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 1744

형제가 모두 6조 판서를 역임한 명문가

■ 형제가 모두 6조판서를 역임한 명문가 전무후무한 형제 6조판서 정태화(鄭太和), 정치화(鄭致和) 형제. 가문에 판서하나 나면 온동네가 시끌벅적할 만큼 판서되기가 쉽지 않은 조선조 문벌사회. 한사람이 6조 판서를 모두 역임하고 그것도 모자라 형제가 모두 6조판서를 지낸다는 것이 가문과 개인의 영광이라고만 할수 있을까. 바로 동래정씨(東萊鄭氏)가 배출한 두 정승 정태화(鄭太和), 정치화 (鄭致和) 형제로서 이들 형제는 6조판서를 모두 지냈고 형은 영의정, 동생은 좌의정까지 지냈다. 이러한 관직운과 가문의 배경, 개인의 피나는 노력 등이 두루 구비되어야만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조건을 두루 구비하고 관운을 타고난 인물이 있으니 영의정을 6번이나 지낸 정태화와 그의 동생 치화였다. 이들의 가문에는 5..

11대 연속 과거 급제한 가문

고려와 조선조 과거 제도사를 이야기할 때, 뺄 수 없는 기록이 있습니다. 고려부터 조선까지 무려 11대를 연이어 과거에 급제한 순흥안씨 이야기입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제공하는 과거합격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해 보면 다음과 같은 11대에 걸친 순흥안씨 과거합격 기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1대 연속 과거 급제한 순흥안씨(順興安氏) 가문 순흥안씨(順興安氏)는 1260년(고려 원종 1) 안향(安珦) 선생이 문과에 급제한 후 1519년 안정(安珽,) 선생이 현량과(賢良科) 3등으로 입격하기 까지 무려 11代 259년간 연속문과 인물을 배출한 진기록을 남긴 명문의 영예를 누렸네요. 1. 안향(安珦) - 순흥안씨 4세. 시호 문성공 2. 안우기(安于器) 3. 안목(安牧) 4. 안원숭(安元崇) 5. 안원(安瑗,..

조선시대 가문별 문과 합격자 배출 통계

■ 조선시대 가문별 문과 합격자 배출 통계 우리가문은 대대로 정승판서를 지낸 명문가문이다"라고 부모가 자식들에게 자랑하는 것을 주위에서 심심치 않게 본다. 무엇을 근거로 이 같은 말을 하는지 모르겠지만 자식들에게 가문에 대한 자부심을 심어주려는 생각이 분명히 드러나는 말이다. 조선시대의 명문가문을 판단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이다. 정승과 판서의 배출여부, 왕비에 간택된 회수, 정승, 문형, 과거합격 배출자수 등의 이러한 기준에 속한다. 이중에서도 과거합격자 수는 가장 중요하다. 왜냐하면 과거합격은 곧 관료로의 진출을 의미하며 국가지도층으로 편입되는 길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조선시대에 가장 많은 과거합격자수를 기록한 가문은 어디일까? 더 말할 나위도 없이 과거합격자에는 전주이씨가 가장 많다. 조선왕조의 뿌..

조선시대 문중별 정려(旌閭) 수

조선시대 문중별 정려(旌閭) 수 정려(旌閭)는 조선시대 충신, 효자, 열녀 등에 대하여 그들이 살던 고을에 정문(旌門)을 세워 기리는 것을 말합니다. 문중명 관직 및 대표적 인물 인원수 문중명 관직 및 대표적인 인물 인원수 나주나씨 의주부윤 나덕헌 부친 나사침 14 청송심씨 영의정 심열 조부 명종국구 심강 4 남양홍씨 영의정 홍서봉 조부 관찰사 홍춘경 13 남원양씨 형조판서 양헌수 선조 양윤정 4 연안이씨 승지 이기설 조부 이언침 12 동복오씨 우의정 오시수 고조 오세현 4 광산김씨 이조판서 김집부친 형조참판 김장생 11 해주오씨 영의정 오윤겸 조부 오경민 4 수원백씨 좌부승지 백유함 부친 우참찬 백인걸 10 기계유씨 영의정 유척기 선조 호조판서 유강 4 파평윤씨 우의정 윤증 고조 윤돈 8 여흥민씨 좌의..

동국십팔현

■ 삼한갑족(三韓甲族) 우선 삼한(三韓=우리겨레. 우리나라 전체라는 뜻)이란? 우리나라 고대 남부지역의 진한(辰韓), 마한(馬韓), 변한(弁韓)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1145년(인종 23)에 김부식(金富軾)등이 완성한 우리나라 고대 역사서 삼국사기(三國史記)에서 밝힌 신라(新羅), 고구려(高句麗), 백제(百濟)를 말한다. 그리고 갑족(甲族)의 갑(甲)은 천간(天干)의 첫 글자로 으뜸, 제일, 첫 번째의 뜻으로 쓰이기도 하므로, 갑족(甲族)이란? 최고, 으뜸, 제일의 씨족(氏族)이라는 말일것이다. 국어 사전에는 예로부터 대대로 문벌(門閥)이 높은 집안이라고 적고 있습니다. 또한 미루어 살피 건데, 삼한갑족(三韓甲族)이란 말은 스스로「우리는 삼한갑족(三韓甲族)이다」라고 해서는 자랑스러울수 없고 남이「너희는..

수당유집 책9 잡저 속칭고(修堂遺集冊九雜著屬稱考)

[修堂遺集冊九 雜著 屬稱考] /이남규[李南珪(1855 : 哲宗6 ~ 1907 : 純宗1)]의 文集이다. [世代] 爾雅。父爲考。母爲妣。註禮記。生曰父母。死曰考妣。按書曰大傷厥考心。事厥考厥長。聦聽祖考之彜訓。蒼頡篇曰。考妣延年。此非死生之異稱矣。猶今謂兄爲晜。妹爲媢。父之考爲王父。父之妣爲王母。註加王者尊之。王父之考爲曾祖王父。王父之妣爲曾祖王母。註曾猶重也。曾祖王父之考爲高祖王父。曾祖王父之妣爲高祖王母。註高者言最在上。子之子爲孫。註孫猶後也。疏廣雅云孫順也。許愼云從子從系。系續也。言順續先祖之後也。孫子之子爲曾孫。曾孫之子爲玄孫。註玄者言親屬微昧也。玄孫之子爲來孫。方氏曰。來者以其世數雖遠。方來而未已也。來孫之子爲晜孫。註晜後也晜孫之子爲仍孫。註仍猶重也仍孫之子爲雲孫。註言輕遠如浮雲。表準正論。遠祖通稱高祖。通典郯子曰。我高祖。少皡之立也。遠孫通稱玄孫。 [本生父母]..

祖父와 한 항렬(行列)인 유복친(有服親) 밖의 여자(女子)

[질문자] 야촌(이재훈) ●질문내용 할아버지와 동 항렬(行列)되는 유복친(有服親) 밖의 남자(男子) 호칭은 대부(大父)라고 하지만, 할아버지와 동 항렬(行列)되는 유복친(有服親) 밖의 여자(여子) 호칭은 뭐라고 하나요? ------------------------------------------------------------------------------------------------------------------------------------------------------- [답변] 답변1. 거칠산님의 답변 | 2011.06.06. 21:24 '할아버지와 같은 항렬인 유복지친(有服之親-복제(服制)에 따라 상복을 입어야 하는 가까운 친척) 외의 친척의 아내'는 '대모(大母)'라고 합니다. 그리..

친인측의 관계 용어.

■ 친인 측의 관계 용어. 가군(家君) : 남에게 대(對)하여 자기(自己) 아버지를 이르는 말 가부(家父) : 남에게 자기(自己)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가손(家孫) : 남에게 '자기(自己) 손자(孫子)'를 일컫는 말 가엄(家嚴) : 남에게 자기(自己)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가친(家親) : 남에게 대(對)하여 자기(自己) 아버지를 이르는 말 거가(巨家) : 문벌이 높은 집안. 계손(系孫)/원손(遠孫) : 촌수가 먼 손자나 그 후대의 자손. 계수(季嫂)/제수(弟嫂) : 아우의 아내. 계족(系族) : 혈통 관계(關係)가 있는 겨레붙이. 고모부(姑母夫) : 고모(姑母)의 남편(男便). 고부(姑夫) : 고모부(姑母夫) 즉 고모의 남편. 고숙(姑叔) : 고모부(姑母夫) 즉 고모의 남편. 고숙주(姑叔主) : 고모부(..

족보책 황토색에 붉은끈으로 묶은 뜻은?

승주(영암 망호정)님의 답변 윤영무 지음의 "대한민국에서 장남으로 살아가기" 라는 책의 200페이지에 나와 있는 글 내용입니다. 족보책 표지의 색깔은 황토색이고, 그 묶는 끈은 붉은색이다. 황토는 인간이 태어나서 흙으로 돌아간다는 뜻이고, 붉은 끈은 바로 핏줄을 말한다. 족보란 바로 삶과 죽음을 거슬러 현재자신이, 왜 어떻게 존재할 수 있었는지를 확인해 주는 유일한 통로인 것이다. 족보를 단순히 조상들의 벼슬이나 관직여부를 확인하며, 상놈이냐 양반이냐 계급을 구분 짓는 가문의 신분증 정도로 여긴다면, 이는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다. 꽃도 이름을 알고 나면, 더 특별해 지는 법이다. 족보를 통한 뿌리 찾기란 내 이름 석자에 담긴 뜻을 제대로 알려는 노력인 셈이다. 지금도 국립중앙도서관 계보학자료실에는 죽음을 ..

이씨의 관향별 인구수(李氏의 貫鄕別 人口數) - 2000년

이씨의 관향별 인구수(李氏의 貫鄕別 人口數) - 2000년 통계청 인구조사 자료. [통계표 주석] 1) 가구, 인구 : 외국인 가구 및 인구는 제외하였으며, 가구수는 가구주의 성씨·본관을 기준으로 집계하였음. 2) 성씨·본관의 "기타"는 조사표상의 기입내용이 불명확한 경우이고,"미상"은 조사표상에 기재되지 않은 것임. 3) 梁, 呂, 廉, 柳, 李씨 등은 한글 맞춤법에 따라 양, 여, 염, 유, 이씨로 분류 집계하였음. 이씨(李氏) 가구수 인원수 남자 여자 No 관향(貫鄕) 2,113,007 6,794,637명 3,413,171명 3,381,466명 001 가리(加里) 666 1,956 815 1,141 002 가평(加平) 5,108 15,815 7,774 8,041 003 간성(杆城) 319 96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