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886

고려 연대표

고려 연대표 연대 왕 조 내 용 918년 태조 왕건 즉위 이름은 왕건(王建). 신라 궁예의 부하로, 부하에게 옹립되어 송도에 도읍을 정하고 왕위에 오름. 935년 신라와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삼국을 통일함 건국, 연호는 천수(天授)로 정함. 919년 도읍을 철원(鐵原)에서 송악(松嶽)으로 옮김. 920년 신라가 고려로 사신을 보냄. 922년 명주[강릉]의 명주장군(溟州將軍) 김순식(金順式) 고려에 투항 925년 후백제신라20여성을 점령/발해의 신덕(申德)장군 등 500여명 고려에 투항 함. 927년 최치원 고려필경 저술. 견훤(甄萱) 금성에 침입 경순왕을 옹립 930년 울릉도 고려에 곡물 바침 931년 태조 왕건 신라의 금성 방문. 932년 후백제의 주사(舟師-수군) 예성강 부근 공격. 후당에 사신 보냄...

보물 도자기(寶物 陶磁器 寶物)

도자기 보물(陶磁器 寶物)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수종사 석조 부도를 고쳐 세울 때, 발견된 유물들이다. 청자항아리, 금동 구층소탑, 은제도금육각감이 발견되었고, 당시 금동구층소탑과 은제도금 육각감은 청자항아리 안에 들어 있었다. ↑寶物 제259-1호 : 청자유개호 (靑磁有壺) ↑寶物 제286호 : 청자 상감포도동자문매병(靑磁 象嵌葡萄童子文梅甁) 고려 시대의 만들어진 청자 상감 매병으로, 높이 41.5㎝, 아가리 지름 7.5㎝, 밑지름 15.8㎝의 크기로, 매병 가운데 드물게 보이는 큰 작품이다. ↑寶物 제340호 : 철채백화삼엽문매병(鐵彩白畵蔘葉文梅甁) 고려시대 만들어진 매병으로, 높이 27.5㎝, 아가리 지름 5㎝, 밑지름 9.5㎝이다. ↑寶物 제342호 : 청자상감복사문매병(靑磁象嵌紗-紋梅甁) 고려시..

[고조선] 단군(檀君)

▶관련 문헌 기록 천제(天帝)인 환인(桓因)의 손자이며, 환웅(桓雄)의 아들로 서기전 2333년 아사달(阿斯達)에 도읍을 정하고 단군조선을 개국하였다.우리나라 역사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고조선과 단군에 관한 최초의 기록으로는 중국의 《위서 魏書》와 우리나라의 《고기 古記》를 인용한 《삼국유사》 기이편(紀異篇)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정사인 《삼국사기》에는 이와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지 않아 대비된다. 한편 같은 고려시대의 기록으로 이승휴(李承休)의 《제왕운기 帝王韻紀》가 있으며, 이와 비슷한 내용이 조선 초기의 기록인 권람(權擥)의 《응제시주 應製詩註》와 《세종실록》 지리지 등에 나타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단군에 관한 문제를 논급할 때 일차적으로 《삼국유사》의 기록을 인용한다. ▶ 《삼국유사》의 ..

1000년을 이어온 자랑, 1000년을 기다린 잔치

1000년을 이어온 자랑, 1000년을 기다린 잔치 기사입력 2011-09-14 03:00:00 /기사수정 2011-09-14 09:13:24 1000년을 이어온 자랑, 1000년을 기다린 잔치 2011 대장경천년 세계문화축전 23일~11월 6일 해인사 일대 동아시아 문화대국 저력 보여준 증거…세계인 앞에 민족의 지혜 당당히 소개 유네스코 새계문화유산이 그 안에 세계기록유산을 보존하고 있는 사례는 세계에서 유일하다. 바로 해인사 장경판전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팔만대장경이다. 팔만대장경은 1011년 처음 판각되기 시작한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에서 출발해 1251년에 완성된 팔만대장경으로 이어지면서 1000년이 지나도록 찬란한 문화의 빛을 발하고 있는 것이다." (해인사 팔만대장경연구원 보존국장 성안 스님)..

번암 채제공의 경륜과 충성심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 ㊶ 번암 채제공의 경륜과 충성심(上) 입력: 2008년 08월 22일 17:42:21 당쟁 소용돌이서 국정을 바로잡다 채제공의 죽음 사람은 살아 있는 동안에는 제대로 평가 받기가 어렵다. 운명하고 난 뒤, 관의 뚜껑을 덮고 나야만 그 사람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 옛날부터 전해지는 이야기다. ↑번암 채제공의 73세 때의 초상화. 정조의 어진을 그렸던 당대의 화가 이명기의 솜씨다. |사진작가 황헌만 1720년에 태어나 80수를 누리고 1799년 초봄에 세상을 떠난 당대의 명재상이자 경륜 높은 정치가에다 시문에도 뛰어났던 채제공은 죽은 뒤에 훨씬 높은 평가를 받았던 인물임이 분명하다.채제공은 숙종 46년에 태어나 영조 11년인 1735년에 16세로 향시에 급제하고 ..

계유정란(癸酉靖亂)

계유정란(癸酉靖亂)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조카인 단종으로부터 왕위를 빼앗기 위하여 일으킨 난이다. 조선 세종을 이은 문종이 일찍 죽고 단종(端宗)이 즉위하자 숙부인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 및 그를 보좌하던 김종서ㆍ황보인 등을 살해하고 안평대군을 축출한 후 정권을 장악하였다. 이때 정인지ㆍ한명회 등은 정난공신(靖難功臣)이 되었으며, 성삼문ㆍ박팽년ㆍ하위지 등 소위 사육신의 단종 복위운동은 실패했다.

왕의 호칭

왕의 호칭 각하(閣下) 사극에서 폐하(陛下) 또는 전하(殿下)라고 하는 호칭을 듣게 됩니다. 폐하는 섬돌 폐자에 아래 하, 섬돌 아래라는 뜻이고, 전하는 전각 전자에 아래 하, 전각 아래라는 뜻입니다. 상대방이 섬돌 아래나 전각 아래에서 올려다 보아야 하는 고귀한 분이라는 뜻입니다. 그밖에 집 아래를 뜻하는 합하(閤下)라든가 각하(閣下)라는 호칭도 같은 용어인데 일반적으로 폐하는 황제, 전하는 황제보다 한 등급 낮은 국왕, 각하는 국왕 아래에 있는 고위관료를 지칭합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2년 전이었던 1590년,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이 통신사로 일본에 가게 되었는데. 당시 일본의 관백(關白)이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 국왕에게 전달하는 국서(國書) 한 통을 그에게 주었습니다. 김성일은 국서..

오부방리(五部坊里)

■ 오부(五部) 고구려(高句麗), 고려(高麗), 조선(朝鮮) 때 수도(首都)를 전(前), 후(後), 좌(左), 우(右), 중(中) 따위로 나눈 다 섯 개의 행정(行政) 구역(區域)를 말함 1.고구려를 형성한 다섯 집단. ◇계루부. ◇소노부. ◇절노부. ◇순노부. ◇관노부. 2.고구려 때, 수도(首都)를 다섯 부로 나눈 행정 구역을 말하는 것으로 다섯의 부족 사회가 변화한 것으로 계루부를 내부(內部) 또는 황부(黃部), 소노부를 서부(西部) 또는 우부(右部), 절노부를 북부(北部) 또는 후부(後部), 순노 부를 동부(東部) 또는 좌부(左部), 관노부를 남부(南部) 또는 전부(前部)라 하였음. 3.백제는 수도를 다섯부의 행정 구역으로 나누어 상부(上部). 전부(前部). 중부(中部). 하부(下部). 후부(後部..

의친왕(義親王) - 이강(李堈),

의친왕(義親王, 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5일) 의친왕은 대한제국의 황족이자 독립 운동가로 본관은 전주, 이름은 강(堈), 초명은 평길(平吉), 호는 만오(晩悟)이다. 광무제 고종의 다섯째 아들이다. 어머니 귀인 장씨는 의친왕을 낳고 명성황후의 박해를 피해 궁 밖에서 살다가, 1900년 숙원(淑媛) 칭호를 받고 1906년에야 겨우 귀인(貴人)에 봉해졌다. 귀인 장씨가 언제 죽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1911년 묘소를 이장했다는 기록이 있어, 1906년과 1911년 사이인 것은 분명하다. 1892년 1월 28일,.,.,../ 의화군에 봉해졌고, 1893년 12월 6일 김사준(金思濬)의 딸 김수덕(金修德)을 아내로 맞았다. 1894년 청일전쟁에서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보빙대사가 되어 일본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