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전국 향교소재지(全國 鄕校 所在地)

전국 향교 소재지(全國 鄕校 所在地) 향교(鄕校)는 조선시대(朝鮮時代)의 지방 교육기관으로 서울의 사학(四學 : 동학. 서학. 중학. 남학을 말하며, 일명 4부학당이라고 하였다.)과 마찬가지로 향교(鄕校)도 성균관(成均館)의 하급 관학(官學)으로서 문묘(文廟). 명륜당(明倫堂) 및 중국(中國). 우리나라의 선철(先哲). 선현(先賢)을 제사(祭祀)하는 동무(東廡). 서무(西廡)와 동재(東齋). 서재(西齋)가 있어 동재(東齋)에는 양반, 서재(西齋)에는 서류(庶類)를 두었다. 향교의 시초는 1304년(고려 충렬왕 30) 고려의 국고(國都)인 개성(開城)에 성균관(成均館)을 창설하고 나라 안의 준재(俊才)를 뽑아 윤리(倫理)와 도덕(道德)을 강학(講學)하고 학술(學術)과 문예(文藝)를 연구하는 기관으로 장학금..

조선조(朝鮮朝) 공신(功臣) 배향 일람-보학요람

공신(功臣)이란? 국가나 왕실을 위하여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주던 칭호이다, 이는 중국의 제도를 모방한 것으로서 신라시대에 이미 녹공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 시대에는 왕건이 개국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3등급으로 구분하여 각각 공을 세운 정도에 따라 상을 내렸으며, 공신당(功臣堂-공신각)을 두어 1등 및 2등 공신의 화상을 벽에다 그려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이라 일컬었고, 훈전(勳田)을 내려 대대로 그 자손을 관직에 등용하였다. 이러한 공신들에게 초기에는 녹권(錄券)을 주어 공신 증명으로 하였으나, 말기의 중흥 대신에게는 녹권 이외에 따로 교서를 주었다. 조선 시대에 와서는 태조(이성계)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공신에 녹훈(錄勳)된 개국공신 및 정사·좌명공신을 비롯한 28종에 이르는 공신..

세(世)와 대(代)와 촌수(寸數)

◈세(世)와 대(代)와 촌수(寸數) 세(世)란? 예컨대 조(祖)·부(父)·기(己)·자(子)·손(孫)을 계열의 차례대로 일컫는 말이며, 대(代)란? 사람이 나면서부터 30년 간을 1代로 잡는 시간적공간을 일컫는 말이기 때문에 부자간이 세로는 2세이지만 대로는 1대, 즉 30년간의 세월이 한번 경과하였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선조로부터 아래로 후손을 가리킬 때에는 '세(世)'를 붙여서 시조를 1세(世), 그 아들은 2세(世), 그 손자는 3세(世),그 증손은 4세(世), 또 그 현손은 5세(世)라 일컬으며 그와 반대로 선조를 말할 때에는 대(代)를 붙여서 일컫는다. 그러므로 후손을 말할 때에는 누구의 몇 세손, 그와 반대로 선조를 말 할 때에는 누구의 몇 대조라 일컫는다. 예) 아래 표에 1世~14世, 5代..

이천 부사 노대하 묘표/신도비명。

■이천 부사(利川府使) 노공(盧公)의 묘표(墓表) [생졸년] 노대하『盧大河, 1546년(명종 1) ~ 1610년(광해 2)』 미수 허목 찬(眉叟 許穆 撰) 삼한(三韓)의 노씨(盧氏)에 두 종족(宗族)이 있는데 다 잘되었다. 하나는 본관(本貫)이 교하(交河)이고, 다른 하나는 광주(光州)인데, 오늘날 광주 노씨가 더욱 번성하다. 공(公)은 광주의 세계(世系)로 휘는 대하(大河)요, 자는 수오(受吾)이니, 조선 초기의 정승 노숭(盧嵩)의 후예로, 창수(倉守)로 찬성(贊成)에 추증된 노후(盧珝)의 증손이요, 활인서 별제로 영의정에 추증된 노홍(盧鴻)의 손자요, 돈녕부 첨정으로 좌승지에 추증된 노극신(盧克愼)의 아들이며, 모(母)는 덕산 이씨(德山李氏)로, 청주 목사(淸州牧使) 이증영(李增榮)의 딸이다. 가정(..

합천군수 이증영 유허비(陜川郡守李增榮遺墟碑)

■합천군수 이증영 유허비(陜川郡守李增榮遺墟碑) ◇경남유형문화재 제367호(지정일자 : 2001년 12월 20일) 조선 중기에 합천군수(協川郡守)를 지낸 바 있는 이증영(李增榮 ?∼1563)의 본관은 덕산(德山)으로 첨정(僉正)을 지낸 노극신(盧克愼-광주노씨)은 그의 외손(外孫)이다. 이 비는 그의 공덕을 기리는 비(碑)로, 조선 명종 14년(1559)에 세워졌다. 비문을 지은 이는 조선 중기의 학자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 이고, 글씨를 쓴 이는 조선시대의 명필 고산(孤山) 황기로(黃耆老 ?~?)이다. 비의 크기는 가로 87cm, 세로 202cm, 폭 17cm이며, 비문은 전체 13행, 각 행 평균 25자로 되어 있다. 비문에는 1554년부터 1558년까지 합천군수를 지낸 이증영이 15..

성씨별 대제학 배출수(姓氏別大提學 輩出數)

■ 성씨별 대제학 배출 수(姓氏別大提學輩出數) 총 136명 No 성씨(姓氏) 수(數) 대제학(大提學) 이름 01 광산김씨 7명 효종조 익희(益熙). 현종조 만기(萬基). 숙종조 만중(萬重) 숙종조 진규(鎭圭). 영조조 양택(陽澤). 고종조 상현(尙鉉) 고종조 영수(永壽). 〃 연안이씨 7명 선조조 정구(廷龜). 선조조 호민(好閔). 인조조 명한(明漢) 효종조 일상(一相). 영조조 정보(鼎輔). 영조조 복원(福源) 순조조 만수(晩秀). 〃 전주이씨 7명 선조조 양원(陽元). 인조조 경석(景奭). 숙종조 민서(敏敍) 숙종조 관명(觀命). 영조조 진망(眞望). 영조조 광덕(匡德). 영조조 휘지(徽之). 02 안동김씨(신) 6명 인조조 상헌(尙憲). 현종조 수항(壽恒). 숙종조 창협(昌協). 순조조 조순(祖淳)..

상신록(조선시대 본관별)

■ 본관별 상신 배출수(조선시대 총 363명) 조선시대 상신(相臣)은 조선왕조(朝鮮王朝)의 최고 관직(官職)으로서, 서기 1400년(정종 2)에 고려말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를 의정부(議政府)로 개칭하고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우의정(右議政) 각 정일품(正一品) 품계((品階=관등) 한명씩을 두었는데, 이들의 3의정(三議政)을 황각(黃閣=의정부) 또는 태사(台司)라고도 일컬었다. 이들은 국가 기구의 최고 의결권자로서 백관(百官=모던 벼슬아치)을 통솔하고, 국정(國政)을 감독하였다. 조선시대(朝鮮時代)에 상신(相臣)에 재임한 총 인원수는 338명으로서 이중 무과(武科)출신이 7명, 음보(蔭補=조상의 덕으로 벼슬을 얻은사람) 출신이 20명 유일(遺逸)출신 5명을 제외한 306명이 모두 문관(文官)..

생원 진사시 장원이 문과에도 장원한 인물

■ 생원시 장원이 문과에도 장원한 인물 ◇남계영(南季瑛): 1423년(세종 5) 계묘식년 생원장원/ 1427년(세종 9) 정미친시문과 장원 ◇이석형(李石亨): 1441년(세종 23) 신유식년 생장/ 동년 신유식년문과 장원 ◇조지서(趙之瑞): 1474년(성종 5) 갑오식년 생장/ 1479년(성종 10) 기해중시문과 장원 ◇김극성(金克成): 1496년(연산 2) 병진식년 생장/ 1498년(연산 4) 무오별시문과 장원 ◇양응정(梁應鼎): 1540년(중종 35) 경자식년 생장/ 1556년(명종 11) 병진중시문과 장원 ◇민시중(閔蓍重): 1650년(효종 1) 경인증광 생장/ 1664년(현종 5) 갑진춘당문과 장원 ◇이 이(李 珥): 1564년(명종 19) 갑자식년 생장/ 동년 갑자식년문과 장원 ◇이세면(李世勉)..

조선시대 문과에 2번 장원한 인물은?

■ 조선시대 문과에 2번 장원한 인물 ◈정인지(鄭麟趾/河東人): 1414년(태종 14) 갑오식년문과 장원/ 1427년(세종 9) 정미중시문과 장원 ◈김수온(金守溫/永同人): 1466년(세조 12) 병술발영문과 장원/ 1466년(세조 12) 병술등준문과 장원 ◈신종호(申從濩/高靈人): 1480년(성종 11) 경자식년문과 장원/ 1486년(성종 17) 병오중시문과 장원 ◈권 홍(權 弘/安東人): 1497년(연산 3) 정사별시문과 장원/ 1507년(중종 2) 정묘중시문과 장원 ◈정윤희(丁胤禧/羅州人): 1556년(명종 11) 병진알성문과 장원/ 1566년(명종 21) 병인중시문과 장원 ◈홍만용(洪萬容/豊山人): 1662년(현종 3) 임인정시문과 장원/ 1666년(현종 7) 병오중시문과 장원 ◈김일경(金一鏡/光..

조선시대 최고령 과거 합격자[丁洵敎]

■ 문과, 무과, 사마시, 잡과 모두 포함할 경우 정순교(丁洵敎)라는 분이 최고령 합격자입니다. 이 분은 1805년을 축년에 태어나 만 85세가 되는 고종27년 1890년에 실시된 기로응제시에 입격함으로써 조선시대 문과 총 합격자 15, 151명 중에서 최고령 합격의 기록을 남겼습니다. ●정순교(丁洵敎) [문과] 고종(高宗) 27년(1890) 경인(庚寅) 기로응제시(耆老應製試) 5위(5/5) ----------------------------------------------------------------------------------------------------------------------------- [생년] 을축(乙丑) 1805년(순조 5) [합격연령] 을축(乙丑) 1805년(순조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