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선조유적. 유물 224

구천공 이세필 묘(龜川公 李世弼 墓)

■ 구천 이세필 선생 묘(龜川 李世弼先生 墓) (소재지 :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아곡리 축좌(丑坐) 1642년(인조 20)∼1718년(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字)는 군보(君輔), 호(號)는 구천(龜川). 항복(恒福)의 증손이며, 이조참판(吏曹參判-從二品) 시술(時術)의 아들이다. 1674년(현종 15) 제2차복상문제로 송시열(宋時烈)이 삭직 당하자, 평소 그와 모르는 사이였으나, 개연히 선비들을 설득하여 송시열의 원통함을 호소하는 상소를 올린일로 전라도영광에 5년이나 유배되었다. 1678년(숙종 4) 귀양에서 풀려나오자 학행으로 천거되어 1680년(숙종 6) 창릉참봉(昌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으며, 이듬해 동몽교관(童蒙敎官)이 되었고, 1684년(숙종..

충신 이경선선생 묘

↑제33대 이재정 통일부장관의 12대 조이기도 하다. ↑충신 예조참의 이경선선생 묘(산소뒤는 중부고속도로이다) ↑이경선선생 묘비/소재지 :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 산22-18 ↑이경선선생 묘역(촬영 : 2012. 04. 22(일요일) 좌측에 보이는 묘소는 참의공 이경선의 7대손 규오(圭五)와 배위 진주유씨 쌍분이다. ↑1730년(영조 6) 9월에 왕명으로 내려진 충신정려(忠臣旌閭) 원판(原版) ↑이경선 선생 충신 정려문 편액 1636년(인조 14) 1월 1일 남포 현감에 부임 재직 중, 그해 12월 9일 청나라 태종(2대) 홍타이지가 이끄는 14만의 대군이 압록강을 넘어 조선을 침략한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남포 현감 이경선은 충청도 관찰사 정세규가 이끄는 충청도 근왕병의 참모관으로 참전, 경기도 광주 ..

경천군 이해룡선생 묘역

■ 27世 이해룡(李海龍) 1546(명종 1)-1618(광해군 10).조선 중기의 서예가.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해수(海叟), 호는 북악(北嶽). 벼슬은 선조때의 역관‧ 사자관(寫字官)을 거쳐 내섬시주부(內贍寺主簿-從六品)에 이르렀다. 글씨를 잘 써서 한석봉(韓石峰)과 함께 이름을 날렸고. 선조의 명에 의해『천자문』을 써서 올렸는데, 당시 왕실과 경천군(慶川君)의 증손인 사자관(寫字官) 동현(東鉉)이 모사(模寫)하여 집에 전해오고 있었는데, 오늘에 전하는 지는 알수없다. 1588년(선조 21)에 황윤길(黃允吉)‧ 김성일(金誠一)과 함께 통신사의 사자관으로 일본에 가서 공적인 사무 이외에 많은 글씨를 남기고 왔다. 금석문으로 사현(沙峴)의 양호묘비(楊鎬墓碑)와 보물 제813호인 창덕궁 인정문(仁政門)..

慶川君李海龍先生墓域 - 북한산

■ 경천군 이해룡선생 묘역(慶川君李海龍先生墓域)/북한산 둘레길 ↑慶川君贈判敦寧李公諱海龍墓 卯坐. 貞敬夫人奇氏. 貞敬夫人許氏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진관동 산6번지 일원 ↑南部主簿慶州李公春秀墓 坐 淑人金氏祔右 ↑知中樞府事慶州李公春華墓 貞夫人玄氏. 貞夫人咸氏 ↑贈司僕正慶州李公忠國墓. 淑人鄭氏艮坐 ↑司畜署別提慶州李公迬彬(왕빈)墓. 淑人金氏. 淑人金氏. 淑人崔氏艮坐 ↑慶州李公後廣墓 配林氏祔右 良坐 ↑이곳 좌측은 경주이씨묘역,-우측은 이해룡 송금비 ↑贈判書慶州李公後勣(후적)墓 艮坐. 貞夫人林氏祔右 ↑繕工監奉事慶州李公諱希哲墓(慶川君 李海龍의子) 卯坐. 淑人李氏祔右 촬영>ⓒ이재훈

지사 이기남 묘(知事 李箕男 墓)

■지사 이기남(知事 李箕男) 이기남(李箕男)은 본관이 경주(慶州)로, 안동판관 증 이조판서 이성무(李成茂)의 현손(玄孫)이고, 성균진사 의정부 좌찬성 예신(禮臣)의 증손(曾孫)이고 우참찬 증 시림 부원군 영의정 정헌공(定憲公) 이몽량(李夢亮)의 손자(孫子)로 오성부원군 의정부 영의정 백사(白沙) 문충(文忠公) 항복(恒福)의 四男이다. 선비는 정부인(貞夫人) 금성오씨(金成吳氏) 감찰 언후(彦厚)의 딸이다. 병자호란 시 임금을 남한상성으로 호종한 공(功)이 있어 고을 수령에 제수 하였고 열한 고을을 지내시니 청백리의 이름을 얻었고 정헌대부 지중추부사 예조판서를 지내었다. 배위(配位)는 정부인개성박씨(貞夫人 開城朴氏) 주부(主簿) 제남(悌男)의 딸로 슬하에 4男6女를 두었다. 장자(長子)는 증 장악원 정(掌樂..

이조참판 이시술 묘(吏曹參判 李時術 墓)

■이조참판 증 의정부 좌찬성공 諱 시술(時術) ◇성균진사 증 의정부 좌찬성공 諱 예신(禮臣)의 玄孫, ◇의정부 우참찬 증 시림부원군 대광보국술록대부 영의정 정헌공 諱 몽량(夢亮)의 曾孫. ◇오성부원군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백사(白沙) 문충공 諱 항복(恒福)의 孫. ◇예빈시 정 증 이조참판공 諱 정남(井男). ◇선비 贈 貞夫人 咸安尹氏의 長男. ●配位 贈 貞敬夫人 豊山洪氏 슬하에 4男6女를 두시니, 장자는 이조정랑 세장(世長)이고, 차자는 참판 구천(龜川) 세필(世弼), 참봉 효우당(孝友堂) 세희(世熙), 세춘(世春) 이고 전주 이상염 (李尙염) 파주 윤진(尹搢) 진사 여주 이만휘(李萬徽), 현감 남양 홍원보(洪遠普) 창원 황발(黃鉢) 첨사 창령 조심원(曺心遠) 에게 출가하였다. 묘역은 포천시 신..

예빈시 정 이정남 묘(禮賓寺正李井男 墓)

■ 26世 증 가선대부 이조참판 이공 묘(행 예빈시 정 성천부사) ▲묘역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계류리(丁向原 配位 贈 貞夫人 咸安尹氏 合附) ●가족관계 ◇안동대도호부 판관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공 諱 성무(成茂)의 玄孫 ◇성균진사 증 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공 諱 예신(禮臣)의 曾孫 ◇의정부 우참찬 증 시림부원군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 정헌공 諱 몽량(夢亮)의 孫 ◇오성 부원군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백사 문충공 諱 항복(恒福)의 아들 ◇선비는 貞敬夫人 安東權氏 ◇長男 이조참판 증 좌찬성 諱 시술(時術) ◇次男 사과 학관 諱 시득(時得). ◇사위는 좌상 동래 정지화(鄭知和) 김사윤(金嗣胤)에게 出家하였다 카페 >경주이씨 상서공파 대종회 | 원글보 글쓴이 : 해모수(相旭.龜)|원글보기

초려 이유태 선생 묘(草廬 李惟泰 先生 墓)

■ 초려 이유태(草廬 李惟泰) 선생 묘. ↑초려 이유태선생 신도비 ↑초려 선생 묘소(후)와 손자(이단몽)의 묘소(전) 전경-상복을 입으신 분은 역사유적을 지키고자 애쓰시는 이성우 교수이시다 귀신도 울고 갈 초려 이유태(草廬 李惟泰)선생의 유택(幽宅) 충청 땅 대전지역에는 안빈낙도(安貧樂道)하는 선비들이 많이 세거(世居)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이른바 충청오현(忠淸五賢-우암 송시열, 동춘당 송준길, 초려 이유태, 미촌 윤선거, 시남 유계 선생을 일컬음)이라 불리우는 대학자들 중 초려(草廬)선생이 있었는데, 그분이 지금 매우 외롭고 처절한 몸부림에 떨고 있다. 어제 예정에도 없던 일정으로 문헌공(文憲公) 이유태 선생 유택(幽宅)을 찾게 되었는데, 과연 그곳에선 귀신도 울고 갈 희한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었다..

이인보 묘(李仁寶 墓)

▲26世 사어 이인보선생 묘(司禦 李仁寶先生墓) / 국당공파 □ 소재지 :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강천리 □ 시 대 : 조선 □ 진사시 : 인조(仁祖) 17년(163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식년진사(式年進士) 3등(三等) 38 위/합격연령: 29歲 이인보(1607~1668)는 현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자는 효장(孝章)이다. 증 좌찬성(贈左贊成) 이유일(李惟一)의 손자이며 동지중추부사 이익(李瀷, 1581~1628)의 아들이다. 사마양시(司馬兩試)에 합격하고 사옹원참봉(司饔院參奉)을 제수 받았으나 출사하지 않았다. 묘는 강천리 중간말의 좌측 구릉에 위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