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선조유적. 유물 224

국당공 묘 연혁

■ 국당 이천(菊堂 李蒨) 묘. [생졸년] 1274년(元宗 15년)~1349년(충정왕 1년) 고려조의 명신 국당 문효공 휘 천(菊堂 文孝公 諱 蒨)은 고려 충정왕 원년(1349) 7월에 돌아 가시자 파주 상곡동 좌좌(左座 : 현 파주시 맥금동 638-2)에 예장되어 손들이 수호 관리하면서 내려오다가 수차에 걸친 전란으로 일시 궐사(闕祀 : 제사를 지내지 않거나 빠뜨림) 된 적도 있었다. 특히, 영조 7년(1731년)에 인조대왕(仁祖大王) 능(장능=長陵)이 문산읍 운천리에서 파주 탄현면 갈현리 산25-1로 천봉 되자 오리(2킬로) 이내에 있는 묘는 모두 천묘(遷墓 : 무덤을 다른 곳으로 옮김) 하라는 명령이 내려지니 할 수 없이 청백리 이정보(靑白吏 李廷輔=菊堂公 長曾孫) 묘와 함께 천장은 하지않고 암 표..

독립운동가 이상정(李相定) 고택.

■ 독립운동가 이상정(李相定) 고택(古宅) ↑이상정선생의 백부 소남 이일우선생 ↑이상정 고택(李相定古宅) ●이상정(李相定, 1897∼1947). ◇익재공 후 21세(世) 소경공 지회(少卿公 之會)의 18대(代) 손임 독립운동가로 본관은 경주(慶州). 별명은 연호(然浩), 직(直). 호는 청남(晴南), 산은(汕隱). 우남(又南) 시우(時雨)의 장자(長子)로서 민족시인 상화(相和), 서울대사회학과교수 및 IOC위원 상백(相佰), 수렵인 상오(相旿)의 형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큰아버지 소남(小南) 일우(一雨) 밑에서 교육을 받았다. 큰아버지가 경영하던 그 당시 신학문과 민족정기의 요람이었던 강의원(講義院)에서 공부한 뒤 1912년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의 성서중학교(成城中學校, 육군유년학교)를 마치고 미..

풍천도호부사 이시득 - 벽오 이시발 선생 동생.

■ 이시득(李時得) 생몰년은 1574년(선조 7) 5월 18일~1640년(인조 18) 5월 2일로,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덕구(德久).형조판서(刑曹判書) 이시발(李時發)의 아우로. 1574년(선조 7) 5월 18일 제천에서 유복자로 태어났다. 어려서는 학업을 닦다가 성장해서는 붓을 던지고 무예를 익혀 을사 1605년(선조 38)에 선전관(宣傳官) 천수(薦授)를 받았고, 다음해인 병오 1606년(선조 39) 나이 32세에 무과(武科)에 장원급제(壯元及第)하여 내자시주부(內資寺主簿-從六品)를 시작으로 청하(淸河). 흥덕(興德). 무장(茂長)의. 세 고을 현감((縣監-從六品)을 지냈다. 관직이 통정대부(通政大夫-正三品)에 이르러. 풍천도호부사(豐川都護府使-從三品)가 되었는데, 타고난 자품이 어질고 돈후하..

의산서원(義山書院) - 성오당 이개립을 봉안한 서원

의산서원(義山書院)-성오당 이개립을 봉안한 서원 ↑의산서원 절효사(節孝祀) ↑의산서당 내삼문 [소재지]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갈산리 석종(石宗) [원소재지]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행의사지(行依寺止) 옛터 [건축주] 지역사림 [건축시기] 1610년(광해군 2) [훼철시기] 1868년(고종 5) [소유자] 경주이씨 성오당 문중 ● 건축개요. 경상북도 영주에서 예천으로 통하는 큰길을 따라 반두들녁을 거쳐 지나가다가 성곡(城谷)으로 들어서 5리쯤 들 어가면 나지막한 야산으로 둘러싸인 아늑한 동네가 나타 나는데, 이곳이 경주이씨(慶州李氏)가 400여 년을 세 거해온 갈미 마을이다. 이곳 갈미 마을은 용암산에서 떨어진 줄기가 동남으로 뻗어 내려오다가 매봉산을 일어키고 남으로 틀어 마을의 진산을 이루고, 동으로는..

충무공 이수일 장군 - 경주이씨국당공파

■ 충무공 이수일 장군 ↑충무공 이수일 장군 영정(忠武公 李守一將軍 影幀 : 1554~1632) [시도유형문화재] 제178호 [명 칭] 이수일진무공신록권및영정(李守一振武功臣錄券 및 影幀) [지정일] 1995.06.30 [소재지] 충북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 47-5 [소유자] 경주이씨국당공파 ------------------------------------------------------------------------------------------------------------------------------------- 공신녹권이란 나라에서 공이 있는 신하에게 공신으로 임명할 때 내리는 임명서를 말한다. 이 녹권은 조선 인조 때의 무신 이수일(1554∼1632)에게 내려진 것으로, 평안도 병마절도사..

백사 이항복의 사패지.

기획/특집 | 김해규의 지명이야기 [321호] 2006년 05월 03일 (수) 00:00:00 / 평택시민신문 webmaster@pttimes.com 진위면 가곡리-1 ‘가오실’이 ‘가야실’로 변음 되었다가 나중에는 개실이라는 사투리로 씌여 가곡리 가야실 일 때는 백사 이항복의 사패지였다. ‘경주이씨천’이라고 쓰여진 표석이 이를 증명한다. 가야실은 본래 안동권씨의 터였으나 4백년 동안 관료를 배출하지 못해 쇄락했다. ------------------------------------------------------------------------------------------------------------------------------------- ■ 5월은 보리바람이 부는 계절 ●가곡리 가야실 5월..

경주이씨 상서공파 묘원

■상서공 묘원 아래 상서공 묘원에는 상서공(薖). 아들 지인주사공 원보(元普)의 .설단과 손자 전농판관공 승(承). 증손인 공조참판 연손(延孫)의 묘가 있으며 백사공(白沙公)의 손자 공주목사 시현(時顯)과. 현손 영의정 광좌(光佐). 五세손 성균관 대사성 종적(宗適)의 묘와 상서공의 6세손 진사 의신(義臣). 공의 5세손 자는 사종 호는 가은 성균진사 (증) 이조참의 수종(秀宗)의 묘가 안장되어 있다. 소재지 :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동천리 342-1번지 ↑17世 상서공 휘 이과 경모비 ↑공조참판 증 영의정 이공 연손 지 묘(工曹參判贈領議政李公延孫之墓)/20世 ↑공조참판 증 영의정 이공 연손 지 묘표(工曹參判贈領議政李公延孫之墓表) ↑공조참판(工曹參判) 20世 이연손[李延孫-미상∼1463년(세조 9)] 묘..

참봉 이만령 영세불망비 - 익재공후 판윤공파

■ 31世참봉 이공 만령 영세불망비 (參奉 李公 萬齡 永世不忘碑) 참봉 이만령「1708년(숙종 34)~1784년(정조 8)」선생의 자(字)는 여집(汝集)이고 호는 남은(南隱) 관향은 경주(慶州)로 판윤 지대(之帶)의 10세손이다. 벼슬은 경기전 참봉(慶基殿 參奉,從九品=전주 풍남동에 있는 조선 태조의 영정을 모신 집의 관리 책임자) 이었고 묘는 2002년 12월 27일 울산 온산면 석당리 화등산 유좌에서 울주군 청량읍 율리 청송마을로 이장되었다. 참봉 이만령 영세불망비(參奉 李萬齡 永世不忘碑)의 국역(國譯文)은 2009년 3월 울산시 남구문화원에서 간행한「남구문화」6집에 특별기고로, 전 남구문화원장 김송태씨가 쓴 “참봉이공만령영세불망비의 비문 역주”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참봉이공만령영세물망비 / 사진..

좌의정 이경일 묘-31世 백사공파(白沙公派)

■좌의정 이경일 ↑좌의정 이경일 화상 【성 명】 이경일(李敬一) 【생몰년】 1734(영조 10)∼1820(순조 20) 【본 관】 경주(慶州) 이(李) 【자·호】 원회(元會), 청헌(聽軒) 【시 호】 효정(孝定) 【저서·작품】 《청헌유고(聽軒遺稿)》 【시 대】 조선 후기 【성 격】 문신 1734(영조 10)∼1820(순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원회(元會), 호는 청헌(聽軒)으로 이항복(李恒福)의 6세손이고 이세장(李世章)의 증손이며 이문좌(李文座)의 손자로 아버지 진사 이종열(李宗說)과, 어머니 강석창(姜碩昌)의 딸 사이에서 경기도 포천 가산면 방축리孝定에서 태어났다. 훗날 도사(都事) 종악(宗岳)에게 출계하였다. 그후 1768년(영조 44) 음덕으로 관직에 나와 온릉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