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선현들의 묘. 206

김좌진장군묘(金佐鎭將軍墓)

소재지>충남 보령시 청소면 재정리 산 50번지 ●김좌진장군(金佐鎭將軍) 1889년(고종 26)~1930년, 한국의 독립운동가 이다. 그의 자(字)는 명여(明汝)이고 호는 백야(白冶), 관향은 신안동(新安東)으로 충남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에서, 부농가(副農家) 김형규(金衡奎)의 둘째아들로 출생하여. 3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편모슬하에서 성장 하였다. 평소 개화사상(開化思想)이 투철하여, 15세 때인 1904년 , 가노(家奴)의 노비문서를 불태우고 해방(解放) 시키고는 전답(田畓)을 나누어 주었다. 1905년 서울로 상경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였고, 1907년 향리로 돌아와 가산을 정리해 호명학교(湖明學校)를 설립(設立), 90여 칸의 자기 집을 학교 교사로 제공하며 문맹퇴치(文盲退治)에 앞장섰다, 1911년에..

정탁, 황희정승. 황정욱, 성임, 성현, 김행, 이세화, 성혼, 황보인 등 묘.

↑파주에서 일행과 합류하여 제일 먼저 찾은 조선 개국의 일등공신이라는 춘곡 정탁 묘역 전경 ◈답 사 : 파주 권역 묘지 답사 ◈일 시 : 2008.11.30(일) 08:00 ~ 20:00 ◈참가 인원 : 7명 ↑황희 정승 묘. ↑청백리 황정욱 묘. 패관문학의 선구자, 송설체의 대가 성임 묘. 석인의 의상이 특이하고, 신도비 몸의 사방에 무늬가 세겨져 있다. ↑성임의 아우인 용재 성현 묘역. ↑성현 묘역 우측에 위치한 묘역도 둘러보며 신도비문으로 누구의 묘인지 확인 들어가고... ↑장포 김행 묘. ↑조선시대 주요 요직을 두루거친 청백리 이세화선생 묘역 뒷편에서 내려뎌 본 모습 ↑율곡의 평생지기, 성리학의 대가 성혼선생 묘. ↑계유정난때 김종서 등과 함께 피살되었던 황보인 묘. ↑황보인 묘 뒷편에서 내려다 ..

조말생 묘역(趙末生墓域)

■조말생(趙末生), [생졸년] 1370년(공민왕 19)~1447년(세종 29)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근초(謹初). 평중(平仲), 호는 사곡(社谷). 화산(華山)이다. 정몽주(鄭夢周)의 제자인 성리학자 조용(趙庸)의 문인(門人)이다. 1401년(태종 1) 증광문과에 장원급제 하여 요물고부사(料物庫副使)에 등용되고, 감찰. 정언. 헌납 등 청요직(淸要職)을 역임하였다. 1407년 문과중시(文科重試)에 둘째로 급제하여, 전농시부정(典農寺副正)이 되었으며, 이듬해 장령(掌令)을 거쳐 주로 예문관 승정원에서 근무하였고, 그는 대학자로 특히 글씨에 뛰어났다. 1418년 이조참판에 제수되고 같은해 형조판서 승진하였다. 세종 즉위 후, 주문사(奏聞使)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427년(세종 9) 병조판서 때 그의 ..

심충겸 묘(沈忠謙墓)

심충겸 묘(沈忠謙墓) 생졸년 : 1545년 ∼ 1594년) ↑마을 입구에 들어서면 멀리 전면에 묘역이 보인다. ↑위 치 :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 산 135-1 묘역은 최근에 정비하여 잔디가 새로 입혀져 있고... 큰 비에 대비하여 비닐을 씌웠다. ↑윗쪽에 있는 묘가 심충겸선생 묘이다... ↑마침 찾아간 날 비가 내려 땅이 질퍽거렸다. ↑심충겸 상석(沈忠謙床石) ↑심충겸 묘표((沈忠謙墓表) ↑문인석 및 망주 ↑심충겸 선생의 신도비는 묘역 우측의 자연석 바위 위에 세워져 있다. ↑묘역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 ↑심충겸 선생 묘역 후경이다(남한강물이 묘를 향해 입수되고 있다) 사진출처 : 나홀로테마여행(능원묘 자료 및 회원 답사기 게시판) ㅣ 글쓴이 : 릴리리아 ■ 심충겸(沈忠謙) 심충겸[沈忠謙, 1545..

충남권역 묘역 답사

◈답사지 : 충남권 묘지 ◈일 시 : 2008.10.19(일) 08:00 ~ 21:30 ◈인 원 : 7명 ↑첫 답사지로 찾은 천안 현충사 연못전경 ↑현충사권역의 우측상단에 위치한 충무공의 셋째 아들 이면(李葂, 1577년 ~ 1597년)의 묘역을 오르는 계단. ↑충무공의 셋째 아들 이면의 묘역 후경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영정을 모신 사당(본전) 모습 ↑현충사에서 9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순신장군묘역의 초입에 위치한 신도비모습 ↑멀리서 바라 본 이순신장군 묘역전경 ↑가까이서 바라 본 이순신장군 묘역전경 ↑제4대 윤보선(尹潽善) 전 대통령 묘역전경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 전 대통령 묘역의 후경 ↑김옥균(金玉均, 1851~94) 묘역전경 ↑김옥균 묘역 뒷 편에..

나만갑 선생묘.

■ 나만갑(羅萬甲 : 조선중기의 문신) 1592(선조 25) ~ 1642(인조 20). 병자호란 때 군량 공급에 공을 세웠다. 본관은 안정(安定). 자는 몽뢰(夢賚), 호는 구포(鷗浦). 아버지는 세자시강원 보덕(輔德)을 지낸 급(級)이다. 장인인 정엽(鄭曄)에게 배웠다. 1613년(광해군 5)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입학했다. 인목대비 유폐사건이 일어나자 낙향했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순릉참봉이 되고,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수찬이 되었다. 1625년 교리로 있을 때 서인(西人)인 김유(金瑬)가 북인인 남이공(南以恭)을 등용하자 이에 반대하다. 강동현감으로 쫓겨났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종사관이 되어 왕을 따라 강화도에 갔다. 병조정랑·수찬·지평·홍주목사·형조참의를 거쳐, 1636..

이지함선생 묘

↑주자장에서 올려다 본 토정 이지함 선생묘역 전경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주교면 고정리 산27-3 ↑묘역의 상단에서 내려다 본 묘역 전체모습 ↑토정 이지함 선생 묘 조선 중기의학자이며『토정비결』의 저자로 유명한 토정(土亭) 이지함(1517∼1578) 선생의 묘이다. 선조 6년(1573) 주민의 추천으로 조정에 천거되어 청하(지금의 포천) 현감이 되었는데, 이때 임진강의 범람을 미리 알아서 많은 생명을 구제한 것은 유명한 일화이다. 의학 복술, 천문, 지리, 음양 술서에 능했고, 풍수지리에 밝아 본인의 묘 터 역시 생전에 정했다 전하고 있다. 일생의 대부분을 마포 강변의 흙담 움막집에서 청빈하게 지내어 ‘토정’이라는 호가 붙게 되었다고 한다. 토정이 의학·복술에 밝다는 소문이 점차 퍼져 신수를 보아달라고 ..

[이덕일 사랑] 분묘(墳墓)의 조건

작성일 : 2008. 09. 26(금) 옛 사람들이 조상의 분묘를 좋은 곳에 쓰고자 했던 것은 효심(孝心)에서 비롯된 것이다. 조상의 혼령이 골육(骨肉)을 계승한 후손과 소통한다는 생각에서 사는 곳과 가까운 곳에, 여러 조상들을 함께 모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다. 연암 박지원(朴趾源)은 42세 때인 정조 2년(1778) 세도가 홍국영과 사이가 나빠지면서 황해도 금천(金川)의 연암협(燕巖峽)에 은거했다가 양호맹(梁浩孟)의 개성 금학동(琴鶴洞) 별장으로 이주했다. 이때 박지원은 개경의 남원(南原) 양씨들이 가까운 산에 조상의 분묘를 모시고 이를 지키는 분암(墳菴)의 이름을 '영원히 생각한다'는 뜻의 영사암(永思菴)이라고 지은 것에 깊은 인상을 받고 '영사암기(永思菴記)'를 지었다. '영사암기'에서 연암은 친..

파평윤씨 정정공파 묘역 (坡平尹氏貞靖公派墓域)

파평윤씨 정정공파 묘역(경기도 기념물 제182호) (소재지 : 경기 파주시 교하면 당하리 산4-20외) ■ 파평윤씨정정공파(坡平尹氏貞靖公派) 경기도 파주시 교하면 당하리에 있는 파평윤씨정정공파는 고려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신달(莘達)이며, 현손 관「瓘,미상∼1111(예종 6)」은 고려중엽의 문무를 겸비한 명장으로 파평윤씨의 중시조이다. 아들 5형제를 두었는데 아랫대로 내려오면서 벌족(伐族)을 이루며 수십 파로 분파되었다. 그리고 파평윤문 가운데서 주로 판도공파(版圖公派>承禮)와 소정공파(昭靖公派>坤)에서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고 이 두 파의 후손이 가장 번창하여 파평윤씨 인구의 약 80%를 점유한다. 판도공파는 승례(承禮)의 아들 대에서 다시 제학공파「提學公派: 규(珪)」·부윤공파「府尹公派>보로(普老..

정의공주 묘(貞懿公主 墓)/세종의 2녀

↑소재지: 도봉구 방학동 산63번지 ↑정의공주(貞懿公主)의 남편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의 신도비 ◈교통이용편 1, 4호선 창동역 1번 출구에서 1161, 1144번 버스 이용 정의공주묘 하차. 2. 4호선 쌍문역 2번출구 130번 버스 이용 정의공주묘 하차. ◈정의공주(貞懿公主) 1415년(태종 15)∼1477년(성종 8). 세종(世宗)의 둘째 딸로 어머니는 소현왕후심씨(昭憲王后沈氏)이다. 관찰사 안망지(安望之)의 아들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에게 하가(下嫁)하였다. 안맹담은 1462년(세조 8)에 죽었다. 1469년(예종 1)에 정의공주(貞懿公主)는 남편인 안맹담이 죽자 남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상‧중‧하를 간행하였다. 이책은 보물 966호로 지정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