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선조유적. 유물 224

이재정 장관 조부모 묘

■ 이재정(李在禎) 장관 조부모 묘 성공회 은퇴사제로서 정치에 입문, 제16대국회의원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제33대통일부장관을 역임한 이재정장관은 경주이씨(慶州李氏) 익재공파(益齋公派)의 파조(派祖)이신 이제현『李齊賢, 1287(충렬왕 13)~1367(공민왕 16) 』 선생의 24대손으로. 조선조 선조(宣祖) 때의 명신 형조판서(刑曹判書) 벽오(碧梧) 이시발『李時發,1569년(선조 2)~1626년(인조 4)』의 13대손이고, 진천우체국장을 역임한 아버지 송당(松堂) 이광희(李光熙) 선생과 어머니 광주정씨(廣州鄭氏) 상곤(商昆) 선생의 딸 덕희(德禧) 여사사이의 4남 1여중 막내로 1944년 3월 1일 충북 천안시 입장면에서 태어났다. 그는 경주이씨 41세(世)로 경기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

백사 이항복선생 묘

↑백사 이항복선생 묘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산4번지 촬영>2016. 01. 12(화) ↑백사 선생묘의 후경 ↑백사 선생묘의 후경 ↑배위 : 정경부인 금성오씨묘(백사묘소의 좌측에 有) ↑측면에서 바라본 계배 금성오씨묘. 이항복[李恒福, 1556년(명종 11)~1618년(광해 10)]은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 정치가· 시인· 작가이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상(子常), 호는 백사(白沙)· 필운(弼雲)· 청화진인(淸化眞人)· 동강(東岡)· 소운(素雲),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우참찬(右參贊)을 지낸 이몽량(李夢亮)의 아들이며, 도원수 권율(權慄)의 사위이다. 어려서부터 죽마고우인 이덕형(李德馨)과의 우정 이야기(오성과 한음)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 선조임금을 수행하여 ..

이예신, 이몽윤, 이몽량선생 묘.

▲23世 찬성공 이예신선생 묘(贊成公 李禮臣先生 墓) 생몰년 : 1466(세조 12)~1536년(중종 31)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 선생의 조부(祖父)로, 글을 잘 짓고 뜻이 원대하였으나 도(道)를 지키면서 벼슬하지 않고 전야(田野)에서 일생을 마쳤다[1536년 8월(중종 31)] 증 의정부 좌찬성(贈 議政府 左贊成)에 추증되었다. 묘갈비(墓碣碑)는 1538년(중종 33)에 세웠고, 비의 크기는 높이 98Cm, 넓이 55Cm, 두께 18Cm이다. □ 이예신(李禮臣)→차자(次子) 이몽량(李夢亮)→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 □ 묘지의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광촌마을. ▲24世 보덕공 이몽윤선생 묘(輔德公 李夢尹先生 墓) 진사 이예신(進士 李禮臣)의 장남으로, 기묘 1519년(중종 14)에..

구강재(龜岡齋)

■ 구강재 상량문(龜岡齋 上樑文) 재목(材木)을 찾아 먹줄을 사용하는 것은 우리 문학계의 큰 선비들이 전임(專任)하는 것이고, 거문고와 책을 책상에 쌓아둔 것은 오늘날 후손을 깨우쳐 주고자 함이야. 밝으신 영영을 우러르니 음성이 들린 듯 모습이 보인듯하여 계절 따라 선조님이 그립고, 좋은 터를 닦아 건물을 세우니 명언(名言)이 이곳에 담겨있네. 삼가 선조를 위한 정성을 바쳐, 감히 제각을 지어야 하는 뜻을 편 것이다.엎드려 생각하니 구강(龜岡)의 자락은 선조 두 분의 유해를 모신 언덕이다. 5대조의 아름다운 효우정신은 일찍이 가정교훈을 통하여 들었고, 증조할아버지께서 남기신 문학은 온 고을에 전파되어 있다오. 신통한 스님에게 진결(眞訣)을 얻었으니 묘역이 더욱 좋고, 옛날 예법을 근거로 하여 봉분을 쌓았..

망호공 이주남선생 묘(望湖公李柱南先生墓)

■ 29世 망호공 이주남(望湖公 李柱南) 생몰년 : 1611년(인조 12)-1698년(숙종 24) ▲29世 망호공(望湖公-이주남(李柱南) 산소를 가려면 바라보이는 개울을 건너야 됨) 소재지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동해리(동촌부락) 안산 ▲마을입구에 세워저 있는 망호공 신도비(望湖公 神道碑) 사진출처 : 영암읍 망호리 마을 ◎ 망호공 이주남 세계도((望湖公 李柱南 世系圖) 17世 제현(齊賢) 익재공(益齋公) │ 18世 서종(瑞種)-달존(達尊)-창로(彰路) 부령공 운와공 밀직공 (副令公) (雲窩公) (密直公) ┌────┘ 19世 덕림(德林)-수림(壽林)-학림(學林) 사간공 한림학사 소부윤공 (司諫公) (翰林學士) (少府尹公) ┌────────┘ 20世 담(擔) 대언공(代言公) │ 21世 ▶ 희(暿)청호공..

국당공 후 제정공파 선대 묘

↑17世 국당공 이천(菊堂公 李蒨)선생묘. /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맥금동 ↑신도비명(神道碑銘)은 단운 민병승(丹雲 閔丙承)선생이 짓고, 1926년 4월 하순(下旬)에 세웠다. ↑신도비(神道碑)는 곽종석(郭鍾錫)이 찬(撰)하고 이종린(李鍾麟)이 쓰고, 이규창(李圭昌)이 전자(篆字)를 쓰다. ↑제정공(霽亭公)의 손자 20世 계림군(鷄林君) 양희공(襄僖公) 이흥적(李興啇)선생 묘. 소재지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산76번지 양지마을 ↑20世 양희공의 배위 정경부인 여산송씨 묘(경기도 시흥시) ↑21世 부사공 이증선생 묘(경기도 시흥시) ↑21世 부사공 이증선생 묘(경기도 시흥시) ↑22世 부호군(副護軍) 이함정(李咸靖), 23世 충의위(忠義衛) 이대(李玳), 24世 충의위(忠義衛) 이성호 (李成瑚..

승지공 두곡 이발 묘(丞旨公 杜谷 李渤 墓)/25世

■ 좌승지 이발(左承旨 李渤 : ? - 1560년 음 10월 5일) 재사당 이원의 아들(再思堂 李黿의 子)로 배위(配位)는 광주이씨 굉필의 녀(廣州李氏 宏弼의 女) 문첨추 여산 송침의 외손(文僉樞 礪山 宋沈의 外孫)으로 묘는 합폄(合窆)이다. 묘(墓)의 소재지 : 충북 제천시 송한면 송한리 癸坐 墓碣銘 有(梧村公後 文熙 撰) ----------------------------------------------------------------------------------------------------------------------------------- 송학(松鶴)땅 송한리(松寒里)의 계좌(癸坐)에 앉은 무덤은 공(公)의 유택(幽宅)이요. 청룡(靑龍) 학봉(鶴峰) 월악(月岳) 용두산(龍頭山) 들녘! ..

성균생원 이타 선생 묘(成均生員李鼉先生 墓)

ⓒ이재훈 ↑산소 소재지 : 충청북도 제천시 장락2동 탑안마을/ ⓒ이재훈 ↑생원공 이타선생(生員公 李鼉先生 墓)/소재지 : 충북 제천시 장락동 탑안마을 뒷산. 촬영>이재훈 선생의 자(字)는 해수(海 叟), 또는 덕수(德 叟)이고, 사육신 박팽년(死六臣 朴彭年:1417~1456)·의 외손(外孫)으로, 성(性)은 경주이씨다. 일찍이 생원시(生員試)에 장원 하였으나, 1498년(연산 4) 세째형 재사당 이원(再思堂 李黿)의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 됨으로서 당시 무모 형제가 모두 전국 각지로 뿔뿔이 귀양가게 되면서 오늘날 충북 제천시 장락동으로 귀양 온 후, 1506년 중종(中宗)의 등극으로 신원(身元)된 후에도, 과거를 단념하고 이곳에서 은거(隱居)하며, 후학을 가르쳤다. 제천시 마을유례지에 따르면 장락동은..

생원공 이타선생 후손 묘역(生員公 李鼉後孫墓域)

■ 24世 생원공 이타선생 후손 묘역(生員公 後孫墓域) 소재지 :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송한리 시제산(時祭山) ↑시제산 찾아 가는 길 : 제천에서 주천방향 82번 도로 주행요망. ↑시제산의 묘지 배치도 ↑묘역 석물건립 헌성비(1989년 묘역 입구에 설치) ↑묘역 전경(墓域全景) ↑25世 승지공 이발선생 묘(丞旨公 李渤先生 墓)/제일 윗쪽 ↑25世 승지공 이발선생 묘비(丞旨公 李渤先生 墓碑) ↑26世 판서공 이경윤선생 묘(判書公 李憬胤先生 墓). ↑26世 판서공 이경윤선생 墓碑(判書公 李憬胤선생 墓碑). ↑27世 금산공 이대수선생 묘(錦山公 李大遂先生 墓). ↑27世 금산공 이대수선생 묘비(錦山公 李大遂先生 墓碑). ↑금산공(錦山公) 이대수(李大遂) 묘비 측면 ↑28世 통덕랑공 이시진선생 묘(通德郞公 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