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경주최씨 인물록(慶州崔氏 人物錄)

■ 경주최씨 인물록(慶州崔氏人物錄) 대종(大宗)인 경주최씨(慶州崔氏)는 신라의 석학 최치원(崔致遠)을 시조로 한다. 그는 한문학의 조종(祖宗)으로서 절세의 명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시문집으로 《계원필경(桂苑筆耕)》(20권) 등의 명저를 남겼다. 경주최씨는 신라 말에 명성을 떨쳤고,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도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성종 때의 승로(承老 :수문하시중), 현종 때의 항(沆 :평장사), 충숙왕 때의 해(瀣), 명종 때의 여해(汝諧) 등을 들 수 있다. 경주최씨의 세계(世系)는 최치원을 시조로 26파로 나뉘는데, 그 중 관가정공파(觀稼亭公派)· 광정공파(匡靖公派)· 정랑공파(正郞公派)· 사성공파(司成公派)· 화숙공파(和淑公派)· 충렬공파(忠烈公派) 등 6대파가 주축을 이룬다. 이들 6파 가운데서 ..

도동서원(道東書院)

■ 도동서원(道東書院) [지정] 사적 제488호 | 2007.10.10 지정 [시대] 조선시대 [분류] 유적건조물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원 [소재지] 대구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35번지 (8,891㎡) [서원소개] 도동서원(道東書院)은 조선의 5현중 수현(首賢)인 문경공(文敬公)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 1454(단종 2)~1504(연산군 10)] 선생의 도학(道學)을 계승하기 위하여,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연산군 7)~1570(선조 3)]과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중종 38)~1620(광해군 12)]선생의 주도로, 유림의 협조를 받아 세워졌다. 1607년 선조 대왕 40년에 도동서원(道東書院)으로 이름지은 현판을 하사받고, 사액서원(賜額書院)이 되었다. 1865년(고종..

대구 민충사 중수기(大邱愍忠祠重建記)

瓛齋先生集卷之四 潘南朴珪壽瓛卿著 ■ 大邱愍忠祠重建記 聖上五年冬十一月癸巳。嶺南暗行御史朴珪壽還奏言。本道故觀察使黃璿。當英廟戊申之變。戮力王室。克平亂賊。按獄未竟。暴卒於位。其事有可疑者。嶺之民士頌其功而悲其死。爲之立祠於大邱府城南龜山之下。旣而混撤於祠院私祀之禁。獨有記績短碑。掩翳於荒榛蔓艸之間。竊惟昇平日久。民不知兵。倉卒狂賊。迭發湖嶺。煽動詿誤。而軍民有向背之惑。鴟張豕突。而州郡有崩潰之勢。璿坐鎭方面。指揮諸軍。隨機應變。動無遺策。使糾結外內之賊。終不敢踰嶺一步。而旬月之間。兇醜授首。其功存社稷。惠被生民。不但在一路之全安而已。其功甫施。其身不幸。追惟往蹟。尙足可悲。而一區祠屋。亦隨而廢。于今百數十年之間。不復有言其事者。豐功偉蹟。埋沒不章。誠可謂晟世之缺典。夫勤事捍患。皆登祀典。先王之禮也。臣謂特命立祠宣額。以之酬勳勣奬忠勤。而又可以興勸一方。敢眛死以聞。上下其議有司。未..

육영수 여사 생가

육영수 여사 생가 복원 육영수 여사님은 충북 옥천읍 교동리에서 1925년 11월 29일 아버지 육종관씨와 어머니 이경령 여사 사이에서 1남 3녀 중 셋째로 태어남, 1938년 옥천 죽향초드학교를 졸업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에 입학 학창시절 재봉과 수예 솜씨가 뛰어났으며, 요리에도 남다른 솜씨를 발휘. 1942년 배화여자 고등학교를 졸업 교동집으로 돌아와 집안일과 아버지 사업을 도왔으며, 1945년 11월에 옥천여자 중학교 가사 담당교사가 되어 학생들에게 수예, 도화(미술)등을 가르쳤다. 1950년 6. 25전쟁때 피난 온 부산집에서 송채천 소위의 소개로 박정희 소령을 처음 만나 그해 12월 대구에서 결혼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다. 박정희 대통령의 영부인이 되어 서울 남산 어린이집 건립 또 어린이들을 위한..

고조선의 유민과 신라의 민족 구성

1. 고조선의 유민 1-1 북진한 세력 : 북부여→고구려, 백제 박씨족→훗날 남하함 1-2 남진한 세력 : 진한 육부성씨 1-3 고조선(기자조선, 위만조선) 유민의 한반도 유입→진한의 육촌을 형성함 2. 신라의 민족 구성 2-1 동이족→진한 육부성씨(古朝鮮)의 유민으로 보는 설, 고조선 세력 중에서 남쪽으로 이동한 세력이 六部세력이고 북 쪽으로 이동한 세력이 해모수(解慕漱) 세력임. 2-2 동이족→진한인(진한인들을 고조선(古朝鮮) 멸망 후 진(秦) 나라의 압제를 피해 한반도로 이주해온 유망민들의 후손 으로 보는 설, 진시황도 동이족의 후손인 염씨(嬴氏) 임. 2-3 동이족→예맥족→박씨(부여족의 후손이라는 설) 2-4 동호족→오환족→박씨(오환족의 후손이라는 설) 2-5 흉노족→신라 김씨(김일제의 후손이라는..

화산서원(花山書院)

■ 화산서원(花山書院) *경기도 기념물 제46호(1975. 09. 05 지정)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방축리 산16~1 조선 선조 때의 명신 백사 이항복(李恒福 . 1556~1618)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건립하고 위패를 모신 서원이다. 인조 13년(1635) 건립되었다가 숙종 원년(1675) 임금이 친히 이름을 지어 그것을 새긴 편액을 내린 사액서원(賜額書院)이 되었다. 고종 5년(1868)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1971년 지방 유림들의 뜻을 모아 복원 되었다 현재 사당과 동.서재. 내삼문. 외삼문 등의 건물이 남아있다.이항복은 선조13년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처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를 모시고 따랐다, 임진왜란이 끝난 뒤 영의정이 되었고 청백리에..

삼부팔모(三父八母)

■ 삼부팔모(三父八母) 복제(服制)에서 친부모 이외를 말하며,, 자신과의 관계가 직. 간접으로 아버지의 지위에 있는 세 사람과 어머니의 지위에 있는 여덟 사람에 대하여, 상례(喪禮)상의 복제(服制)가 있고 없는 한계를 정한 것을 말한다. ●삼부(三父) ①동거계부(同居 繼父) 어머니가 후살이 간 집에 따라가서 함께 사는 계부. 즉 의붓아버지를 말한다. 이 경우 계부에게 자식이 없고 양자도 없을 뿐 아니라 대공(大功) 이상의 친척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서 부장기 (不杖朞朞, 1년상)의 복(服)을 입도록 하였다. ②부 동거계부(不 同居 繼父) 어머니가 개가할 때, 함께 따라가지 않은 계부. 이때 복은 없다. 그러나 어머니가 개가할 때 어려서 함께 따라가 장성한 후, 분가한 뒤 헤어져 살게 된 계부는 비록 동거를..

조선조 초기 공신록(태조~태종)

■ 조선조 초기 공신록(태조~태종) 연번 공신명 (功臣號) 책록년도(冊錄年度)및공적(功績) 등 급(等 級) 비고(備考) 1 개국공신 (開國功臣) 1932년 (太祖 1) 1등(一等) (15명) 이방의(李芳毅) 전주(全州) 태조 3남 이방의(李芳毅) 익안대군 (益安大君) ▷김인찬(金仁贊), 황희석(黃希碩) 추록(追錄) ▷오몽을(吳蒙乙) 1398년(태조 7) 추탈(追奪) ▷정도전(鄭道傳) 남 은(南誾) 1398년 추탈(追奪)뒤에 복작(復爵) ▷박포(朴苞,) 이은(李慇) 추탈(追奪) 배극렴(裵克廉) 성주(星州) 영의정(領議政) 조 준(趙 浚) 평양(平壤) 영의정(領議政) 김사형(金士衡) 안동(安東) 우의정(右議政) 이 제(李 濟) 성산(星山) 태조 부마 이 화(李 和) 전주(全州) 의안대군 정계희(鄭熙啓) 경주..

정석모 내무부 장관 묘(鄭石謨內務部長官墓)

■ 정석모(鄭石謨 : 1929년 3월 3일~2009년 6월 8일)/뱀띠생 정석모(鄭石謨) 전 장관은 충청남도 공주 출생으로, 전라남도, 경상남도, 부산시 경찰국장, 내무부 치안국장, 강원도, 충청남도의 도지사를 거쳐,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국회의원을 지낸 경찰 관료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이다. 관향은 동래(東來)이다. 그는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경찰국장과 치안국장을 지낸 후, 도지사와 내무부 차관을 거쳐 10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공천으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민주정의당에 영입되어 제11대, 제12대는 지역구 국회의원(공주시. 논산군)으로 지내고 제13대, 제14대는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뒤 자민련으로 당을 옮겼다. 또한 정치인으로 현재 이..

덕종의 부마 홍상/중종의 후궁 희빈홍씨 아버지 홍경주/봉성군/김질 묘

나홀로 제63차 능원묘 답사 결과 ↑ 세조의 아들이자 성종의 아버지인 덕종의 부마 홍상 묘와 홍상의 부 홍응 묘역 전경. 1,답사지 : 경기 동북부 권역 묘지/강원도 철원 권역 관광지 2,일시 : 2011. 05. 05(어린이날) 08:30 ~ 18:00 3,참가인원 : 13명 ↑중종의 후궁 희빈 홍씨의 아버지이며, 기묘사화의 중심에 섰던 홍경주 묘역 전경 ↑홍경주 묘역 뒤에서 내려다 본 모습. 아래의 쌍분이 을사사화로 인하여 사사된 후에 외가 묘역에 묻힌 봉성군 ↑희빈 홍씨가 낳은 중종의 서6자 봉성군 묘역 전경 ↑사육신의 단종 복위계획을 밀고한 김질 묘역 전경. 신도비만 있고, 묘비가 없어서... ↑김질 묘역 후경 ↑점심은 곰탕으로... 앵콜재창님께서 몇 다발의 역사 서적을 가져 오셔서 나누어 주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