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지나친 형식은 예(禮)가 아니다.

■지나친 형식은 예가 아니다. 재상의 말을 땅에 엎드려 들어야 한다면, 임금의 말은 땅을 파고 들어가 들어야 하는지요? [원문] 宰相之言伏地聽。則君上之言當掘地聽乎。 재상지언복지청。즉군상지언당굴지청호。 자료 : 이학규(李學逵,1770~1835),,《낙하생집(洛下生集)》 --------------------------------------------------------------------------------------------------------------------------- [해설] 문절공(文節公) 주열『朱悅,1227(고종 14(~1287(충렬왕 13)』이라는 분은 고려 때의 명신입니다. 성품이 맑으면서도 강직하였으며, 시문과 글씨에도 능하였습니다. 그가 아직 벼슬이 높지 않았을 때였습니다. ..

사계 김장생의 예설(沙溪 金長生의 禮說)

■ 사계 김장생의 예설(沙溪 金長生의 禮說) 1.서 론 일반적으로 사계는 조선조의 대표적인 예학자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는 예학 뿐만 아니라 성리학에 대하여도 많은 연구를 하였으며 이것은 그의 예학의 이론적 기초가 되고 있다. 사계는 시기적으로 퇴율(退栗)을 정점으로 하는 조선 전기유학을 후기유학으로 매개시키는 교량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특히 율곡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켰다. 조선조 유학은 자연의 문제보다는 인간의 문제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退栗에 의하여 사칠논쟁(論爭)이 치열하게 전개되었고 이러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계의 시대에 이르러서는 인간의 구체적인 삶의 문제인 예학이 현실적으로 요청되게 되었다. 2.시대적 배경 沙溪 金長生이 살았던 16세기 중엽으로부터 17세..

절충장군(折衝將軍)과 어모장군(禦侮將軍)의 품계(品階) 차이

절충장군(折衝將軍)과 어모장군(禦侮將軍)의 품계(品階) 차이 절충장군(折衝將軍)은 서반(西班)의 정삼품(正三品)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의 품계이기 대문에 당상관(堂上官)에 속한다. 따라서 부인에게는 숙부인(淑夫人)의 작호를 내린다. 그러나 어모장군(禦侮將軍)은 정삼품(正三品) 품계이지만 통훈대부(通訓大夫)의 품계이기 때문에 당하관(堂下官)에 속한다. 따라서 부인에게는 숙인(淑人)의 작호를 내린다.

원주변씨 시조 변안렬선생 묘.

■ 변안렬[邊安烈] 1334년(충숙왕 복위 3)∼1390년(공양왕 2). 고려말의 무신. 자는 충가(忠可). 호는 대은(大隱). 본래 중국 심양(瀋陽)사람으로. 원주변씨(原州邊氏)의 시조이다. 원나라 말기에 병란으로 당시 심양에 가 있던 공민왕을 따라 고려에 들어와 원주(原州)를 본관으로 받았다. 1361년(공민왕 10) 안우(安祐)를 따라 홍건적(紅巾賊)을 패주시켜, 이등공신으로 판소부감사(判小府監事)로 승진하고, 이듬해에 개성을 수복하고 일등공신이 되었다. 예의판서(禮儀判書)가 되어 추성보조공신(推誠輔祚功臣)의 호를 받았고,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로 최영(崔瑩)과 더불어 제주를 정벌한 뒤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문하평리(門下評理)를 역임하였다. 우왕 때 추충양절선위익찬공신(推忠亮節宣威翊贊功臣)의 호를..

나홀로 제50차 능원묘 답사 결과

▲조말생선생 묘역 조말생 선생은 원래 죽어 오늘날의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지금의 홍릉(洪陵,조선 26대 고종과 명성왕후 민씨 릉)에 안장되었으나 그곳에 고종황제의 능이 들어서면서 수석동 산2~1번지로 이장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조말생의 묘비는 향토유적 제8호로 지정되어있으나 정식 문화재로 지정되길 바란다. ◇답사지 : 홍유릉. 사릉 및 경기 동부지역(남양주/양평)권의 묘지. ◇일 시 : 2010.04.18(일) 08:30~19:00 ◇참가인원 : 9명 ▲1년여 만에 다시 찾은 조말생선생 묘역의 하단에 있던 후손 묘역군들은 봉분을 없애고 평장으로, 표석들은 좌측 으로 일렬종대... ▲원래 찾고자 했던 조말생선생 후손 묘역을 다시 찾아... 관리도 잘 되어있고, 묘역도 상당히 좋습니다. ▲조말생선생의 ..

이종학(李種學)

■ 이종학(李種學) ●문과시(文科試) [고려문과] 우왕(禑王) 8년 (1382) 임술(壬戌) 우왕 8년 임술방(禑王 八年 壬戌榜) [인적사항] [생년] [졸년] [자] [호] 인재(麟齋) [시호] [합격연령] [본관] 한산(韓山) [거주지] [이력사항] [전력] [관직] 밀직(密直) [기타] [가족사항] [부] 이색(李穡) [조부] 성명 이곡(李穀) [증조부] 이자성(李自成) [외조부] 권중달(權仲達) [처부] 이춘부(李春富) [형] 이종덕(李種德) [출전] 《고려열조등과록(高麗列朝登科錄)》

이종선(李種善)

■ 이종선(李種善) ● 문과시(文科試) [고려문과] 우왕(禑王) 8년(1382) 임술(壬戌) 우왕 8년 임술방(禑王 八年 壬戌榜) [인적사항] ◇생년 무신(戊申) 1368년(공민왕 17) ◇졸년 무오(戊午) 1438년(세종 20) ◇자 ◇호 ◇시호 양경(良景) ◇합격연령 15세 ◇본관 한산(韓山) ◇거주지 李種善 [이력사항] ◇전력 낭장(郞將) ◇관직 판추(判樞) /유후(留后) ◇기타 [가족사항] ◇부 이색(李穡) ◇조부 이곡(李穀) ◇증조부 이자성(李自成) ◇외조부 권중달(權仲達)/본관 : 안동(安東)【 ◇처부 권균(權鈞)/본관 : 안동(安東) ◇처부2 권근(權近)/본관 : 안동(安東) [안항. 형제] ◇형 이종덕(李種德 ◇형 이종덕(李種德) [출전] 《고려열조등과록(高麗列朝登科錄)》

이조년(李兆年) - 星州人

■ 이조년(李兆年) ● 문과시(文科試) [고려문과] 충렬왕(忠烈王) 11년 (1285) 을유(乙酉) 충렬왕 11년 을유방(忠烈王 十一年 乙酉榜) [진사시] 을유(乙酉) 1285년(충렬왕 11) 향공진사(鄕貢進士) ●인적사항 [생년] 기사(己巳) 1269년(원종 10) [졸년] 1343년(충혜왕 후4) [자] 원로(元老) [호] 매운당(梅雲堂)· [시호] 문렬(文烈) [합격연령] 17세 [군호] 성산군(星山君) [본관] 성주(星州)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에는 본관이“경산(京山)”으로 기록 되어 있음. [거주지] 경산(京山)/『경산지(京山志)』 卷4, 人物. ●이력사항 [전력] [관직] 정당문학(政堂文學)/성산군(星山君) [기타] 을유향공진사(乙酉鄕貢進士) ●가족사항 [부..

이응(李膺)

■ 이응(李膺) ● 문과시(文科試) [고려문과] 우왕(禑王) 11년(1385) 을축(乙丑) 우왕 11년 을축방(禑王 十一年 乙丑榜) ● 인적사항 [생년] 을사(乙巳) 1365년(공민왕 14) [졸년] 갑오(甲午) 1414년(태종 14) [자] [호] [시호] 정경(貞景) [합격연령] [본관]영천(永川) [거주지] 미상(未詳) ● 이력사항 [전력] [관직] 병판(兵判) [기타] ● 가족사항 [부] 이희충(李希忠)/『태종실록』 28권, 태종 14년(1414) 7월 24일」 졸기 기사를 참고; [조부] 이유(李瑜)/『태조실록』 12권, 태조 6년(1397) 9월 2일」 졸기 기사를 참고. [증조부] 李○○ [외조부] [처 부 ] 최병례(崔丙禮) [출전] 《고려열조등과록(高麗列朝登科錄)》

강희맹 선생 묘(姜希孟 先生 墓)

↑묘의 원경에서 안내문이 서있는 위쪽이 강희맹 선생의 묘이다. ↑강희맹 신도비각 (1988년 비각 건립) ↑신도비는 1488년(성종 19) 건립 ●강희맹 선생 묘 및 신도비 ☀소재지 : 경기도 시흥시 하상동 367번지 ☀지정번호 : 경기도 기념물 제87호 ☀지정연월일 : 1985년 9월 20일 ☀시대 : 묘 → 성종 14년(1483), 신도비 → 성종 19년(1488) 강희맹(姜希孟,1424~1483) 선생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농학자로 자는 경순(景醇), 호는 사숙재(私淑齋)ㆍ국오(菊塢)ㆍ만송강(萬松岡)ㆍ운송거사(雲松居士)ㆍ무위자(無爲子)이며, 본관은 진주(晉州)이다.세종 29년(1447)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처 좌찬성(左贊成)등을 역임했다. 저서에 『사숙재집(私淑齋集)』ㆍ『촌담해이(村談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