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2038

선조 비 증 정부인 경주이씨 묘지명-회재 이언적 조모

선조 비 증 정부인 경주이씨 묘지명 (先祖 妣 贈 貞夫人慶州李氏 墓誌銘) 손자 이언적 찬 부인의 성은 이씨(李氏)이고 본관은 경주(慶州)이니, 고려(高麗) 때 시중(侍中)을 지낸 제현(齊賢)의 후손이다. 조부는 휘가 지대(之帶)로 가선대부(嘉善大夫) 한성부윤(漢城府尹)을 지냈다. 고는 휘가 점(點)으로 생원(生員)이다. 생원이 주부(主簿) 최중운(崔仲雲)의 딸에게 장가들어 선덕(宣德) 계축년(1433, 세종15) 모월 모일에 부인을 낳았다. 부인은 타고난 성품이 빼어나고 부덕(婦德)을 온전히 갖추었다. 훈련원 참군(訓鍊院參軍)을 지내고 이조 판서에 추증된 여주 이씨(驪州李氏) 휘 수회(壽會)에게 출가하였다. 부인은 부녀자의 예의범절을 반듯하고 엄격하게 지켰으므로 종족들이 흠모하였다. 성화(成化) 정미년(..

이응도(李應棹)

왕대년 숙종(肅宗) 22 시험일 1696년 합격자발표일 1696년 시험종류 식년시(式年試) 시험명 병자식년사마방목(丙子式年司馬榜目) 1소 시험관 ◇이조판서(吏曹判書) 최석정(崔錫鼎) ◇한성좌윤(漢城左尹) 이시만(李蓍晩) ◇공조참의(工曹參議) 이광적(李光迪) ◇장악원정(掌樂院正) 박만정(朴萬鼎)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김시걸(金時傑) ◇감찰(監察) 원치도(元致道) 2소 시험관 ◇우참찬(右參贊) 임상원(任相元) ◇공조참판(工曹參判) 오도일(吳道一) ◇대사성(大司成) 서문유(徐文裕)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이익수(李益壽) ◇병조좌랑(兵曹佐郞) 박행의(朴行義) ◇감찰(監察) 김극지(金克之) 생원장원 ◇장원급제 : 이진망(李眞望) ◇합격인원 : 100명 진사장원 ◇장원급제 : 박양한(朴亮漢) ◇합격인원 : 1..

이교영(李喬荣)

■ 이교영(李喬荣) [진사] 헌종(憲宗) 14년(1848) 무신(戊申)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56위(86/101) [생졸년] 癸酉 1813년(순조 13). 8월. 8일 ~ 癸巳 1893년(철종 30) 1월 28일 ------------------------------------------------------------------------------------------------------------------------------------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字)는 백신(伯臣), 호(號)는 죽포(竹圃),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좌의정 화곡 경억(慶億)의 6대손이다. 아버지는 집구(集九)이고 어머니는 군수(郡守)를 지낸 한용호(韓用鎬)의 딸 청주한씨(淸州韓氏)이다. 훗날 양부(..

이행민(李行敏)

■ 이행민(李行敏) [문과] 숙종(肅宗) 44년(1718) 무술(戊戌) 정시(庭試) 병과(丙科) 4위(7/13 [진사] 숙종(肅宗) 31년(1705)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1위(31/100)) ------------------------------------------------------------------------------------------------------------ [인물요약] ◇자(字) : 경눌(景訥) ◇생년 : 경신(庚申) 1680년 (숙종 6) ◇본관 : 경주(慶州) ◇거주지 : 과천(果川) [이력사항] ◇진사시 이력사항 : 100명 [一等5名‧/二等25名‧/三等70名] ◇전력 : 유학(幼學) ◇타과 : 숙종(肅宗) 44년(1718) 무술(戊戌) 정시..

이행민 간찰(李行敏簡札)

이행민 간찰(李行敏簡札) ■ 이행민(李行敏) [문과] 숙종(肅宗) 44년(1718) 무술(戊戌) 정시(庭試) 병과(丙科) 4위(7/13 [진사] 숙종(肅宗) 31년(1705)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1위(31/100)) [인물요약] ◇자(字) : 경눌(景訥) ◇생년 : 경신(庚申) 1680년 (숙종 6) ◇본관 : 경주(慶州) ◇거주지 : 과천(果川) [이력사항] ◇진사시 이력사항 : 100명 [一等5名‧/二等25名‧/三等70名] ◇전력 : 유학(幼學) ◇타과 : 숙종(肅宗) 44년(1718) 무술(戊戌) 정시(庭試) 문과(文科) 병과(丙科) 4위(7/13) ◇부모구존 : 구경하(具慶下/부모가 모두 살아 있어 기쁜 처지 [가족사항] ◇부(父) : 이창경(李昌慶) 관직 : 유학(..

이구징 교지(李耈徵敎旨)

경주이씨 양월문중 소장 고문서 및 전적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01호 [종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01호 [명칭] 경주이씨 양월문중 소장 고문서 및 전적 (慶州李氏 楊月門中 所藏 古文書 및 典籍) [분류] 기록유산/문서류/관부문서/소지류 [수량/면적] 일괄(317점 2책) [지정(등록)일] 2007. 01. 08 [소재지] 경북 경주시 안강읍 양월리 777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경주이씨 양월문중 [관리자(관리단체)] 경주이씨 양월문중 [설명] 이 고문서(古文書) 및 전적(典籍)은 경주(慶州)에 세거(世居)해 온 경주이씨(慶州李氏) 양월문중(楊月門中) 소장(所藏)의 교지(敎旨), 호구단자(戶口單子), 소지(所志), 완의(完議), 입의(立議), 유향소(留鄕所) 관련 고문서 및 필사원본류,..

이구징(李耉徵)

■ 이구징(李耉徵) [생졸년] 1609년(광해군 1) ~ 1688년(숙종 14) 조선후기 예조좌랑, 사헌부감찰, 춘추관편수관 등을 역임한 문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대년(大年), 호는 죽헌(竹軒). 경주 출생. 이홍(李洪)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경한(李景漢)이다. 아버지는 이상일(李尙一)이며, 어머니는 아주신씨(鵝洲申氏)로 신한(申僩)의 딸이다. 7세부터 글을 배웠으며, 12세에는 숙천도호부사로 떠나는 할아버지 이경한(李景漢)을 따라 숙천으로 갔으며, 연일(延日)에 귀양온 이유성(李惟聖)의 문하생이 되었다. 스승이 영천으로 이배되자 함께 갔으며, 스승의 아들인 이태운(李泰運)과는 동갑으로서 경쟁하며 학업에 열중하였다. 1636년(인조 14) 향시에 합격하고, 1639년 명경시와 사마시에 모두..

이구징(李耉徵)

■ 이구징(李耉徵) [문과] 효종(孝宗) 8년(1657) 정유(丁酉)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4위(7/34) [진사] 인조(仁祖) 17년(163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39위(69/100) ------------------------------------------------------------------------------------------------------------- [인물요약] ◇자 : 대년(大年) ◇생년 : 기유(己酉) 1609년(광해군 1) ◇졸년 : 무진(戊辰) 1688년(숙종 14) ◇본관 : 경주(慶州) ㅣ판윤공 이지대 후손 ◇거주지 : 경주(慶州) [이력사항] ◇문과선발인원 : 34명(甲科3名/乙科7名/丙科24名) ◇전력 : 진사(進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