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선조유적. 유물 224

전주 격사재(格思齋) 전경

■ 전주 격사재(格思齋) 전경 ↑격사재(格思齋) 전경(전북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송탄공(松灘公)이하 2世祖의 향사(享祀)를 모시는 재실(齋室). ◇시향 : 음 3월 10일 ● 격사재(格思齋) ◇ 1718년(숙종)에 착공 ◇ 1722년(경종)에 준공하여 연화재라 명명 ◇1820년(순조)에 중수하여 격사재라 개명하고, 1909년 수축 ◇1921년 취성루를 건립 ◇ 1951년 동재를 건립 ◇1971년 구 격사재를 이건하여 서재로 연화재라 명명 ◇ 1988년 관리사를 신축 ◇1997년 열헌공의 단소 정화사업과 성암공, 헌납공, 검교공, 동정공, 송탄공의 단소를 병설하였다. 격사재는 네모형으로 격조 높고 규모 있게 배열되어 270년의 역사와 전통을 간직하고 있다. ● 배향안 ☀경주이씨 중흥조 15세 열헌공 이..

경주 구강서원 420년 만에 금녀구역 개방

'금녀의 구역' 경주 구강서원, 420년만에 개방 ◀이곳을 클릭하면 동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 경주 구강서원 420년 만에 금녀구역 개방 기사입력 2007-09-29 06:17 조선시대 사립대학 역할을 한 서원에는 큰 업적을 남긴 학자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곳은 여성들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고 있는데 경주 구강서원이 420년만에 처음으로 여성들의 참배를 허용해 관심을 모았습니다. 임한순 기자의 보도입니다. 경주시 안강읍에 있는 구강서원입니다.목은 이색의 스승이자 포은 정몽주와 야은 길재로 이어지는 성리학의 태두인 익재 이제현 선생을 모시고 있습니다.1687년 세워진 뒤 여성들에게 굳게 닫혀 있던 구강서원의 문이 420년만에 처음으로 어제(28일) 열렸습니다. 봄 가을 두 차례 ..

화산서원(花山書院)

■ 화산서원(花山書院) 1975년 9월 5일 경기도기념물 제46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중기의 명신이었던 오성부원군 이항복(李恒福)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하여 1635년(인조 13) 지방 유림의 공의(公議)로 창건되었다. 1720년(숙종 46) "화산(花山)"이라 사액(賜額)되었으며 선현에 대한 배향과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헐렸으며, 위패는 무덤 앞에 묻어두었다가 1971년 복원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4칸의 인덕전(仁德殿), 내신문(內神門), 동서 협문(夾門), 각 3칸의 필운재(弼雲齋)와 동강재(東岡齋)·외신문(外神門) 등이 있다. 사당인 인덕전에는 이항복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동강재와 필운재는 강당을 겸한 재실(齋室)인데 원내의 여러..

동강 이석규선생 묘(東江李錫奎墓)-32世-상서공파

■ 32世 동강 이석규 묘(東江 李錫奎 墓) [생졸년] : 1758(영조 34)∼1839(헌종 5). 이석규(李錫奎)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초명은 영석(永錫), 자(字)는 치성(穉成), 호(號)는 동강(東江)으로,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의 7세손으로 경관(敬寬)의 아들이고 평택 진위(振威)에서 태어나. 품계는 정1품인 보국숭록대부에 이르렀고 시호(諡號)는 효정(孝貞)이다. 묘지는 남양주시 수동면 송천리 산90-2번지에 정부인 양주 조 씨와 합장묘를 이루고 있다. 원형봉분 앞에는 혼유석(88×33), 장대석을 놓고 그 앞에 복고석 위에 상석(127×83×40)을 이루고 있으며 그 앞에 직사각 향로석(37×28×37)을 두었다. 봉분 우측의 묘표는 민무늬의 장방형 대석(110×100×66)과 대리석으로..

귤산 이유원 묘(橘山 李裕元 墓)

↑35世 귤산 이유원 묘(橘山 李裕元 墓)/원거리 모습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송천리 산96-4번지 정경부인(貞敬夫人)동래 정씨와 합장묘이다. ↑위의 산소가 귤산 공의 조부(祖父)인 32世 효정공(孝貞公) 이석규(李錫奎 : 이조판서) 묘이고 아래의 묘가 영의정 귤산 유원 선생 묘이다. 이유원(李裕元)은 조선 말기 때인 1814(순조 14)∼1888(고종 25)의 문신으로 자는 경춘(京春), 호(號)는 귤산(橘山) 또는 묵농(默農)이다.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의 9세손으로, 이조판서(吏曹判書) 계조(啓朝)의 아들이다. 1841년(헌종 7) 정시문과에 급제, 예문관검열·규장각대교를 거쳐 1845년 동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의주부윤·함경도관찰사를 지냈다. 고종 초에 좌의정에까지 올랐으나 흥선대..

월재공 이인걸 묘(月齋公 李仁傑 墓)-청호공 후손

↑월재공 이인걸 묘(月齋公 李仁傑 墓)/ 소재지 : 전남 영암군 영암읍 정동 ↑월재공 이인걸 묘비(月齋公 李仁傑 墓碑) ●26世월 월재공 인걸선생 묘(月齋公 仁傑先生墓). 선생은 익재공의 10대손으로. 청호공후 호암공 반기의 아들이다. 무과(武科)에 오른후 훈련원 판관(訓練院判官)에 이르고 임진왜란(壬亂壬辰) 때에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의 휘하(麾下)에서 독전(督戰)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올랐고 뒤에 병조참판(兵曹參判)이 추서(追敍)되었다. 묘지명(墓誌銘)은 이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낸 회화공(晦窩公) 이인엽(李寅燁)이 찬(撰)하고, 행장(行狀)은 공조와 예조판서를 지낸 좌의정 화곡의 현손 파서(琶西) 집두(集斗)의 손자 형조판서(刑曹判書) 이규팽(李圭祊)이 지었으며, 비명(碑銘)은 진성인(..

수봉정(秀峯亭)

■ 수봉정(秀峯亭) [문화재 종목] 경상북도기념물 제102호 [명칭] 수봉정(秀峯亭)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조경건축/ 누정 [수량/면적] 473m²(143,34평) [건립연대] 일제강점기인 1924년 [지정(등록)일] 1995.01.14 [소재지] 경북 경주시 외동읍 괘릉동 487번지(신라 원성왕능으로 알려진 쾌능 뒷마을에 있다) [소유자(관리단체)] 이태형(李兌炯) [관리자(관리단체)] 날엔 이태형(李兌炯) [개관(槪觀)] 수봉정은 수봉 이규인(1859∼1936) 선생이 1924년에 빈민구제 및 교육사업과 독립운동가에 대한 지원을 위해 지은 정자이다. 처음에는 서당인 비해당(匪懈堂)과 약국인 보인재(輔仁齋)를 고루 갖춘 2층이었는데 1953년에 1층으로 고쳤다. 수봉정은 나라를 사랑하는 마..

금천 도산서원 자료조사(金川道山書院資料調査) 모음집

■ 문충공 이제현 사우에 은액을 허락하다. 금천(金川) 유학(幼學) 기명혁(奇命爀)이 상소하기를, “본읍(本邑)에 고려 문충공(文忠公) 이제현(李齊賢)의 사우(祠宇)가 있어 여말(麗末)과 근대(近代)의 명신(名臣) 이종학(李種學)과 조석윤(趙錫胤)을 배향(配享)하였으니, 청컨대, 은액(恩額)을 내리소서.”하였는데, 해조(該曹)에 내려 시행하도록 허락 하였다. [자료문헌] 조선왕조실록 : 숙종 15권, 10년(1684 갑자 / 청 강희(康熙) 23년) 10월 21일(계축) 3번째기사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39책 16면 [분류] 왕실-사급(賜給) / 정론-정론(政論) / 풍속-예속(禮俗) ----------------------------------------------------------------..

이용희 전 국회부의장의 부모 묘

2006년 6월 19일 국회 부의장에 취임한 이용희 국회의원의 부모 묘소이다. 이용희 부의장은 1931년 6월10일에 충북 옥천에서 태어나 제 9, 10, 12, 17대 제18대국회의원 선거에 당선되어 5선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현직 국회의원 중에서 최고령 국회의원이다. ▼ 아래 사진 설명 이용희 국회 부의장의 부모 묘소. 와혈의 형태로 결지 되었으며 급한기운이 내려오는 자리이다. 내룡이 암반으로 입맥되고 있다. ↑이용희 국회부의장의 아버지 이상훈선생과 어머니 광산김씨의 합장묘이다. 이용희 국회부의장은 선생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내청룡이 가깝게 묘소를 감싸고있는 자리로서 사진을찍은 백호자락을 감안하면 와혈형태의 자리에 안겨 있는 형국이다. ↑묘역을 청룡과 함께 환포하고 있는 백호의 모습. ↑묘소에서 바라..

경주이씨 익재공 후 밀직공파 묘역

■ 경주이씨 익재공 후 밀직공파 묘역 제현(齊賢) 17世 익재공(益齋公) ㅣ ㅣ ▼ 서종(瑞種)-달존(達尊)-창로(彰路) 18世【고려 말 개성부윤(開城府尹).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역임】 부령공 운와공 밀직공 ◇밀직공파(密直公派) (副令公) (雲窩公) (密直公) ┌────────┘ 반(蟠)-----곤(袞) 19世 참판공 록사공 (參判公) (錄事公) ㅣ 종인(種仁)-종지(種地) 20世 찬성공 (贊成公) ㅣ 청(聽)----문(聞)----령(聆) 21世 참판공 대언공 목사공 (參判公) (代言公) (牧使公) ㅣ 석손(碩孫) 22世 참판공(參判公) ㅣ 문림(文林)--수림(秀林)--영림(榮林) 23世 부사공 서윤공 府使公 (庶尹公 ㅣ ㅣ 윤영(允榮)--창영(昌榮)--익영(益榮)--종영(終榮)--말영(末榮)--우(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