 갖습니다. 이날 한국 측에서 약50명의 인사가 참관할 예정이며 각계 항일 독립운동 유관단체와 관심 있는 일반 시민의 많은 협조 당부 드립니다. 연락처 : (사)보재 이상설 기념사업회 기획담당 이사 이재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