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886

경주 교동 법주(慶州校洞法酒)

■ 선물로 받은 경주교동 법주! 귀경 후 여행을 함께한 초등학교 동창들과 근배주로 정겹게 한잔씩 나눴다.ㅎ 혀를 감치며 입안에 그윽한 향이 참 감미로웠다. ● 경주 교동법주(慶州校洞法酒) (중요무형문화재 제86-다호 “향토술담기” 경주 교동법주) 경주교동 법주(慶州校洞法酒)는 최경(崔梗)의 10대조인 최국선[崔國璿, 1631(인조 9)~1682 (숙종 8)]이 조선조 숙종 때, 사옹원참봉(司甕院參奉-조선시대 임금의 식사와 대궐 안의 식사 공급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의 從九品의 문관)을 지낸 후, 낙향하여 사가(私家)에서 처음으로 빚은 술입니다. 9대 진사(進士)와 12대 만석(萬石)으로 널리 알려진 경주 최부자 집의 가양주(家釀酒-집에서 빚은 술)로, 300여년 역사를 함께해 왔으며..

광주반란 작전을 북한이 주도했다고 보는 증거들

광주반란 작전을 북한이 주도했다고 보는 증거들 1. 북한 노동당 소속의 출판사들이 1982년 및 1985년에 2개의 5.18역사책을 썼습니다. 여기에 있는 자료들과 2005년에 처 음 공개된 검찰수사자료를 대조해보면 중요한 사실들과 통계가 일치합니다. 하다못해 공수부대를 향해 지그재그로 돌진하던 대형 버스가 광전교통 ‘전남5아3706’이라는 번호판을 달고 있는 것까지 일치하며 시위군중 속에서나 알 수 있는 구체적인 폭동행위들을 기록해놓았습니다. 이는 광주의 수많은 곳에서 전개되는 상황들을 북한 사람들이 와서 기록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북한은 해마다 5월이 되면 여러 날에 걸쳐 그리고 전국에 걸쳐 5.18을 추모하고 기념하는 행사를 합니다. 당정의 초고위급이 주도합니다. 그리고 북한의 5.18역사책..

소진(蘇秦)과 장의(張儀)

■ 소진(蘇秦, BC 300 ~ 280 /활동연대) - 유세가(遊說家) 중국 전국시대의 정치가. 하남성 낙양(河南省 洛陽) 출신. 제(齊)나라의 귀곡자(鬼谷子)에게 사사(賜死)하였다. 처음 진(秦)나라의 혜왕(惠王)을 설득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뒤에 연(燕)나라의 문후(文侯), 조(趙)나라의 숙후(肅侯), 한(韓)나라의 선혜왕(宣惠王), 위(魏)나라의 양왕(襄王), 제(齊)나라의 선왕(宣王), 초(楚)나라의 위왕(威王)을 각각 설득하여, 이 6국의 연합을 성공시켰다(合從). 6국이 세로로 나란히 결속하여 서쪽의 진(秦)나라에 대항하려는 것으로, 소진 스스로 종약(縱約)의 우두머리가 되어, 6국의상(相)을 겸하고, 종약(縱約)의 서(誓)를 진(秦)나라에 보냄으로써 진(秦)나라는 수십 년간 동방진출을 ..

종중의 의미와 종류?

■ 종중의 의미와 종류? 1.인류학[宗中] 흔히 종중, 종친회, 친족회, 문중, 문회(門會),유복친, 가문등등 단체가 사회적 실체를 가지면서 여러 가지 법률행위를 하는 단체로 볼 수 있다. 2.종중[宗中] 종중은 가장 넓은 범위의 부계 혈연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종중의 개념은 성문법으로 규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전통 관습에 따른 것을 기존의 대법원 판례에서 인정해 오고 있다. 기존 대법원 판례의 주요 내용을 보면, 고유의미의 종중이란 공동선조의 분묘 수호와 제사 및 종원 상호간의 친목 등을 목적으로 하여 공동선조의 후손 중 성년 이상의 남자를 종원으로 하여 구성되는 자연발생적인 종족집단 체이다. 또 종원은 공동선조의 후손 중 성년 이상의 남자로 제한되고 공동선조의 후손 중 미성년자 및 여자와 출계자는 ..

정호(程顥) 와 동생 정 이(程 頤)

■ 명도(明道) 정호(程顥) : 1032~1085) ▲程顥 明道선생(1032~1085) 중국 북송(北宋) 중기(1032~1085)의 유학자로. 북송(北宋)의 철학가(哲学家)요. 문학가(文学家)이다. 자는 백순(伯淳). 호는 명도(明道). 시호는 순(純). 허난성[河南省] 뤄양[洛陽] 출생. 존칭으로 명도(明道)선생이라 불리고, 동생 정이(程頤=伊川)와 함께 이정자(二程子)로 알려졌다. 아버지 정향(程珦)이 남안(南安: 江西省 大庾縣)의 판관이었을 때, 주돈이(周敦頤:濂溪)를 한번 보고 아들 형제를 그의 제자로 입문시켰다고 한다. 26세 때 진사가 되고, 산시성[陝西省] 후셴현[鄠縣]의 주부(主簿)로 출발하여 지방관을 역임하였다. 그가 택주(澤州: 山西省) 진청현[晉城縣]의 수령으로 있을 때는 ‘시민여상(..

오행(五行) 상식.

1.오행(五行) 및 육갑(六甲) ■ 십이지에 해당하는 동물의 이름 ■ 음양오행도 오행(五行)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상생(相生) 화(火) 토(土) 금(金) 수(水) 목(木) 상극(相剋) 토(土) 금(金) 수(水) 목(木) 화(火) 오방(五方) 동(東) 남(南) 중앙(中央) 서(西) 북(北) 오시(五時) 춘(春) 하(夏) 계하(季夏) 토용(土用) 추(秋) 동(東) 오기(五氣) 인애(仁愛) 강맹(剛猛) 관굉(寬宏) 살벌(殺伐) 유화(柔和) 오상(五常) 인(仁) 예(禮) 신(信) 의(義) 지(智) 색(色) 청(靑) 적(赤) 황(黃) 백(白) 흑(黑) 오장(五臟) 간(肝) 심(心) 비(脾) 폐(肺) 신(腎) 수(數) 1,2 3,4 5,6 7,8 9,10 음(音) 각(角) 징(徵)치 궁(宮)..

고령군 쌍림면 합가리 - 合佳里(Hapga-ri)

■ 합가리(合佳里, Hapga-ri) (상가곡 또는 안개실, 웃개실) 산골짜기에 위치한 농촌이다. 자연마을로는 상가곡, 하가곡, 용당골, 도르뱅이가 있다. 상가곡은 경상남도 합천으로 넘어가는 지릿재 바로 아래 있는 마을로 개애실 마을의 위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고, 하가곡은 개애실 마을 아래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용당골은 국도변 남쪽의 골짜기에 있는 마을로 마을 뒷산에서 용이 솟아 승천하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마을에는 아직도 용이 승천한 웅덩이에 물이 고여있다. 도르뱅이는 중간 국도변을 따라 돌아가는 길에 있는 마을로, 지형이 돌아 들어간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과거에는 서너채의 주막과 농가가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이주하였다. 이재훈

‘무관의 제왕’ 흥선군 권문세가와 전면전

■ 조선 왕을 말하다. 이덕일의 事思史 [제185호 | 20100925 입력 어떤 정치 지도자가 혜성같이 등장한다는 것은 그만큼 기존 체제에 대한 불만이 팽배해 있는 현실을 반영한다. 그러나 혜성같이 등장한 지도자가 성공의 결실을 거두는 경우를 찾기는 쉽지 않다. 기존 체제와 맞서 싸우면서 미래를 지향해야 하지만 대부분 기존 체제와 싸우다가 끝을 맺기 마련이다. 혜성같이 등장했던 대원군의 앞에도 마찬가지 길이 놓여 있었다. 개국군주 망국군주 고종 ① 대원위 분부 시대 ↑대원군 초상 대원군은 극적으로 집권했지만 그 앞에는 과거와 전혀 다른 일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사진가 권태균 1863년 12월 8일. 재위 14년의 철종이 사망했다. 5남 6녀를 두었으나 금릉위 박영효에게 시집간 4녀 영혜(永惠)옹주를 제..

상앙[商鞅) - 중국 진나라의 정치가

■ 상앙(商鞅, 약BC390 ~ BC 338) 중국(中國) 진(秦) 나라의 정치가(政治家). 별명(別名)은 위앙(衛鞅)ㆍ본명은 공손앙(公孫鞅)으로, 전국시대의 진(秦)나라를 재조직하여, 통일국가 진[秦(BC 221~206)]을 세우는 데 공헌(貢獻)했다. 상앙은 본래 진나라 사람이 아니다. 동방의 소국(小國) 위(衛)나라 태생이다. 야심가인 상앙에게 위나라는 너무 작았던 것일까. 그는 고국을 떠나 북방의 강국 위(魏)나라에 가서 공숙좌(公叔座)라는 대신을 섬겼다. 공숙좌가 죽자 위(魏)나라를 떠나 진(秦)으로 들어가 출사(出仕)하게 되었다. 그는 국가는 오직 권력(權力)으로만 유지(維持)될 수 있고, 그 권력은 대규모(大規模) 군대(軍隊)와 충분(充分)한 식량(食量)에서 나온다고 믿었다. 전국시대에 진나..

前 高靈縣監 金守默의 옥사(獄事) 관련자료/淸風金氏

영조실록 >영조 43년(1767년) >영조 43년 2월 26일 ■ 金守默 관련자료 영조실록 >영조 43년(1767년) >영조 43년 2월 26일 전배례·친경례·노주례를 행하다. 임금이 창덕궁에 나아가니, 왕세손이 수가(隨駕)하였다. 진전(眞殿)에 나아가 전배례를 행하고, 인하여 황단(皇壇)에 가서 봉심(奉審)을 마치고 동단(東壇)에 나아가 친경례를 행하였으며, 예를 마치자 친경대(親耕臺)로 돌아와 노주례(勞酒禮)를 행하라고 명하였다. 인하여 환궁하여 경현당에 나아가 기백(畿伯)과 여러 수령의 입시를 명하여 경잠(耕蠶)을 신칙하였다. 삭녕군수(朔寧郡守) 최홍보(崔弘輔), 영평현령(永平縣令) 유언수(兪彦銖), 연천현감(漣川縣監) 정재원(丁載遠)의 주대(奏對)가 임금의 뜻에 맞아 각각 대록비(大鹿皮) 1령(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