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윤집 선생 묘(尹集先生 墓)

윤집 묘(尹集 墓)와 신도비(神道碑) / Written by 한국의 능원 묘 ▲ 묘역 뒷편에서 내려다 본 모습으로. 사진 우측이 삼학사의 한분이신 윤집선생 묘이고 약간 좌측 아래 묘가 아들 윤이선(尹以宣) 입니다. 윤집(尹集, 1606~1637)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서 병자호란 때 청과의 화의를 반대한 3학사(三學士)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성백(成伯), 호는 임계(林溪)·고산(高山). 증조는 윤우신(尹又新), 조부는 윤섬(尹暹), 아버지는 현감 윤형갑(尹衡甲), 어머니는 춘천부사 황치경(黃致敬)의 따님 창원 황씨이며, 형이 남양부사 계(棨)이다. 어려서 아버지가 죽자 형과 함께 공부했다. ▲ 윤집선생 묘역을 우측으로 오르면 신도비를 볼 수 있습니다. ▲ 묘역 하단에 위치한 후손 묘..

남원윤씨 명인록(南原尹氏 名人錄)

남원윤씨(南原尹氏)의 시조는 윤관(尹瓘)의 증손 위(威)이다. 신종 때 국자사업(國子司業)으로 호남안렴사(湖南按廉使-從二品으로 오늘날의 도지사)가 되어 남원의 적을 토평하고, 남원군에 봉해진 뒤, 자손들이 관적을 남원으로 하였다. ● 윤형(尹衡) (고증자료 조사할것). 형조(刑曹), 이조판서(吏曹判書-正二品)를 지냈다. [문과] 중종(中宗) 11년(1516) 병자(丙子)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9위 [문과] 중종(中宗) 21년(1526) 병술(丙戌) 중시(重試) 병과(丙科) 4위 [생원진사시] 연산군(燕山君) 2년(1496) 병진(丙辰)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18위 --------------------------------------------------------------------..

해주최씨 역대주요인물

해주최씨 역대 주요인물 (海州崔氏 歷代 主要人物) ●고려 ◇최 온(崔 溫) : 시조 판리부사(判吏部事) ◇최 충(崔 冲) : 자(字) 호연(浩然). 호(號) 성재(惺齋). 시호(諡號) 문헌(文憲). 문하시중(門下侍中). 11개 공신칭 호 받음. 정종(靖宗) 묘정에 배향됨. ◇최유선(崔惟善) : 자(字) 락부(樂夫). 호(號) 송탄(松灘). 시호(諡號) 문화(文和) 문하시중(門下侍中). 4개의 공 신 칭호 받음. 문종(文宗)묘정에 배향됨. ◇최유길(崔惟吉) : 호(號) 월계(月溪), 청곡(淸谷), 시호(諡號) 문장(文莊). 수사공섭상서령(守司空攝尙書令). 금(金)나라에 다녀옴. ◇최사제(崔思齊) : 시호 양평(良平).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 ◇최사추(崔思諏) : 字 가언(嘉言). 시호 충경(忠景). 문하..

고죽 최경창(孤竹 崔慶昌)과 유인 홍랑 지묘(孺人洪娘之 墓)

↑고죽 최경창선생 묘(孤竹 崔慶昌先生墓) ↑최경창선생 묘 후경 선생 묘역 뒤에서 내려다 본 모습으로 아래의 묘가 유인홍랑지묘(孺人洪娘之 墓)이다.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다율리 산 114번지에 소재하는 해주최씨(海州 崔氏)의 고죽 최경창(孤竹 崔慶昌)선생과 여류시인 관기 홍랑(洪娘)의 묘이다. 유인 홍랑의 묘(墓) 위에 보이는 묘가 고죽 최경창(孤竹 崔慶昌)선생의 묘이다. ↑유인홍랑지묘(孺人洪娘之墓) ↑유인 홍랑 지묘 비(孺人洪娘之墓碑) ↑고죽 최경창선생 영정(孤竹 崔慶昌先生影幀)

남원윤씨 5자 등과록

●남원윤씨 5자 등과록 長男, 尹昫(윤구,1558年生). 淑夫人-平壤趙氏, 淑夫人-海州李氏. 字는 汝旭. 1595年(宣祖28年) 乙未別試丙科 11位. 前職: 幼學, 合格年齡: 38歲. 入格等位: 11/15. 職歷 : 禮曹正郞. 四男과 同時合格. 家族關係, 曾祖父: 尹時英. 祖父: 尹淸. 父: 尹民新. 妻父: 趙鷹. 外祖父: 李敬宗. 次男, 尹曙(윤서.1561年生). 宜人-金氏, 宜人-宋氏. 字는 汝顯, 1597年(宣祖30年) 丁酉別試乙科 2位前職: 幼學, 合格年 齡:37歲. 入格等位: 2/19. 職歷: 成均館權智. 家族關係, 曾祖父: 尹時英. 祖父: 尹淸. 父: 尹民新. 妻父: 金烈. 外祖 父: 李敬宗. 三男, 尹日+吉(윤길,1564年生). 貞夫人-全州李氏. 字는 汝明. 1593年(宣祖26年) 癸巳全州別..

남원윤씨 세계도(南原尹氏 世系圖)

남뭔윤씨(南原尹氏) 시조는 윤관[尹瓘- (?) - 1111 (예종 6)]의 증손 위(威)이다. 신종 때 국자사업[ 國子司業-국자감(國子監)의 종4품 벼슬]으로 호남안렴사(湖南按廉使-오늘날의 광역시장, 도지사)가 되어 남원의 적을 토평하고 남원군(南原君)에 봉해진 뒤, 자손들이 관적을 남원으로 하였다. 그의 7세손 윤형(尹衡-庶尹 : 從四品)이 형조(刑曹) · 이조판서(吏曹判書-正二品)를 지냈으며, 위의 후손 윤섬[尹暹-1561 (명종 16) ~ 1592 (선조 25)]은 선조 때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들어가 태조의 조상이 이인임(李仁任)으로 잘못 기록된 것을 바로잡아, 그 공으로 광국공신 2등에 책록되고 사복시정(司僕寺正-正三品)을 지냈다. 윤섬(尹暹)의 손자 윤집[尹集-1606 (선조 39) -..

안겸재 진찬 유서 (安謙齋眞贊有序 ) - 이제현

동문선 제51권 안겸재 진찬 유서 (安謙齋眞贊 有序) ◇安謙齋는 안향의 손자이다. 이제현(李齊賢) 찬(撰) 안 문성공(安文成公)은 일대에 있어서 유학자의 종장이었다. 내가 아직 20도 못 되었을 때 한 번 길에서 뵈옵고 드디어 사랑을 받았으며 인하여 그의 손자인 겸재(謙齋)를 알게 되었다. 그 후 10년에 나의 아버지 동암공(東菴公)이 과거에 고시관으로 있을 때에 겸재는 책(策)으로 응시하여 과거에 올랐다. 이리하여 우리 두 사람은 사귐이 가장 오래 되었다. 지정(至正) 경자년에 겸재가 죽었다. 이듬해 가을에 남아 있는 그의 화상을 보고 섭섭하여 그 옆에 적는다. 검소하였으나 고루하지 않았고 온화하였으나 지나치지 않았다. 확고히 법도를 지켰고 엄연히 아름다움을 발휘하였으니 그는 문성공의 손자로서 알맞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