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선조유적. 유물 224

삼성 이병철회장의 선영

우리나라 풍수적 명당을 가장 중요시하는 가문이 삼성가로 보여 진다. 이병철회장의 자서전 서문에서 그는 가문의 뿌리와 출생지의 산맥을 설명하고 있다. ●호암자전 1페이지 백두산에서 뻗어내린 큰 산맥 줄기가 마지막으로 우뚝 솟았다고 하여 두류산이라고도 불리는 지리산, 금강산, 한라산과 함께 삼신산의 하나로 꼽히는 지리산은 삼도 오군에 걸쳐 있는 웅장한 명산이다. 그 지맥인 마두산 기슭에 자리 잡은 중교리는 예부터 숨어사는 고을로 알려졌다. 조부 이홍석공(호 문산 1838~1897)은 학문에 소양이 있어, 당시 영남의 거유로 일컬어지던 허성제의 문하생으로서 시, 문, 성리학 등에 능했다고 한다. 퇴계 이황의 존덕제를 건립하고 미수 허목의 경례유찬과 자신의 문산 문집 등을 간행한 것으로 미루어 조부의 학풍을 짐..

월파 이재(月坡李栽) 墓와 추색정(秋色亭).

● 이재(李栽) 1392년(공양왕 4)- 출생. 1464년(세조 10) 때의 조선 초기의 문신, 자는 경배(景培), 호는 월파(月波), 본관은 경주(慶州)로 국당공(菊堂公) 이천(李蒨)의 현손이고, 제정공(霽亭公) 달충(達衷)의 증손(曾孫)이다. 태종太宗) 원년 임신(壬申)에 한성 호현방(漢城好賢坊)에서 태어나고 세종 14년 임자년(1342)에 등제(登第)하여 점차 벼슬이 올라 참판(參判)을 지내고 단종조(端宗朝)에 예조판서에 올랐으나 수양대군(세조)의 왕위찬탈에 벼슬을 버리고 남쪽으로 내려와 약초와 채소 등을 기르며 세거하다 수(壽) 73歲에 졸했다. 묘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면 매곡리 뒷산 자좌(子坐)이다. 성재(性齋) 허전(許傳)이 시장(諡狀)을 짓고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가 신도비명(神道碑..

경주 양산재(慶州 楊山齋)

경주 양산재(慶州楊山齋)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塔洞)에 있는 사당. 1970년 건립한 전형적인 재실(齋室) 건축물로서 신라 건국 이전 서라벌에 있 었던 6부 촌장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BC 57년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 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 취산진지촌(觜山珍支村), 무산대수촌(茂山大樹村), 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 명활산고야촌(明活山高耶村)의 6부 촌장들이박혁거세(朴赫居世)를 신라의 첫 임금으로 추대하였다. 이후 신라(新羅) 제3대유리왕(儒理王)이 이들의 건국 공로를 기리기 위해 양산촌은 이씨(李氏), 고허촌은 최씨(崔氏), 대수촌은 손씨(孫氏), 진지촌은 정씨(鄭氏), 가리촌은 배씨(裵氏), 고야촌은 설씨(薛氏)로 각각의 성을 내려 이들이 각 성씨의 시조가 되었다. 사당은 외삼..

민족시인 이상화 묘

●민족시인 이상화(李相和) 묘 [세계도] : 경주이씨 익재공후→21世 소경공→28世 논복공(論福公)→32世 무실(茂實)공의 7대손임.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산 9번지 지하철 1호선 대곡역에 하차 후, 좌측 출구로 나와 200m 정도 동쪽의 야산을 끼고 조금 걸으면 월성이씨(경주이씨) 재실과 제각(祭閣)을 만날 수 있고 바로 뒷편으로 양지바른 언덕에 문중 묘소를 볼 수 있습니다. 묘역 조성은 도시계획으로 보상 받은 토지비용으로 했다니 그리 오래되지 않았으며 터가 비좁아 윗쪽에 조상, 아랫쪽에 후손이 묻히는 전통분묘 매장과는 일치하지 않게 배치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이상화(李相和,1901~1943)선생의 아버지 이시우선생과 백부 이일우선생, 상화(相和)의 형 상정(相定: 독립운동가,..

풍천공 이시득 유허비

통정대부행풍천도호부사경주이공시득유허비 (通政大夫行豊川都護府使慶州李公時得遺墟碑) 곱은 터는 풍천공(豊川公)이 처음으로 터 잡아 삶의 터전을 이루고 자손들에게 물려준 유허지(遺墟地)이다. 곱은 터 즉 고은리(高隱里)라는 지명은 풍천공(豊川公)의 깊은 학문과 높은 덕행을 추앙(推仰)하여 고고(孤高)한 사군자(士君子)가 벼슬을 버리고 은거(隱居)한 땅이라! 이를 기리어 고사지은(高士之隱)이라고 부른데서 유래(由來)한 것이니 고은(高隱)은 바로 그 준말이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명장(明將) 이여송(李如松)이 선발(選拔) 해온 명(明)나라 지사(地師) 두사충(杜師忠)이 公의 兄인 벽오공(碧梧公)의 설득(說得)으로 죽임을 면(免)하게 된 일이 있어 그 은혜(恩惠)를 길이 보답하고자 먼저 先山을 복지(卜地)하고 ..

경주이씨묘역(慶州李氏墓域)-용인 백암면

경주이씨묘역(慶州李氏墓域) 경주이씨 묘역은 근삼리 내수곡마을과 가창리 신창마을에 있다. 근삼리에는 파조(派祖)인 익재 이제현 선생과 아버지인 동암 이진(李山)선생의 묘단을조성하였고 아들과 손자를 비롯하여 대대로 묘가 이어져 있다. 마을입구와 묘역 입구에 경주이씨(慶州李氏) 익재공파성지(益齋公派聖地)라고 새겨진 표석이 있는데 이는 내수곡마을이 현재 익재공파의 고향과 같다는 의미로 보인다. 익재공파에서 갈라진 소파를 평시령공파라고 하는데 평시령 이원인의 묘는 본래 박곡리에 있었으나 현재는 이웃 원삼면 두창리로 이장하였다. 가창리에는 회와공 묘역이 있는데 회와공 이인엽의 묘를 중심으로 3기의 묘가 묘역을 이루고 있다. 경주이씨 묘역은 가창리 신창마을 안에 있다. 마을에 백암초등학교 수정분교가 있고 위편에묘역이..

훈련원 첨정 이시명 선생 묘/판윤공(지대)의 5대손

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이시명(李時溟) 선생 묘 ■ 이시명(李時溟) 1522년(중종 17)-1582년(선조 15) 때의 무신(武臣)으로 검교판윤(檢校判尹) 이지대(李之帶)의 五代孫)으로 자는 인호(麟昊), 본관은 경주(慶州), 현감(縣監) 서(瑞)의 아들이다. 관직은 통정대부훈련원첨정(通政大夫訓鍊院僉正)을 역임하였고 오늘날 울산광역시 중구 학성동 입향조이다. 묘는 배위 파평윤씨(坡平尹氏)와 합폄(合窆)이고, 정헌(定軒) 이종상(李鍾祥)이 찬(撰)한 묘갈비(墓碣碑)가 있다. ●세계도(世系圖) 세계도는 21世 판윤공 지대(之帶)-22世 퇴우당공 연(然)-23世 장사랑공 신형(信亨)-24世 생원공 종여(宗呂)-25世 현감공 서(瑞)-26世 훈련원첨정공 시명(時溟)이고 아들은 죽헌공 봉수(鳳壽)와 次子 선략장군..

운산정과 부강재

↑운산정/소재지 : 경산시 진량읍 아사리 ●운산정 소재지 : 경산시 진량읍 아사리 본 재사는 경주이씨 익제공 휘 제현의 칠대손인 휘 강(扛)의 재사로, 자는 선보(善寶), 호는 두암(杜菴)이다. 그는 문필이 출 충하고 덕행이 대단하였는데 만년에 경산 하양으로 이주한 입향조이다. 이곳 후손들이 재사를 짓고 공을 추모하고 있다. -------------------------------------------------------------------------------------------------------------------------------------------- ↑부강재(釜岡齋)/소재지 : 경산시 와촌면 박사리 ●부강재(釜岡齋) 경산시 와촌면 박사리 서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부강재는 조선조 인조..

삼산사(三山祠)/오늘날엔 관산사(冠山祠)라고 칭함

▲1903년(丙午) 경주이씨 개산공파 산서종중에서는 삼산사를 창건(創建)하고 1959년(己亥) 중수하였다. ■ 삼산사(三山祠) 또는 관산사(冠山祠)라 칭함 봉안五位을 모신 사당임 ① 익재공 휘 제현(益齋公 諱 齊賢) ② 개산공 휘 주(介山公 諱 注) ③ 봉운공 휘 귀희(鳳雲公 諱 貴希) ④ 단암공 휘 관빈(壇巖公 諱 觀彬) ⑤ 수명당공 휘 동의(水明堂公 諱 東儀) ◇향사일(享祀日) 일시 : 매년 음력 9월 20일 오전 10시 장소 : 전남 장흥군 관산읍 삼산리 499【삼산사】 연락처 : 三山祠 介山公 門中 會長: 李東新(相) (010-9432-4629) -------------------------------------------------------------------------------------..

진도 유덕사(珍島 遺德祠)

진도 유덕사(珍島 遺德祠)는 익재공(제현) 영당과 제각의 본체, 삼대문 그리고 관리사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먼리서 바라본 유덕사(遺德祠) 전경 ↑유덕사(遺德祠) ↑유덕사(遺德祠) ↑선조 유례비 소재지>전남 진도군 임회면 삼막리 755-1(유덕사) 유덕사는 2006년도에 재건축된 경주이씨 익재 이제현선생의 5대손 현감공(諱 在仁)의 현손 순(淳)의 제향을 드리는 사당이다. 사진>ⓒ李熙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