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부복(俯伏) 과 국궁(鞠躬)이 절 입니까?

■ 부복(俯伏) 과 국궁(鞠躬)이 절입니까? 부복(俯伏) : 꿇어앉아 절하는 자세에서 허리를 굽히고 고개를 숙여 경의를 표하는 자세. 국궁(鞠躬) : 읍한 자세로 허리를 굽혀 공경을 표하는 모양. ------------------------------------------------------------------------------------------------------------------------------------------- ●史記蘇秦傳蘇秦之昆弟妻嫂側目不敢仰視俯伏侍取食 ●儀禮聘禮執圭入門鞠躬焉如恐失之注孔安國曰斂身意焉曲身以示謹敬今稱曲身行禮爲鞠躬

상상(殤喪)

사계전서 제37권[의례문해(疑禮問解) -상례(喪禮)] 삼상(三殤)에 치상(治喪)하는 예 [문] 《개원례》에 이르기를, “삼상(三殤)의 상(喪)에는 죽은 처음에 목욕시키는 것과 대렴(大斂)과 소렴(小斂)을 하기를 성인이 죽었을 때와 똑같이 한다. 장상(長殤)에는 관(棺)과 대관(大棺)이 있고, 중상(中殤)과 하상(下殤)에는 관이 있다. 영연(靈筵), 제전(祭奠), 진식(進食), 장송(葬送), 곡읍(哭泣)을 하는 자리[位]는 성인을 장사 지낼 때와 똑같이 한다. 그 포 생(苞牲)과 명기(明器)는, 장상의 경우에는 성인의 상에 비해 3분의 2를 감하여 한다. 오직 복혼(復魂)을 하지 않으며, 반함(飯含)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절차를 밟아 장사를 치르고 난 다음에는 신주 (神主)를 세우지 않는다. 우제(虞祭)..

복제(服制)

■ 복제(服制) 복제(服制)란 가족이나 친척이 사망하였을 때 혈연의 친소(親疎)에 따라 일정 기간을 근신하고 애도를 표하는 제도를 말한다. 복(服)의 제도는 첫째 참최 3년이요, 둘째는 재최 3년, 셋째는 기년(朞年)이요, 넷째는 대공 9월, 다섯째는 소공 5월이요, 시마 3월이다. ●성복(成服) 염(斂)이 끝나면 상주 이하는 곡을 하면서 복을 입는데, 이때 유복지친(有服之親)은 모두 제복(祭服)을 입니다. ※성복전에는 곡만 하고 절은 하지 않는다. ※상장(喪杖)은 부상(父喪)엔 대나무 이고 모상(母喪)에는 오동나무 또는 버드나무 상장을 짚는다. ●설전(設奠) 영좌에 혼백을 놓고 주. 과. 포를 진설을 하고 오복지인은 서서 곡을 한다. 상주(喪主)는 분향재배 한다. 상주는 잔을 올리고 상주이하는 곡을 하..

선비는 자기를 알아주는 자를위해 목숨을 바치고.......

『사위지기자사, 여위열기자용(士爲知己者死 女爲悅己者容)』 선비는 자기를 알아주는 자를위해 목숨을 바치고, 여자는 자기를 기뻐하는 자를 위해 화장을 한다 는 뜻으로 이 말은 예양의 고사에서 나온 말입니다. 예양(豫讓)은 진(晉)나라 사람으로 일찍이 범(范)씨 및 중행(仲行)씨의 휘하에 있었다. 그러나 이름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가 나중에는 지백(智伯)의 휘하로 들어가게 되었다. 지백은 그를 극진하게 대접하였으며 사람됨을 높이 평가하여 매우 아껴주었다. 그러나 예양(豫讓)이 지백(智伯)의 후대를 받으며 보람 있는 삶을 살아가던 중 주인인 지백이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조양자(趙襄子)는 지백을 죽이는 한편 일족을 모두 멸망시키고 천하를 삼분하여 조(趙), 한(韓), 위(魏)로 나누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

태동서원 봉안식(泰東書院奉安式)

↑태동서원(泰東書院)소재지 : 경상남도(慶尙南道) 합천군(陜川郡) 초계면(草溪面) 유하리(柳下里) 272-8번지 ●태동서원봉안식(泰東書院奉安式) 태암산(泰巖山) 동쪽이라는 뜻에서 이름을 지은 금세기 마지막으로 세워진 태동서원(泰東書院)의 이름은 원래는 태동서사(泰東書舍)였는데 2012년 4월 15일(음3월 25일) 세째 일요일에 이 서원의 준공행사를 하고, 추연(秋淵) 권용현(權龍鉉) 한학자(漢學者)를 향사(享祀) 하면서 서원(書院)으로 승격하였다. 태동서원(泰東書院)은 경상남도(慶尙南道) 합천군(陜川郡) 초계면(草溪面) 유하리(柳下里) 272-8번지의 시골마을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학자 추연(秋淵) 권용현(權龍鉉, 1899~1988)을 기리기 위해 후학들이 뜻을 모아 창건(創建)한 서원(書院)이다. 일..

명언 명구(名言 名句)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움직일세, 꽃 좋고 열매도 많네, 샘이 깊은 물은 가물에 아니 그칠세, 내가 되어 바다에 이르네. ---------------------------------------------------- 나이는 시간과 함께 달려 가고, 뜻은 세월과 더불어 사라져 간 다. 드디어 말라 떨어진 뒤에 궁한 집 속에서 슬피 탄식한들 어찌 되돌릴 수 있으랴. ----------------------------------------------------- 먹는 나이는 거절할 수 없고, 흐르는 시간은 멈추게 할 수 없다. 생장(生長)하고 소멸(消滅)하고, 성(盛)하고 쇠(衰)함이 끝나면 다시 시작되어 끝이 없다. -----------------------------------------------..

영종회(嶺宗會) 창립

대구,경북 불천위 종가의 종손모임인 영종회(嶺宗會) 창립 고문에 김병의 한훤당 종손, 류영하 서애 종손 추대 초대회장에 김종길 학봉 종손 선임 "무척 혼란스럽다. 우리는 수 천년동안, 잘 계승되어 오던 미풍양속과 윤리가치관이 붕괴되고 부도덕하고 반인륜적 작태가 빈발하는 참담한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이기주의와 황금만능이 온 사회에 만연되어 인간성이 파괴되고 도덕성이 무너지고 있는 현실은 너무도 안타깝고 걱정스럽다. ..(중략) 우리는 전통가문의 후예들로서 조상의 훌륭하신 가르침과 고결한 뜻을 이어 받아 선조들이 실천한 유교문화를 겸허하게 배우고 솔선 실천해 오늘의 혼란을 극복하고 윤리가 살아 숨 쉬는 반듯한 도덕사회 구현에 앞장서 후손들에게 자랑스럽고 희망찬 미래를 물려주어야 한다." 이상은 영종회(嶺宗..

수비(竪碑) 및 개사초(改莎草)의 축문류

우리 후손들에게 보학에 대한 상식을 제공코자 이 글을 씁니다. 우선 선영 정비시 필요할 고유축문류부터 올려 보겠습니다. (1)石物設置前 山神祝 維歲次(壬辰) 閏三月(壬子)朔 初九日(庚申)OO 世孫OO 敢昭告于 后土之神 今爲貞夫人 南平文氏 墓儀未具 玆將石物 用衛(表)墓道 神其保佑 無後艱 謹以酒果 用伸虔告 謹告 유세차임지년 윤삼월 임자삭 초구일경신에 OO세손 OO는 감히 밝혀 고하옵니다. (후토지신이여 오늘 정부인 남평문씨 할머님의 묘에 석의를 갖추지 못하였다가 석을 갖추고자 하오니 신께서 후환이 없도록 우리 할머님을 보호해 주십시오. 삼가 주과포를 정성껏 장만하여 여기에 올리면서 삼가 그동안의 수비과정을 고하나이다.) *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형식보다 내용이 중요한 것이니, 음력의 연월일과 간지를 기억하지 ..

연산군묘역(燕山君 墓域)

연산군묘역(燕山君墓域) ↑좌측이 연산군(燕山君, 1476-1506) 묘이고 우측이 왕비인 거창군부인 신씨((居昌郡夫人愼氏, 1472,~1537) 묘이다. ↑연산군 묘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77번지 사적 제362호 ▲이 묘역은 능성구씨(綾城具氏)의 선영 안에 연산군의 묘가 있다. 제일 위쪽의 곡장안에 있는묘가 연산군 부부(燕山君 夫婦) 묘이고 그 아래 태종(太宗)의 후궁 의정궁주 한양조씨(義貞宮主 漢陽趙氏) 묘이고 제일 아래쪽에는 연산군의 사위 능양위 구문경(綾陽尉 具文璟)과 딸 휘순공주(徽順公主)의 묘이다. ●연산군 묘(燕山君 墓) 연산군 묘는 조선왕조 제10대 임금이었던 연산군(燕山君, 1476-1506)과 왕비인 거창군부인 신씨(居昌郡夫人愼氏, 1472, 1537)등이 안장된 묘역이다..

해주오씨 파명 일람표

해주오씨 파명 일람표(海州吳氏派名一覽表) 파명(派名) 세(世) 휘(諱) 묘. 단 소재지(墓. 壇 所在地) 시향일(時享日) 시중공(侍中公) 5世 극중(克中) 전남 강진군 군동면 용소리 (음)10月1日 판도정랑공(版圖正郞公) 5世 성(晟) 경기 용인군 모현면 오산리(壇) (음)3月15日 전서공(典書公) 7世 광정(光廷) 경남 거창군 마리면 하고리 (음)10月1日 사복시정공(司僕寺正公) 7世 사렴(士廉) 경기 양주군 백석면 기산리 (음)10月15日 지군사공(知郡事公) 7世 사운(士雲) 충북 진천군 만승면 회죽리 (음)10月1日 모제공(慕齊公) 7世 사정(士楨) 경기 남양주시 진건면 배양리 (음)3月15日 찬성공(贊成公) 8世 반(潘) 경기 남양주시 진건면 배양리 (양)4月8日 징사공(徵士公) 8世 국화(國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