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2038

전라도관찰사 이유원 영세물망비문 발견

오문의 사서(史書)에는 기록이 없는 전라도관찰사 이유원 영세물망비문 발견 오늘날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신리 산2-9번지에는 마중물갤러리가 소재하는데 이곳은 1931년 10월 1일에 단선으로 개통한 전라선 기차길 신리 1터널이었으나 1999년에 바로 옆에 복선터널이 생기면서 폐 터널로 방치되었다가 2015년 11월 29일에 터널미술관으로 개관한 곳이다. 이곳 마중물 갤러리 매표소 바로 뒤편 바위에 좌측으로부터 관찰사 김경선(金景善)과 관찰사 원인손(元仁孫)과 판관 김광묵(判官 金光默 )과 오문출신 관찰사 이유원(李裕元) 선생의 영세물망비문(永世不忘碑文)이 세겨져 있다. 이 영세물망비문은 1931년 터널공사를 하면서 마애석(磨崖碑)은 많이 변형되었으나 다행히 글씨만은 아직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다행으로 여..

이유원이 수급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簡札)

이유원이 수급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簡札) 영천이씨 농암종택 신해년 12월에 이유원이 수급자미상에게 보낸 간찰(簡札) 이유원(李裕元)이 보낸 간찰이다. 현재 자신은 입산하여 독서에 전념하고 있음을 알렸다. 늘 그리운 마음이 간절하고, 서찰을 전하는 것이 여의치 못해 안타깝다고 표현했다. 이어 귀댁 가족의 근황과 안부를 궁금해 하였다. 자신은 현재 『논어(論語)』를 탐독하면서, 그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고 전했다. 그리고 선조의 연보 교열 작업 근황에 대해 언급했다. 이와 함께 조속히 상면하기를 기원하며 마무리했다. 入山讀書。是夙昔所推。而今日之會又不與吾座共之。居常歉悵。果何如哉。每欲奉尺素。以敍厥落白今執事者先之。示以誦什兩絶。其意味雋永淸越。讀之傳香人牙頰也。謹惟歲弊寒兇兩庭候。若序萬寧。餘力之學益懋乎素聞。日與季難。聯槧..

귤산 이유원 선생 간찰

귤산 이유원 선생 간찰 이유원[李裕元. 1814(순조 14)∼1888(고종 25)]. 조선 말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경춘(京春), 호는 귤산(橘山)· 묵농(默農). 이조판서 계조(啓朝)의 아들이다. 1841년(헌종 7) 정시문과에 급제, 예문관검열·규장각대교를 거쳐 1845년 동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의주부윤·함경도관찰사를 지냈다. 고종 초에 좌의정에까지 올랐으나 흥선대원군과 반목하여 1865년(고종 2)에 수원유수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그해 말 다시 영중추부사로 전임되어 『대전회통(大典會通)』 편찬의 총재관이 되었다. 1873년 흥선대원군이 실각하자 곧 영의정(領議政)이 되었고, 영중추부사( 領中樞府事)로 서임되었다. 흥선대원군과 반목, 대립하였고, 세자책봉문제의 이면에서 일..

학남유고(鶴南遺稿) - 34世 이회경(李晦慶)

간행연대 1900년 초 /책의 크기 20.6cm(가로) x 30.7(세로) ■ 이회경(李晦慶)/34世 경주이씨 교감공 후 23世 도원공(桃源公) 이말동(李末仝)의 11대손이다. □자(字) : 서구(敍九) □호(號) : 학남(鶴南) □생년 : 1784(정조 8) □졸년 : 1866(고종 3) □수(壽) : 83세 □본관 : 경주(慶州) □활동분야 : 유학자 □저서 : 학남유고(鶴南遺稿) ----------------------------------------------------------------------------------------- 조선후기 유학자. 자는 서구(敍九)이고, 호는 학남(鶴南)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거주지는 경상북도 경주(慶州)이다. 호곡(壺谷) 유범휴(柳範休)에게서 학문..

1729년(英祖 5) 己酉 式年試 進士/『己酉式年司馬榜目』

■149회 1729년(英祖 5) 己酉 式年試 進士 -『己酉式年司馬榜目』 순서 등급 등위 진사시 합격자 본관 거주지 1 1등(一等) 1위[壯元] 이석표(李錫杓) 경주(慶州) 진천(鎭川) 2 1등(一等) 2위 이민효(李閔孝) 전주(全州) 한성([京]) 3 1등(一等) 3위 이몽상(李夢相) 광산(光山) 강진(康津) 4 1등(一等) 4위 이사관(李思觀) 한산(韓山) 한성([京]) 5 1등(一等) 5위 목중도(睦重道) 사천(泗川) 춘천(春川) 6 2등(二等) 1위 유채(柳綵) 진주(晉州[移]) 춘천(春川) 7 2등(二等) 2위 한광세(韓光世) 청주(淸州) 한성([京]) 8 2등(二等) 3위 이세원(李世愿) 전주(全州) 양지(陽智) 9 2등(二等) 4위 김빈(金礗) 경주(慶州) 한성([京]) 10 2등(二等) 5위..

덕봉집(德峰集) - 李鎭宅의 詩文集

■ 덕봉집(德峰集)-李鎭宅의 詩文集 조선시대 덕봉(德峯) 이진택[李鎭宅, 1738(영조 14)~1805(순조 5)]의 문집이다. 본집(本集)은 저자의 아들 복한(復漢)이 가장(家狀)을 지어 금파(琴坡) 이정병(李鼎秉)에게 묘갈명(墓碣銘)을 받아 유적(遺蹟)을 정리하고 저자(著者)의 증손 우영(祐榮)이 수집(蒐集)ㆍ편차(編次)한 고본(稿本)에 저자(著者)의 현손 규일(圭一)과 규승(圭升)이 부록문자(附錄文字)를 증보(增補)하여 이만도(李晩燾)의 교정(校正)을 받아 1902년 목판(木板)으로 간행(刊行)한 초간본(初刊本)이다. 본집(本集)은 원집(原集) 6권, 소회록(疏會錄) 합 3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卷首)에 이만도가 1902년에 지은 서(序)와 총목록(總目錄)이 있다. 권1은 시(詩)이다. 권2는 소..

춘파유고(春坡遺稿) - 이종석(李鍾奭)

189 page 190 page 석판본 1971년 간행 ■ 춘파유고(春坡遺稿) 저자 : 이종석(李鍾奭, 1898~1963) 2권 1책, 석인본, 1971년 간행. 이종석(李鍾奭)의 호는 춘파(春坡),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16世 평리성암공(評理誠菴公) 인정(仁挺)의 21代손으로 모산공(茅山公) 해(蟹)의 13代孫)이다. 아버지는 규양(圭亮)이고, 어머니는 광산 정씨(光山 鄭氏)로 정리흥(鄭履興)의 딸이다 이종석은 1898년(고종 2) 8월 11일 나주군 영산포(榮山浦) 부덕리(富德里)에서 태어났다. 천성이 명민하고 자질이 뛰어나 조금 장성하여서는 겸산(兼山) 이병수「李炳壽 1855년(철종 6)∼1941)」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집안의 대소사에도 많은 기여를 하여 영강사(榮江祠) 중건과 복설(復..

나주 춘파재(春坡齋)

南道 정자기행(5850)-나주 춘파재(春坡齋) 나주 춘파재(春坡齋) 전남 나주시 영산포 부덕리에 소재하는 춘파재(春坡齋)는, 이종석[李鍾奭, 1898년(고종 2)~1963)이 학문을 강구하며 유유자적했던 곳이나 지금은 원운 시(和呈李春坡原韻)만 남아 있고 사라지고 없다. 이종석의 호가 춘파(春坡)이며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아버지는 이규양(李圭亮)이고, 나주 영산포(榮山浦) 부덕리(富德里)에서 태어났다. 천성이 명민하고 자질이 뛰어났으며 겸산(兼山) 이병수[李炳壽 1855년(철종 6)∼1941)의 강학터 송산정사(松山精舍)에서 수학하였다. 영강사(榮江祠) 중건과 복설(復設)을 위하여 힘썼으며 고을에서도 인망이 높아 1946년에는 향교에서 직책을 맡아 향속(鄕俗)을 교화하는 일에 기여하였다. 부인은 풍산..

관란집(觀瀾集)-이승증(李承曾) 著

필자는 소장본 1863년[중간본] 소장하고 있음 판사항 석판본(石印本). 발행사항 [刊寫地未詳]: [刊寫者未詳], 간행연도 : 1973년. 형태사항 3卷1冊: 四周雙邊 半郭 21.8 x 17.0 cm, 有界, 11行字數不定 註雙行, 白口, 上下向2葉花紋魚尾; 28.7 x 19.1 cm. 일반주기 國漢文混用임 書名: 版心題 表題: 國譯觀瀾文集 重刊序: 檀紀四千三百六年癸丑(1973)正月十五日...李瑄根 三刊序: 檀紀四千三百五年西紀一千九百七十二年壬子(1974)十二月...李家源謹序 舊序: 純祖二十一年西紀一八二一年辛巳(1821)...吳翰源...李民秀 跋: 蔣時夏敬書, ...成龜世敬書, ...己巳(1869)...柳宣健謹識, ...鄭忠彦敬書, 金鍾秀謹書, ...尹李采敬書, ...己巳(1869)...吳翰源記, ...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