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선조유적. 유물 224

생원공 이타선생 묘(生員公 李鼉先生 墓)

↑탑안마을 진입도로 입구(장락교 왼편의 노상주차장에 10여대를 주차할 수 있습니다. ↑제천시 지정보호수, 수령400년느티나무 (위치 제천시 장락동 1024번지 : 탑안로10길) ↑왼편 농로를 따라 올라가면 쉽게 갈 수 있습니다. ↑산소 소재지 : 충청북도 제천시 장락2동 탑안마을 ↑촬영>2011. 04. 11(월요일)>건돌(李元熙) ■ 성균생원 경주이공 타 묘갈명(成均生員 慶州李公鼉墓碣銘) ◇24世 경주이씨 팔별 집 4째분. 제천(堤川)에서 동쪽으로 얼마 안 떨어진 곳에 한 골이 있으니 장락(長樂) 탑 안이라 한다. 오가는 사람들이 눈에 익혀 두었다가 손가락으로 가리켜 서로 이르기를 이는 경주이공(慶州李公) 재사당(再思堂)의 아우 생원공(生員公)이 세상을 버리고 피해 살던 곳이라고 한다. 또 그 도덕문장..

간옹 이익선생 묘(艮翁 李瀷先生 墓)/국당공파

■ 25世 간옹 이익선생 묘(艮翁 李瀷先生 墓)/국당공후 정순공파. ◇時祭日 : 양력 10월 마지막 일요일 ↑충북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 오갑산(烏岬山) 子坐午向 ↑제주시 오라동에 남아있는 세째부인 헌마공신(獻馬功臣) 김만일(金萬鎰)의 딸 경주김씨 묘. 설하에 아들 인제(仁濟)를 두었다. 사진은 원형이 바뀌기 전의 옛 모습이고, 지금은 비석 등의 석물이 설치 되어 변형되어 있다.

천휴당 이몽규 선생 묘(天休堂李夢奎墓)

■ 24世 이몽규(李夢奎) /상서공파 ◇생졸년 : 1510년(중종 5)∼1563년(명종 18). ◇생원진사시 : 중종(中宗) 35년 (154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3등(三等) 4위 -------------------------------------------------------------------------------------------------------------------------------------- 조선 전기의 사인(士人=벼슬을 하지 않은 선비).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창서(昌瑞), 호(號)는 천휴당(天休堂)· 청천당(聽天堂)이다. 조부는 판관(判官-從五品)을 지냈으며 이조참판(吏曹參判-從二品)에 추증된 이성무(李成茂)이다. 아버지는 주부(注簿)로 이조판서(吏曹判書-正..

시조 탄강 암각비(始祖誕降巖刻碑)

↑시조 탄강 암각비(始祖誕降巖刻碑) 1785年(정조 9) 을사(乙巳) 7月에 영천군수(永川郡守)로 재직중인 후손 집성(集星)공이 자연암(自然岩)에 가로 표암(瓢巖) 세로 월성이씨(月城李氏) 시조(始祖) 알평공(謁平公) 강처(降處)라고 세기었다. 소 재 : 경북 경주시 동천동 16번지(표암재) ------------------------------------------------------------------------------------------------------------------------------------ 영천군수 이집성의 세계도 (永川郡守 李集星의 世系圖) 17世 제현(齊賢) *익재공파 파조(益齋公派 派祖) 익재공 (益齋公) ㅣ ㅣ 18世 서종(瑞種)--달존(達尊)--창로(彰路) 시..

이휴(李携) 묘

■이휴(李携) 공의 성(姓)은 경주(慶州)요.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 국당공(菊堂公) 이천(李蒨)의 손자(孫子)로, 아버지는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 보국검교정승(輔國檢校政丞) 정순공(靖順公) 휘(諱) 성중(成中)과, 어머니 정부인 창원황씨(貞夫人 昌原黃氏) 사이에서 세째로 태어났다. 壬子 1372年(공민왕 21) 출생하여, 판 한성윤(判 漢城尹)을 지냈다. 배위는 정부인 청주한씨 판윤(判尹) 상환(尙桓)의 딸이요.슬하에 2男 3女를 두었는데 감찰(監察) 효상(孝商)은 長男이요. 판관(判官) 효림(孝林)은 次男이다. 딸은 민추(閔麤)와 최진(崔眕)과 세조조(世祖朝)에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하동(洞東) 정인지(鄭麟趾)에게 출가했다. 戊辰 1388年 졸하니, 경기도 의정부시 자일동 산143번지 선영하(先..

재사당 이원선생 묘.

↑소재지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 산64번지 도락산(道樂山)에 배위 합폄(配位合附)이다. 사진출처: http://cafe.daum.net/bradleeㅣ해모수(相旭.龜) /촬영일자 : 2011년 3월 중순. 재사당 이원선생 묘(再思堂 李黿先生墓) 李黿[生年未詳(1471년 추정)~1504年(燕山君 10]은 朝鮮 前期의 文臣으로 本貫은 慶州. 字는 낭옹(浪翁), 號는 再思堂이다. 高麗 때 門下侍中(1357)과 領藝文館事를 지낸 林府院君 文忠公 益齋 李齊賢의 7代孫으로, 高祖는 濟州道按撫使를 지낸 李伸이며, 曾祖는 參判과 樂安軍事를 지낸 李繼蕃이며, 祖父는 平安道觀察使를 歷任한 李尹仁이고, 아버지는 昌平縣令을 지낸 李公麟이며, 어머니는 順天朴氏로 集賢殿學士이며 死六臣의 한사람인 취금헌 박팽년(醉琴軒 朴彭年)의..

이몽량 선생 묘(李夢亮先生墓)/백사공 아버지

■ 이몽량(李夢亮) *24世 1499년(연산군 5)∼1564년(명종 19).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응명(應明). 진사 예신(禮臣)의 아들이고, 백사(白沙) 항복(恒福)의 아버지다. ↑정헌공(定獻公) 이몽량(李夢亮) 묘.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광촌 ↑시녕부원군(始寧府院君) 이운복(李雲福) 묘 *25世 1531년(중종 26) 5월 2일 생으로 영평현령(永平縣令)을 지내고 증직으로 순충적덕 보조공신(純忠積德補 祚功臣)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좌의정(議政府左議政) 연경연사 시녕부원군((領 經筵事始寧府院君)이다. 우참찬 몽량의 장남이다. ↑26世 이진남(李振男) 묘. ↑26世 이진남(李振男)묘표. /시녕부원군(始寧府院君) 이운복(李雲福)의 차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