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물 702

고타소랑(古陀炤娘)

● 고타소랑(古陀炤娘) ?∼642(선덕여왕 1). 신라 태종무열왕 김춘추(金春秋)의 딸. 무열왕비 문명왕후(文明王后)의 소생으로 김유신(金庾信)의 생질이다. 642년 8월 백제의 장군 윤충(允忠)이 군사를 거느리고 대야성(大耶城:지금의 합천)을 함락시키니 대야성도독 이찬(伊飡) 품석(品釋)과 그의 처 고타소랑이 함께 죽었다. 김춘추는 이 소식을 듣고 백제를 멸망시켜 딸의 원수를 갚겠다고 결심하여 고구려에 청병하였으나 실패하고 다시 당나라에 가서 청병을 허락받고 돌아왔다. 김유신은 대야성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647년 백제를 쳐서 포로된 백제장 8인과 고타소랑 부부의 해골을 교환하여 왔다., 660년(태종무열왕 8)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군이 백제를 멸하자 법민(法敏)은 의자왕의 왕자 융(隆)에게 “너의 아..

욱면(郁面)

■ 욱면(郁面) 생몰년 미상. 신라 경덕왕 때의 불교신도. 아간(阿干) 귀진(貴珍)의 계집종이었으며, 후에 극락왕생(極樂往生)하였다. 강주(康州)의 거사(居士) 몇 십 명이 뜻을 극락에 두고 미타사(彌陀寺)를 세워 만일계회(萬日契會)를 만들었다. 욱면은 그때 주인을 따라 절에 가서 뜰에 서서 염불하였다. 주인은 그녀가 일하지 않음을 미워하여 곡식 두섬을 주어 하루 저녁에 찧게 하였는데, 그녀는 초저녁에 다 찧고 절에 와서 부지런히 염불하였다. 하루는 뜰 좌우에 긴 말뚝을 세우고 두 손바닥을 뚫고 노끈으로 꿰어 말뚝에 매어 합장하고 좌우로 흔들면서 지극히 정진하였는데 공중에서 “욱면낭은 당에 들어가 염불하라.”는 소리가 들렸으며, 그 소리를 들은 승려들이 법당에서 함께 염불하게 하였다. 그 뒤 얼마 있지 ..

의숙공주(懿淑公主) - 세조(世祖)의 장녀

■ 의숙공주(懿淑公主) [생졸년] 1442(세종 24)∼1477년(성종 8) / 향년 36세 세조(世祖)의 장녀로 어머니는 정희왕후(貞熹王后)이고, 이름은 세선(世宣)이다. 덕종, 예종의 누이동생이다. 영의정(領議政) 문성공(文成公) 정인지(鄭麟趾)의 아들인 익대좌리공신(翊戴佐理功臣) 하성군(河城君) 정현조(鄭顯祖)에게 하가(下嫁)하였다. 의숙공주는 슬하에 자식을 두지 않고 1477년 훙서(薨逝)하였으며, 성종은 정사를 쉬어 의숙공주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의숙공주의 무덤은 경기도 의왕시 초평동에 있다. [참고내용] ◇하가(下嫁) : 지체가 낮은 곳으로 시집간다는 뜻으로, 공주나 옹주가 귀족이나 신하에게로 시집감을 이르던 말. ◇훙서(薨逝) : 왕이나 왕족, 귀족 등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 ● 정현조(..

김노응(金魯應)

■ 김노응(金魯應) [생졸년] 1757 (영조 33) - 1824 (순조 24) [문과] 순조(純祖) 5년(1805) 을축(乙丑) 정시(庭試) 을과(乙科) 1위 [생원진사시] 정조(正祖) 10년(1786)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66위 ------------------------------------------------------------------------------------------------------------------------------------- 1757년(영조 33)∼1824년(순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 자는 유일(唯一), 호는 일와(一窩). 영의정흥경(興慶)의 증손이며, 문화현령태주(泰柱)의 아들이다. 1786년(정조 10) 진사시..

하겸진(河謙鎭)

■ 하겸진(河謙鎭) [생졸년] 1870년(고종 7)∼1946년 근세의 유학자. 본관은 진양(晋陽). 자는 숙형(叔亨), 호는 회봉(晦峯) 또는 외재(畏齋). 진양 출생. 아버지는 재익(載翼)이며, 어머니는 김해허씨(金海許氏)이다. 13세에 사서·오경의 요의(要義)를 모두 익혀 사람들의 칭송을 받았고, 17세에 당대의 명유 허유(許愈)를 만날 수 있었으며, 24세부터는 성리학(性理學)을 논하기 시작하였다. 27세 때 스스로 쓴 《도문작해(陶文酌海)》의 서(序)를 부탁하기 위하여 곽종석(郭鍾錫)을 찾아가 제자가 되었고, 29세 때에는 이승희(李承熙)· 장석영(張錫英)· 송준필(宋浚弼) 등과 교유하였으며, 안동· 선산· 성주 등지의 선현들의 유허지를 순례하고 많은 선비들과 사귀었다. 그뒤 명산대천은 물론 동서..

정암 조광조

■ 정암 조광조 [생졸년] 1482년 음력 8월 10일(성종 13)∼1519년 음력 12월 20일(중종 14) [문과] 중종(中宗) 10년(1515) 을해(乙亥) 알성시(謁聖試) 을과(乙科) 1위/합격연령 : 34歲 [생원진사시] 중종(中宗) 5년(1510) 경오(庚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1등(一等) [장원(壯元)] ------------------------------------------------------------------------------------------------------------------------------------- 개국공신으로 태조 이성계의 생질인 조온(趙溫)의 5대손으로,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正六品) 조원강(趙元綱)의 아들 이다. 자는 효직(孝直). 호..

자녀안(姿女案) - 조선시대 여인의 행실기록

■ 자녀안(姿女案) - 조선시대 여인의 행실기록 사람은 모두가 동물로서의 공통적인 본성(本性)과 개개인에 고유하게 내재되어 있는 고유한 본성(本性)을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아기가 태어나자마자 저절로 엄마의 젖을 물고, 뭍에서 갓 태어난 거북이 새끼들이 줄을 지어 바다로 달려가며, 암컷과 수컷의 연어는 바다에 살다가 알을 낳기 위해 생명을 다해가면서 강의 상류로 올라가는, 모든 동물들이 생존과 종의 번식을 위한 본능을 발휘하는 것처럼 사람들 또한 마찬가지의 본능을 더욱 강하게 소유하고 있다. 임금을 정점으로 하는 사대부 양반가문이 사회의 중심을 차지했던 조선조는 엄격한 가부장제(家父長制) 하에 모든 제도가 마련되고 시행되어졌다. 가부장들에게는 그 권위만큼 많은 특권이 주어졌고, 조선조 성문화 역시 이..

이태영(李兌榮) 박사/한국 여성운동가

■이태영(李兌榮) [생몰년] 1914년 - 1998년 壽 84歲 현대 법조인·여성운동가. 본관은 경주(慶州), 출생지는 평안북도 운산군(雲山郡) 북진읍 진등마을에서 아버지 이흥국(李興國)과 어머니 김흥원(金興元) 사이에서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광산을 경영하면서 수입금으로 압록강을 넘나드는 독립지사들에게 자금을 지원하기도 하였는데, 이태영 여사가 2살 때 광산사고로 별세했다. 위로 태윤과 태흡 두 오빠가 있었다. 1931년 평양 정의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36년 이화여자전문학교 가사과를 수석으로 졸업했다. 여성 최초로 1949년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 1952년 제2회 고등고시에 합격, 우리나라 첫 번째 여성변호사가 되었다. 1952년부터 가족법개정운동을 주도하였고. 공직과 학계 및 사회단체에..

안축(安軸)

안축(安軸) [생몰년] 1287년(충렬왕 13) - 1348년(충목왕 4) [고려문과] 충선왕(忠宣王) 5년(1313) 계축(癸丑) 충선왕 5년 계축방(癸丑榜)/합격연령 27歲 -------------------------------------------------------------------------------------------------------------- 고려말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당지(當之), 호는 근재(謹齋). 아버지는 석(碩)이다. 고향 순흥의 죽계(竹溪: 지금의 豊基)에서 세력기반을 가지고 중앙에 진출한 신흥유학자층의 한 사람으로, 탁월한 재질로 학문에 힘써서 글을 잘하였다. 문과에 급제하여 금주사록(金州司錄)·사헌규정(司憲糾正)·단양부주부(丹陽府注簿)를 지내고,..

조선시대 4대문장가 및 명필가

■ 조선시대(朝鮮時) 사대문장가(四大文章家) 1.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1564년(명종 19)-1635년(인조 13)] 연안인(延安人) 2.상촌(象村) 신흠[申欽,1566 (명종 21)-1628 (인조 6)] 평산인(平山人) 3.택당(澤堂) 이식[李植,1584(선조 17)∼1647(인조 25)] 4.계곡(谿谷) 장유[張維,1587 (선조 20)-1638 (인조 16)] 덕수인(德水人) ■ 조선시대(朝鮮時) 4대 명필가(四大名筆家) 1.매죽헌(梅竹軒) 안평대군[安平大君=李瑢,1418 (태종 18)-1453(단종 1) 전주인(全州人) 세종의 셋째아들이 다. 2.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1517 (중종 12)-1584 (선조 17) 청주인(淸州人). 3.석봉(石峯) 한호[韓濩,1543 (중종 3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