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선조유적. 유물 224

화산서원

경기일보 홈> 뉴스>문화 | 서원의 門이 열린다. 2010년 12월 22일 (수) 윤철원 기자 ycw@ekgib.com 풍우에 씻긴 비각엔 백사의 충정 향기로 피고 화산서원 ↑백사선생을 모신 화산서원 사당 ‘오성과 한음’ 일화로 우리들에게 익숙한 오성대감 백사(白沙) 이항복. 병조판서로 병권을 잡고, 대제학으로 문권을 잡았으며, 영의정으로 나라 정치를 통섭했던 ‘통재’(通才) 백사. 그래서 임진왜란을 평정한 호성공신의 일등 중 일등이었고, 사후에는 학문과 문장에 뛰어난 충신이라 해서 문충공(文忠公)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그의 애국심, 공평무사한 정치가로서의 깊고 넓은 도량, 나라가 어려울 때 목숨을 바친 충성심, 뛰어난 문장과 학문, 이런 높은 공업은 이 나라 민족사상의 바탕이자 영원한 사표가 됐다. ..

수락영당

↑수락영당의 봉안 익재영정 ■ 청원 수락 영당([淸原 水落影堂) ◇봉안 신위 : 익재공 이제현 영정(益齋公 李齊賢 影幀) ◇제향일 : 매년 음력 3월 15일, 음력 9월 15일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가양리(佳陽里) 44-4 진천 양호사(陽湖祠)에 봉안했던 익재공 이제현 영정((益齋公 李齊賢 影幀)을 1898년(광무 2)에 이곳 수락 영 당으로 이전 봉안하기 위해 세운 영당이다. 영정은 1319년(충숙왕 6)에 원(元) 나라의 화가 진감여(陳鑑如) 그린 것을 후대에 모사한 것이다. 선비복장을 한 반신상을 그렸으며, 가로 49㎝, 세로 93㎝의 설채 견본(設彩絹本)이다. 윗부분에는 이유원(李裕元)이 쓴 제기(題記)가 있는데, 이는 이제현이 1350년(충정왕 2)에 지은 자찬문(自贊文) 을 ..

이안복(李安福)선생 묘

■ 25世 이안복(李安福) 선생 묘. 公의 자(字)는 수경(綏卿)으로, 상서공(尙書公) 과(薖)의 8대손이다. 先考는 몽윤(夢尹) : 춘방보덕(春坊輔德) 贈 직제학(直提學) 祖는 예신(禮臣) : 성균진사(盛均進士) 贈 좌찬성(左贊成) 曾祖는 성무(成茂) : 안동대도호부 판관(安東大都護府 判官) 贈 이조판서(吏曹判書) 高祖는 승수(崇壽)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贈 이조판서(吏曹判書)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광촌(너배기) 贊成公墓 右麓 艮坐 雙墳 출처 : 경주이씨 상서공파 대종회

은송정기(隱松亭記)

■ 은송정기(隱松亭記) 역문(譯文) 저번에 고령(高靈)의 이태희(李台熙)라 하는 분이 한권의 가승(家乘)을 가지고, 내집문에 이르러 뵙기를 청(請)하고 말하기를, 이는 우리집의 파보(派譜)이고, 하나는 곧 우리 11대조가 되는 남포공(藍浦公)의 순절(殉節) 한때의 실상(實狀)을 기록(記錄)한 것이다. 남포공(藍浦公)은 벽오공(碧梧公)의 第五子로서 일찍이 벼슬하여 외직(外職)으로 나가서 남포현(藍浦縣 : 오늘날 충남 보령시)을 다스리다가 丙子年[1636(인조 14)]에 북쪽 오랑케가 일으킨 난리(亂離)를 만났다. 나라에는 굶어죽는 사람들이 잇달아 일어났고, 난리(亂離) 뒤에 우리 조상(祖上)은 멀리 외가(外家)에 찾아가 함께 살려고 남하(南下)하여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다가 고령(高靈)의 가곡(佳谷) 땅에 이..

표암재 약도(瓢巖齋 略圖)

▣ 문화재명 : 경주표암(慶州瓢巖 : 경주이씨 시조 발상지) ▣ 지정명 : 지방기념물 제54호(1985년 10월 15일) ▣ 소재지 : 경북 경주시 동천동 507-7(산16외 49필지) : ↑표암재(瓢巖齋) ↑경주이씨 시조 이알평공의 탄강지 광림대의 유허비각이다. ↑석혈비의 시조 알평공의 가로막을 알(閼)자를 뵐 알자 알평공(謁平公)으로 바로 잡아야 합니다. ●신라 좌명공신 급량부대인 이알평 유허비 (新羅 佐命功臣 及梁部大人 李謁平 遺墟碑) 삼가 살펴 보건데 경주이씨 옛 족보에「시조의 이름은 알평(謁平)인데 진한(辰韓)의 표암봉(瓢巖峰), 아래에서 처음 내려왔다」하였으니, 처음 내려 왔다함은 탄생(誕生)을 말한 것이다. 시전(詩傳)에 유악강신(維嶽降神)하야, 생보급신(生甫及申), 이로다. 생각 컨데 묏부..

고령군 쌍림면 합가2리(청풍공 산소)

■ 청풍공 이완희(淸風公 李完熙) [생졸년] 1906. 12. 08 ~ 1991. 12. 10 / 壽86歲 -------------------------------------------------------------------------------------------------------------------------------------- 공(公)의 초명(初名)은 노석(魯碩), 자(字)는 자근(子根), 호(號)는 청풍(淸風), 성(性)은 경주이씨(慶州李氏)다. 고려(高麗) 말 문충공(文忠公)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의 후손(後孫)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때, 혁혁한 전공(戰功)을 세우고, 1624년(인조 2) 이괄((李 适)의 난(亂)을 평정한 형조판서(刑曹判書) 벽오 이시발(碧梧 李時發)의 12..

은송정(隱松亭)

↑은송정(隱松亭) ● 이영우(李英雨) [생졸년] : 1853년(철종 4) ~ 1913년(왜정) / 향년 61세 경주이씨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후손으로 형조판서(刑曹判書) 벽오(碧梧) 이시발(李時發)의 10대손이다. 자(字)는 문칙(文則), 호(號)는 은송(隱松), 1853년(철종 4) 9월 29일 오늘날 고령군 개진면 양전 리에서 태어나, 향토와 벗을 좋아하고 사랑 하였으며 문장에 능하여 향중 벗들이 그를 존경 하였다. 1959년 경북 고령군 쌍림면 합가2 리(안 개실) 안산 선영 아래에, 그의 후손들이 선생의 학문(學問)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재실(齋室)이다. --------------------------------------------------------------------------..

경주이씨 영당. 사우. 봉안자

■ 경주이씨 영당, 사우 위패봉안자. 순서 사우명 봉안자 성명 호(號) 소재지 비 고 01 악강묘(嶽降廟) 이알평(李謁平) 표암(瓢巖) 경북 경주시 동천동 산16외49필지. 02 도통사(道統祠) 이진(李瑱) 동암(東菴) 충북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산7 03 향현사(鄕賢祠) 이유택(李惟澤) 유곡(柳谷) 충남 금산군 04 충현사(忠賢祠) 이존오(李存吾) 석탄(石灘) 충남 공주시반포면 공암리 381 05 백록사(柏麓祠) 이종준(李宗準) 용재(慵齋) 경북 안동시 06 의렬사(義烈祠) 이존오(李存吾) 석탄(石灘) 충남 석탄(石灘) 07 의렬사(義烈祠) 이정암(李廷馣) 사류재(四留齋) 황해도 연백군 연안읍 08 충효사(忠孝祠) 이탁영(李擢英) 반계(盤溪) 경북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 579 親筆稿本:征錄蠻 09 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