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선조유적. 유물 224

용재 이종준 묘(慵齋 李宗準 墓)

↑용재 이종준선생 묘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알실마을 ↑묘의 뒤에서 바라본 전경 ↑용재 이선생 유허비 사진>ⓒ癡叔堂 ●용재 이선생세계도 21世 월성군 지수(之秀)→22世 貞烈公 규(揆)→13世 원림(元林)→ 24世 判書公 만실(蔓實)→25世 大司憲公 승직(繩直) →26世 生員公 시민((時敏)→27世 용재공((慵齋公) 종준(宗準). ● 이종준(李宗準) ◇1454년(세조 元年)∼1499년(연산군 5). ◇[문과] 성종(成宗) 16년 (1485) 을사(乙巳) 별시(別試) 일등(一等) 2위 ------------------------------------------------------------------------------------------------------------------..

광림대(光臨臺)

↑석혈비의 시조 알평공의 가로막을 알(閼)자를 뵐 알자의 알평공(謁平公)으로 바로 잡아야 합니다. ↑광임대(光臨臺) 광임대(光臨臺) 비각은 시조의 초강지(初降地)를 보호하기 위하여 1985년 나라에서 세웠다. ↑광임대 석혈(光臨臺 石穴) /시조 께서 탄강히시어 목욕 한 곳이라고 전한다. 소재지 : 경북 경주시 동천동 507-7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하면 어느 날 경주 하늘에 한 줄기 서운이 감돌더니 빛을 타고 신인 한 분이 홀연히 인간세상으로 내려오셨다. 용모가 비범하고 덕과 위엄이 가득했다는 그 선인이 바로 경주이씨 시조 알평공이시다. 경주 표암봉, 이른바 밝바위에 하강하시니 광임대는 시조께서 첫발을 디디셨던 장소라고 전해진다. 당시 경주를 다스리던 진한은 여섯 부락의 연맹체로서 나라에는 질서가 없고 백..

초려 이유태 선생 묘(草廬 李惟泰先生墓)

세종 시 도시계획건설과 관련하여 2006년 건설교통부 외청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발족되면서 관내에 소재하는 초려이유태 선생의 묘역이 이전하도록 공시되면서 도시건설공사가 착공되면서 일방적으로 초려선생의 신도비가 침수 훼손 되는 귀신도 놀랄 일들이 벌어졌다. 이에 충청지역 유림들과 후손들이 청와대와 관계부서에 진정 및 탄원서를 제출해 놓고 묘역수호에 수년간 거세게 투쟁해오던 차, 2014년에야 주변에 역사공원을 조성하기로 매듭 짖게 되었다. 이름 하여 '초려역사공원'이다. 그 역사적인 시작을 알리는 '초려역사공원' 기공식이 2014년 2월 28일 현지에서 초려선생의 후손들과 공주대학교 이해준 교수, 세종시의 기관단체장들과 정무부시장, 다수의 일반시민들까지 참석한가운데, 열렸다. ↑원형 파괴 전의 신도비..

경주이씨 익재공파 용인 성역지

東菴公(瑱), 益齋公(齊賢) 春季享祀 1. 日時: 2014년 5월 5일(월) 오전 11시 2. 場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근삼리 산51-1번지(내수곡 마을) 동암공, 익재공 설단 하(下) ↑사진ⓒ李亨琇(譜名: 相亨) ↑16世 동암공. 17世 익재공 단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근삼리 산51-1(단소) 산소가 황해북도 장단군 십탄리 서원촌에 있어 후손들이 왕래할수 없음으로 이곳에 단을 설치하고 매년 5월 5일 전국의 후손 500여명이 한자리에 모여 시향을 모신다. 2014년 4월 중순 필우(泌雨) 대종회장의 헌성금으로 이번에 축대를 높히 쌓고 면적을 넓혔습니다. 본 사진에서는 동암공. 익재공 부자분의 사단(祀檀)이 보이질 안치만 앞에 보이는 33계단의 돌계단을 올라서면 약 600여명이 제..

濟州都按撫使公李伸 墓

↑18世 운와공달존사단(雲窩公達尊祀檀)/좌측 ㅣ 19世 사간공덕림사단(司諫公德林祀檀)/우측(운와공의長子) 戊午 1978년 후손들의 성력(誠力)으로 본 소재지 용인시 백암면 근삼리 산51-1에 설단하여 매년 음력 10월 초4일에 향사를 올립니다. ●이달존(李達尊) 1313(충선왕 5)∼1340(충혜왕 복위 1). 고려 후기의 문신. 자는 천각(天覺, 호는 운와(雲窩), 문하시중 제현(齊賢)의 차자(次子)이다. 처음에는 음보로 별장이 되었으나, 1330년(충혜왕 즉위년) 18세의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헌납· 감찰. 장령· 전의부령(典儀副令), 다음 전리총랑보문각직제학지제교(典理摠郞寶文閣直提學知製敎)로 승진하였다. 1339년(충숙왕 복위 8) 충혜왕이 원나라에 잡혀갈 때 아버지 제현과 함께 배종하였다가, 충..

경주이씨 실전 선대조 사단 봉안 고유제 및 준공식

2014년 4월21(월) 오전 10시 경주이씨중앙화수회 주관으로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칠곡리 산28-10 번지에서 실묘 선대조(失墓先代祖) 사단 봉안(祀壇奉安) 고유제 및 준공식이 전국 종인 약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 되었다.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칠곡리 산28-10 *부동산의 규모 : 3,305㎡/약1,000평 *봉안 실전선대조 : 2世 ~ 14世 *소유자 : 재단법인 경주이씨중앙화수회유지재단 사진출처 : 영암읍 망호리마을 카페 명문 경주이씨종친회카페

금천 도산서원(金川道山書院)

■ 금천 도산서원(金川道山書院) [존치기간] 1662년(현종 3)~1868년(고종 5) [소 재 지] 오늘날 황해북도 장풍군 십탄리 서원촌(오늘날 익재공 신도비 위의 산기슭) . [연 혁] 황해도(현재의 황해북도) 금천군에 있던 서원. 1662년(현종 3) 지방유림의 공의로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 이색의 차자인 인재 이종학「麟齋 李鍾學,1361(공민왕 10)~1392(태조 1)」·낙정 조석윤「樂靜 趙錫胤, 1605(선조 38)~1654(효종 5)」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6년(숙종 12)에 ‘道山(도산)’이라는 사액을 받아 선현배향(先賢配享)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그 후 문헌 고증으로 ..

사미정(四美亭)

↑옛 사미정 모습 : 6ㆍ25전란 시 소실된 것을 1972년 후손들이 복원한 사미정(四美亭) ↑2016년 가을에 후손들이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기와집으로 재건축한 사미정(四美亭) 소재지 :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사미정길 13-1(갈마곡리 270-40) 사진출처 : 백암 두름연가 ■ 사미정(四美亭)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결은리(갈마곡 1리) 270-14번지 홍천강변에 위치한 사미정은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의 7세손인 이구(李龜)가 건립한 정자이다. 연산군 때의 문신인 이구는 사육신 가운데 한 사람인 박팽년(朴彭年)의 사위 이공인(李公隣)의 둘째 아들이며, 자는 자장(子長), 호는 사미정(四美亭)으로, 1492년(성종 2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승문원정자ㆍ예빈시직장ㆍ예조좌랑ㆍ고성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