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674

재사당 이원(1471추정-1504)선생묘.

■ 재사당 이원선생 묘(再思堂李黿先生 墓) ↑재사당 이원선생의 묘로 숙부인 최씨와 합폄이다.(2006년 7월 18일 촬영) ↑소재지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 산64번지 도락산(道樂山)이다. 사진 촬영>ⓒ이재훈 사진의 아래 보이는 비석은 청음 김상헌 선생이 찬한 舊 묘갈비와 2002년에 새로 비문을 옮겨 세운 묘비 문이고 ▲위에 보이는 비석은 미수 허목선생이 찬한 묘지명의 비석이다. 재사당(再思堂) 李黿先生의 墓域은 京畿道 楊州市 德溪洞 山 64番地 道樂山에 位置해 있다. 墓域 아래에는 지대석(址臺石)과 長方形의 碑座에 碑身을 올리고, 팔작지붕 形態의 옥개석(屋蓋石)을 갖춘 墓碣이 세워져 있다. 墓碣에는 『再思堂李先生墓銘』이라는 篆額이 새겨져 있고, 淸陰 金尙憲이 撰한 墓碣銘이 새겨져 있다. 墓碣 右側에는..

청호공 이희 묘.

↑21世 경상도관찰사 청호공 이희선생 묘(慶尙道觀察使 淸湖公 李暿先生 墓) /사진 촬영>ⓒ이재훈 ◈묘소 소재지 : 경북 안동시 남선면 현내1리 984-1(낙타산 노림촌 뒤 갑좌향) 본 묘역의 사진은 2000년도 촬영한 사진으로서 2012년 신도비 건립 이전의 옛 모습이다. ↑청호공 시향(淸湖公 時享) * 매년 음력 10월 4일 오전 9시 현지에서 --------------------------------------------------------------------------------------------------------------------------------------- ↑청호공 배위 정부인 죽산안씨 묘(淸湖公配位貞夫人竹山安氏墓) 소재지 : 경기도 고양 원당리(高陽元堂里)에 있다./정부인 ..

이경선선생 충신문.

↑소재지 : 이경선선생 묘역-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 산22-18(진천 숭렬사 앞) ↑제33대 이재정 통일부장관이 선생의 12대 손이기도 하다. ↑1730년(영조 6) 왕명으로 내려진 충신정려문 편액 원판(扁額 原版) ↑이경선선생 묘역 / 촬영>2022년 9월 ↑이경선선생 충신문 / 촬영>2022년 9월 ↑이경선선생 충신문 좌측 모습 / 촬영>2022년 9월 ↑촬영>2022년 9월 1636년(인조 14) 1월 1일 남포 현감에 부임 재직 중, 그해 12월 9일 청나라 태종(2대) 홍타이지가 이끄는 14만의 대군이 압록강을 넘어 조선을 침략한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남포 현감 이경선은 충청도 관찰사 정세규가 이끄는 충청 근왕병의 참모관으로 참전, 경기도 광주 검천 전투(廣州 儉川 戰鬪)에서 적과 장렬히 싸..

우왕(禹王) - 중국 고대 최초의 왕조(王朝)인 하(夏)나라를 세움.

■ 우왕(禹王) 중국 고대 최초의 왕조(王朝)인 하(夏)나라를 세움 ▲우왕(禹王) 우(禹)는 성이 사(姒), 이름이 문명(文命)이며, 대우(大禹), 하우(夏禹), 융우(戎禹), 제우(帝禹) 등으로도 일컬어진다. 생몰연대는 알수 없으며 순(舜=중국 태고의 천자 ‘순’을 임금으로 받들어 이르는 말)의 선양(禪讓)을 받아 왕위를 계승하여 하왕조의 기초를 세운 인물이다. 8년간 재위 하였으며 과로로 죽었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그는 100세까지 살다가 회계산(會稽山: 지금의 절강성 소흥현(紹興縣) 경내)에 묻혔다고 한다. 우는 전욱(顓頊)의 증손이자 곤(鲧)의 아들로 하후씨(夏后氏) 부락의 장이었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우의 아버지 곤(鲧)이 치수의 실패로 피살된 후에 순임금은 우(禹)에게 아버지를 대신하여 계..

허유(許由)와 소부(巢父)

■ 허유(許由)와 소부(巢父) ▲허유(許由) / 대기원 자료실 -------------------------------------------------------- ▲소부(巢父) 허유(許由)는 본시 중국의 패택(沛澤)이라는 곳에서 살고 있던 어진 은자(隱者)였다. 그는 바르지 않은 자리에는 앉지도 않았고, 부정한 음식은 입에 대지도 않았으며, 오로지 의(義)를 지키고 살았다. 이러한 소문을 들은 요(堯)임금은 천하를 그에게 물려 주고자 찾아갔다. 이 제의를 받은 허유는 거절(拒絶)하며 말하였다. 이렇게 천하를 잘 다스리신 요임금을 어찌하여 볼품없는 저같은 자가 이를 대신하여 자리에 오를 수가 있겠습니까? “ 그리고는 말없이 기산(箕山)밑을 흐르는 영수(穎水) 근처로 가버렸다. 요(堯)임금이 다시 구주(九..

점필재 김종직(佔畢齋 金宗直)

■ 점필재 김종직(佔畢齋 金宗直) [생졸년] 1431년(세종 13)∼1492년(성종 23). [문과] 세조(世祖) 5년 (145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20위. ---------------------------------------------------------------------------------------------------------------------------------- 김종직(金宗直)은 문장중심· 정치중심인 한당류(漢唐類)의 학풍과, 철학의 이론 부문을 치중하던 송학류(宋學類)의 학풍이 혼합된 시대에 살았다. 이 시기에는 변계량「卞季良, 1369년(공민왕 18)∼1430년(세종 12)」, 윤희· 정인지「鄭麟趾, 1396년(태조 5)∼1478년(성종 9)」. 신..

김종직(金宗直).

점필제 김종직(佔畢齋 金宗直) 김종직(金宗直)은 문장중심·정치중심인 한당류(漢唐類)의 학풍과, 철학의 이론 부문을 치중하던 송학류(宋學類)의 학풍이 혼합된 시대에 살았다. 이 시기에는 변계량(卞季良)· 윤희(尹憘)· 정인지(鄭麟趾)· 신숙주(申叔舟)· 서거정(徐居正)· 양성지(梁誠之)등 많은 거유들이 있었으나, 이들은 순유(醇儒)로 보기 어려운 점도 없지 않다. 김균(金鈞) 김말(金末) 김반(金泮)등의 이른바 경학삼김(經學三金)과 김종직의 부친 김숙자(金叔滋)가 경학에 정통하였다고 하나 이를 뒷받침 할만한 문헌이 없어서 그들의 학문과 사상의 깊이를 뚜렷이 알기는 어렵다. 그러나 사림파(士林派)의 거두인 김종직에 대해서는 그의 문집이나 여러 문헌을 통하여 전반에 걸쳐 대체적인 윤곽을 이해할 수 있다. 그의..

상관과 리더.

상관과 리더. ◇상관은 공포심을 심어주고 리더는 신념을 심어준다. ◇상관은 " 내가 "라고 말하고 리더는 " 우리들 "이라고 말한다. ◇상관은 방법을 알고만 있고 리더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 ◇상관은 원망을 낳게 하고 리더는 신바람을 불러 일어 킨다. ◇상관은 잘못을 꾸짖기만 하고 리더는 잘못을 고쳐 준다 . ◇상관은 권위에 의존하고 리더는 팀워크에 의존한다. ◇상관은 부하를 부리려고만 하고 리더는 앞장서서 솔선수범 한다. ◇상관은 일을 고역스럽게 만들고 리더는 일을 재미있게 만든다. -美國 空軍士官學校 -

경주이씨인물록

경주이씨 인물록 긍탄(亘坦) 알평(謁平) 이갑성(李甲成) 이개립(李介立) 이건영(李健榮) 이격(李格){2} 이경륜(李敬倫) 이경억(李慶億) 이경일(李敬一){1} 이경주(李擎柱) 이경주(李擎株) 이경하(李擎厦){1} 이경한(李景漢) 이경휘(李慶徽) 이계조(李啓朝) 이공린(李公麟) 이광우(李光友) 이광윤(李光胤) 이광익(李光翼) 이광좌(李光佐) 이교영(李敎榮) 이구(李坵) 이구(李龜){2} 이구징(李耉徵){2} 이규일(李圭日) 이규채(李圭彩) 이규항(李圭恒) 이규헌(李圭憲) 이규홍(李圭弘) 이극복(李克福) 이기남(李箕男) 이기룡(李起龍) 이기온(李基瑥) 이기조(李基肇) 이단장(李端章) 이달의(李達意) 이달존(李達尊) 이달충(李達衷) 이담(李擔){1} 이대건(李大建) 이대년(李大年) 이대립(李大立) 이대방(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