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오희문(吳希文)의 임진왜란 피난기 일상

■ 오희문(吳希文)의 임진왜란 피난기 일상 『쇄미록(鎖尾錄)』은 해주오씨(海州吳氏)가 배출한 조선중기의 학자 오희문[吳希文: 1539(중종 34)~1613(광해군 5)]이 남긴 일기이다. 임진왜란을 당하여 쓴 피난일기가 중심을 이루지만, 일기 곳곳에는 일상의 삶을 살았던 당대인들의 생활 모습도 잘 드러나 있다. 2012년 4월은 임진왜란이 일어난 지 꼭 420주년이 되는 해이다. 『쇄미록』에 나타난 오희문(吳希文)의 피난기 일상의 삶을 통해 420년 전 조선시대 사람들의 삶의 모습 속으로 들어가 본다. 『쇄미록』에는 외가(外家)와 친분이 두터웠던 사실이 우선 주목되는데. 오희문(吳希文)의 부친인 오경민(吳景閔=長城縣監)을 지냄)은 당시의 풍습에 따라 혼인 후 오랜 기간을 영동(永同)에서 거주하였던 것으로..

민정중선생 묘(閔鼎重先生 墓)

■ 민정중(閔鼎重) [문과] 인조(仁祖) 27년(1649) 기축(己丑) 정시(庭試) 갑과(甲科) 1[장원(壯元)]위(1/7) [진사시] 인조(仁祖) 26년(1648)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식년진사 3등(三等) 1위(31/100 ----------------------------------------------------------------------------------------------------------------- 민정중[1628(인조 6)~1692(숙종 18)]은 숙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여흥, 자는 대수(大受), 호는 노봉(老峰)이다. 강원도관찰사를 지낸 민광훈(閔光勳, 1595~1659)의 아들이며 숙종(肅宗)의 계비(繼妃)인 인현왕후(仁顯王后)의 백부(伯父)이자 이조판서를 역임..

백석동천(白石洞天)=백사 이항복선생 별서(별당)

■ 백사이항복선생 별서(별당)복원계획 조감도 ↑소재지 : (서울시 종로구 부암동 90-1) ↑백석동천 암각 백석동천(白石洞天)은 서울시 종로구 부암동에 위치한 조선시대 별장유적인 백사실과 함께 사적 제 46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서울 도심 한복판에 버들치와 도룡뇽이 서식하는 청정지역이다. 백석(白石)이란 백악산(현재의 북악산) 뒷편에 있다하여 붙혀진 이름이고, 동천(洞天)이란 신선이 와서 놀 정도로 경치가 좋은 곳을 동천이라 한다고 전한다. 1급수의 계곡과 울창한 숲을 가진 이곳은 마치 시골 뒷산 계곡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한다.

합천이씨와 함평이씨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한국의 성씨이야기 합천이씨· 함평이씨 입력 2012. 02. 07 (화) 20:47 합천이씨는 경주이씨서 분적… 함평· 함풍이씨는 같은 본관 합천이씨(陜川李氏)는 경주이씨에서 분적된 성씨이다. 합천이씨의 시조는 이개(李開)라는 사람으로, 고려 초에 합천호장(陜川戶長)을 지낸 사람이다. 호장이라는 벼슬은 고려 초에 지방관을 파견할 수 없는 곳에 지역의 호족세력에게 지방통치를 맡기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따라서 합천이씨의 시조 이개가 합천호장을 지냈다는 것은 합천지역의 유력한 호족세력으로서 합천지역을 통치하는 지방관 역할을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합천이씨 시조 강양군 이개의 묘. 이개는 경주이씨의 시조 이알평의 39세 손으로 유구 국 20만 대군이 신라를 침입했을 때 단독으로 적..

양반이 된 노비 후손 2세기에 걸친 신분세탁

양반이 된 노비 후손 2세기에 걸친 신분세탁 서울신문|입력2012.03.07 03:26 [서울신문]조선시대 양반은 특권유지를 위해 어떤 전략을 썼을까. 하나는 '행정실무를 담당한 아전·향리들을 중간신분으로 격하'시키는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서자를 차별'하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누를 수 없는 게 특권에 대한 열망이다. 재산을 모은 노비가 양반 신분을 돈으로 사는 것이다. 사학계에서 이를 주로 19세기 멸망사로 연결짓는다. 국가재정의 파탄이 배경에 깔려 있다는 점에서 지도층의 무능을, 엄격한 신분질서가 흔들렸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사회의 혼란상을 나타내는 징표로 여기는 것이다. 그러나 그만큼 욕망이 강렬했던 것으로 본다면 어떨까. 역사비평 2012년 봄 호에 실린 권내현 고려대 역사교육과 교수의 논문 '양반..

김두한 전 국회의원 묘

■ 김두한 국회의원 묘. ↑김두한 전국회의원 묘역 우측편에서 내려다 보면 가수 배호 묘가 보입니다. 그러나 다음에 다시 찾아 온다고 해 도 찾기 가 쉽지 않을듯~~ ------------------------------------------------------------------------------------------------------------------------------------- 연합뉴스 2012/03/06 11:18 송고 '장군의 아들' 김두한 전국회의원 묘 아버지 곁으로 이전 무산 (보령=연합뉴스) 이은중 기자 = '장군의 아들' 김두한의 묘를 아버지 곁으로 이전하려던 충남 보령시의 계획이 무산됐다. 6일 보령시에 따르면 김을동 국회의원이 경기도 양주시 장흥 신세계공원에 안장된 ..

신라비[보물제1758호] - 포항 중성리

포항 중성리 신라비(浦項 中城里 新羅碑) --------------------------------------------- 현존 最古 중성리 신라비는 재판 판결문 ▲문화재청은 2월 22일 포항 '중성리 신라비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 1758호로 지정하였다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신라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내용을 연구ㆍ확정 지을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 특히, 이 비는 지금까지 발견된 신라비 중에서 그 연대가 가장 앞선 비(碑)일 가능성이 매우 높아, 신라의 서예사를 연구하는 데 획기적인 자료로 평가된다고 문화재청이 발표하였다. 중성리 신라비’는2009년 5월 포항시 북구 흥해읍 중성리에서 도로공사 도중 발견, 신고되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집안의 광개토태왕 비 - 옮겨진 것이 확실하다.

지안(集安) : 고구려의 400년 도읍지이다. ■ 집안에 있는 광개토태왕 비, 옮겨진 것이 확실하다 역사왜곡을 위해 거대한 태왕비까지 옮긴 중국 중국 길림성 집안현 통구에 고구려 19대 광개토태왕의 비가 우뚝 서있다. 비문에 새겨진 광개토태왕의 시호(諡號)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으로 줄여서 '호태왕'이라고도 한다. 이 비는 아들인 장수왕이 414년에 세운 것으로, 비는 커다란 각력응회암으로 된 불규칙한 직4각형의 기둥 모양으로 된 4면 비석이다. 비는 1876~80년 발견된 이후부터 주목을 받아, 당시 집안현 지사였던 유천성(劉天成) 등의 모금으로 비바람의 침식을 막기 위해 1928년에 2층으로 된 비각을 설치했다. 이 비각은 1976년에 낡아서 붕괴의 위험이 있다고 하여 ..

실학자가 말하는 사후세계/안정복

■ 실학자가 말하는 사후세계 지구상에서 사람만이 사후세계를 궁금하게 생각한다. 다른 동물들과 달리 사람만이 자신이 유한한 존재임을 알고서 살기 때문이다. 어쩌면 삶과 동시에 죽음을 인식하고 살아가야 하는 것이 사람이 안고 있는 가장 큰 불행일지도 모른다. 이 때문에 마음이 늘 불안하여 사람들은 종교에 의지하고, 눈 앞에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것을 더 믿고 싶어하여 미망에 빠진다. 실학자인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은 녹암(鹿菴) 권철신(權哲身)을 비롯한 젊은 후배들이 천주교를 받아들이는 것을 반대하고 끝까지 주자학을 존신(尊信)하였다. 그렇지만 여느 주자학자들과는 달리 순암은 사후세계에 대해 일정한 관심을 가졌다. 귀신이 무엇인지는 《주역(周易)》〈계사(繫辭)〉, 《예기(禮記)》 〈제의(祭義)〉 ..

심정선생 묘(沈貞先生 墓)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77호/소재지 : 서울시 강서구 방화동 855(삼정초교 정문 옆)/사진 : 개미실사랑방 ↑2017년 4월 촬영 모습/아마 멧돼지가 봉분을 회손 한듯 함 ↑ⓒ개미실사랑방(2015촬영) ●심정(沈貞) [문과] 연산군(燕山君) 8년(1502) 임술(壬戌) 알성시(謁聖試) 2등(二等) 2위 ------------------------------------------------------------------------------------------------------------------------------------ 1471년(성종 2)∼1531년(중종 26) 때인.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 아버지는 부사를 지내고 적개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