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동방의 거대벌족 경주이씨

■동방의 거대벌족 경주이씨 문벌주요 지표1) ●벌족(閥族) 규모 : 제 5위 1. 김해김씨 2. 밀양박씨 3. 전주이씨 4. 경주김씨 5. 경주이씨 ●상신(相臣): 공동 9위(혹은 공동 10위)2) 1. 전주이씨(22명) 2. 동래정씨(17명) 3. 신안동김씨(15명) 4. 청송심씨(13명) 5. 청주한씨, 여흥민씨(12명) 6. 파평윤씨(11명) 7. 남양홍씨(10명) 8. 대구서씨(9명) 9. 경주이씨, 안동권씨, 연안이씨, 청풍김씨(8명) ●대제학(大提學): 공동 4위(혹은 공동 10위)3) 1. 광산김씨, 연안이씨, 전주이씨(7명) 2. 안동김씨, 연안김씨, 대구서씨, 의령남씨, 덕수이씨(6명) 3. 풍양조씨(4명) 4. 경주이씨, 안동권씨, 남양홍씨, 여흥민씨, 청풍김씨, 양주조씨, 연일정씨, ..

정인지 선생 묘(鄭麟趾先生墓)

■ 학역재 정인지 선생 묘(學易齋 鄭麟趾 先生 墓) ○생졸년 : 1396년(태조 5)~1478년(성종 9) ○문화재지정일 : 1980년 11월 13일 충청북도기념물 제33호. ○소재지 :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외령리 산144번지 정인지(鄭麟趾) 선생의 자는 백저(伯雎), 호는 학 역재(學易齋), 본관은 하동(河東)으로, 권우(權遇)의 문인이다. 1414년(태종 14) 과거에 급제하여 세종(世宗) 때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 부제학(副提學)등을 지내고 성삼문「成三問,1418년(태종 18)~1456년(세조 2)」, 신숙주「申叔舟,1417년(태종 17)~1475년(성종 6),」 최항「崔恒,1409년(태종 9)~1474년(성종 5)」등과 함께 훈민정음을 창제하는데 공을 세웠다. 김종서「金宗瑞,1383년(..

경주이씨 유례

■경주이씨 유례(慶州李氏由來) 시조(始祖) 휘(諱) 알평(謁平)은 육부촌장(六部村長)의 수장(首長)으로 알천(閼川) 안상(岸上)에 화백회의(和白會議)를 소집(召集), 기원전오십칠년(紀元前五十七年) 신라(新羅) 시조(始祖) 박혁거세(朴赫居世) 거서간(居西干)을 국왕(國王)으로 익대(翊戴)한 신라(新羅開國) 원훈(元勳)이시다 . 신라제삼대(新羅第三代) 유리왕(儒理王) 구년(九年=西紀32年) 육부촌장(六部村長)에 각각(各各) 사성(賜姓)하였는데 첫째 알천(閼川) 양산촌장(楊山村長) 알평(謁平)에 이씨(李氏), 둘째 돌산고허촌장(突山 古墟村長) 소벌도리(蘇伐都利)에 최씨(崔氏)를, 셋째 무산대수촌장(茂山大樹村長) 구례마(俱禮馬)에 손씨(孫氏)를, 넷째 취산진지촌장((嘴山珍支村長) 지백호(智白虎)에 정씨(鄭氏)를..

경주이씨 연원(慶州李氏淵源)

■ 경주이씨 연원(慶州李氏淵源) 1. 시조탄강(始祖誕降) 전한(前漢) 무제(武帝) 원수(元狩) 6년 갑자(甲子: 서기전 117)에 하늘에서 육대인(六大人)을 경주(慶州) 땅에 탄강(誕降)시켜 육촌(六村)의 장(長)을 삼았다. 첫째는 알천(閼川) 양산촌(楊山村)이니 촌장(村長)은 알평(閼平)으로 처음 표암봉(瓢巖峰)에 강림(降臨)하였고, 둘째는 돌산(突山) 고허촌(高墟忖)이니 촌장은 소벌도리(蘇伐道利)로 처음 형산(兄山)에 강림하였고, 셋째는 자산(觜山) 진지촌(珍支村)이니 촌장(村長)은 지백호(智伯虎)로 처음 화산(花山)에 강림하였고, 넷째는 무산(茂山) 대수촌(大樹村)이니 촌장은 구례마(俱禮馬)로 처음 이산(伊山)에 강림 하였고, 다섯째는 금산(金山) 가리촌(加利村)이니 촌장은 지타(祇沱)로 명활산(明..

조선의 지역별 문과급제자 수

■ 조선시대 지역별 문과급제자 수(1392~1910년) 京 서울 : 3,969명 평안도 정주 : 235명 경상도 안동: 154명 충청도 충주: 132명 경상도 상주: 119명 평안도 평양: 117명 경상도 영주: 110명 경기도 광주: 107명 충청도 청주: 101명 함경도 함흥: 98 명 경기도 개성: 82명 전라도 남원: 81명 경기도 양주: 81명 충청도 공주: 80명 강원도 강릉: 75명 강원도 원주: 73명 경기도 수원: 68명 경기도 여주: 64명 전라도 나주: 64명 경상도 예안: 61명 평안도 안주: 60명 전라도 전주 : 54명 경상도 경주: 52명 ■ 도별 과거 급제자 수 서 울 : 3,969명(65.7%) 경기도 : 402명(6,7%) 충청도 : 313명(5,2%) 경상도 : 496명..

경주이씨 대동행렬자 적용유례

■ 경주이씨 대동행렬 자 적용유례 (慶州李氏 大同行列 字 適用類例) 경주이씨(慶州李氏) 금석록(金石錄)을 보면, 경주이씨 화수회가 발족한 것은 1868년(고종 5년)으로, 지금으로 부터 143년 전이 되고, 이는 고종(高宗) 초기 대원군께서 섭정하고 계실 때 전국에 왕명(王命)으로 모던 성씨들은 각기 항렬자(行列字)를 정하고 이에 따라, 이름을 작명하되 장파(長派)의 항렬자를 따라 통일하여, 성명만 보더라도 그 관향과 항렬을 단번에 알아보고, 서로 돈목(敦睦)하고 위 아래 차서(次序)를 혼동(混同)해서, 망발(妄發)하는 일이 없게 하라고 명했다. 이에 오문(吾門)에서는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귤산(橘山) 유원(裕元) 공의 제청으로 상서공파(尙書公派)에서, 유원(裕元), 유승(裕承), 유응(裕膺), 국당공..

윤후 묘갈명 병서(尹侯墓碣銘幷序)/남원윤씨

■유명조선국 통훈대부 행 군자감 판관 윤후 묘갈명 병서 자헌대부 의정부 좌참찬 겸 지의금부사 이사균 찬. 급모 김노 서. 군(君)의 휘(諱)는 은(訔)이요. 자는 화중(和仲)이니 남원 대성이다. 함길도도관찰출척사(咸吉道都觀察黜陟使)로청백(淸白)함으로써 이름을 나타낸 이는 휘(諱) 임(臨)이니 선공감지득(繕工監之得)을 낳았는데 일찍 세상을 떠났으니 곧 군(君)의 아버지다. 공조전서(工曹典書) 기면(奇勉)의 따님을 아내로 맞이하니 기(奇)씨 또한 이름난 씨족이다. 부인은 집안을 다스림에 어긋남이 없었으니 가훈(家訓)을 잘 지켜 그러 했던 것이다. 군(君)이 어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장성 하매 능히 스승에게 취학하여 경전(經傳)을 통달하고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연달아 뜻을 얻지 못하다가 만년(晩年)에 음사(蔭..

서산대사의 시비에 있는글

■서산대사의 시비에 있는 글 이 보게 친구 ! 살아 있는 게 무언가 숨 한번 들여 마시고 마신 숨 다시 뱉어내고 가졌다 버렸다, 버렸다 가졌다 그게 바로 살아 있다는 증표 아니던가? 그러다 어느 한 순간 들여 마신 숨 내뱉지 못하면 그게 바로 죽는 것이지. 어느 누가 그 값을 내라고도 하지 않는 공기 한 모금도 가졌던 것 버릴 줄 모르면 그게 곧 저승 가는 것인 줄 뻔히 알면서 어찌 그렇게 이것도 내 것 저것도 내 것, 모두 다 내 것인 양 움켜쥐려고만 하시는가? 아무리 많이 가졌어도 저승길 가는 데는 티끌 하나도 못 가지고 가는 법이리니 쓸 만큼 쓰고 남은 것은 버릴 줄도 아시게나. 자네가 움켜쥔 게 웬만큼 되거들랑 자네보다 더 아쉬운 사람에게 자네 것 좀 나눠주고 그들의 마음 밭에 자네 추억 씨앗 뿌..

송천집(松泉集) - 박문국(朴文國)

■ 송천집(松泉集) 저자 : 박문국(朴文國) 조선 후기의 학자 박문국(朴文國)의 시문집이다. 선생의 고령박씨(高靈朴氏), 진사 박경가(朴慶家)의 아버지 이고. 고령군 쌍림면 하거리에서 출생하여 그곳에서 살았다. 그의 시문집인 송천집(松泉集)은 4권 부록 합 3책. 필사본으로, 간행 여부는 분명하지 않으나 시문(詩文)의 내용 중 이따금 누락된 글자에 ‘缺(결)’자 표시가 있고, 부록 등이 있는 점으로 보아 간행을 목적으로 편집된 고본(稿本)으로 추정된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제1책 권1에 시 234수, 권2에 서(書) 4편, 제문 3편, 기(記) 1편, 제2책 권1은 남귀창수록(南歸唱酬錄)으로 최흥벽(崔興璧)의 소서(小序)와 윤동야(尹東野)의 시평(詩評), 이어 연구(聯句) 27수가 있다. 부록에 차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