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674

12간지 해설(12干支解說)

■ 십이간지 해설(12干支解說) 고전(古典) 속에 나타나 있는 십이지(十二支)의 해설을 원전(原典)과 함께 여기 소 개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子(鼠) ◇子者, 滋也 萬物滋於下也.(史記. 律書) ◇孶萌於子(자맹어자)(漢書, 律歷志) ◇子, 孶也. 孶孶已也.(白虎通, 爵) [解] ◇子는 번식한다는 뜻이며, 만물은 아래에서 번성하는 것이다. ◇子는 부지런히 싹트는 것이다. ◇子는 부지런한 것이다. 부지런히 늘어 나는 것이다. ●丑(牛) ◇丑, 紐也. 容氣屈紐也. (釋名, 釋天) ◇丑, 紐也, 言陽氣在上未降, 萬物厄紐未敢出(史記, 律書) [解] ◇丑은 끈으로 동여매는 것이다. ◇容과 氣가 구부러지는 것을 동여매는 것이다. ◇丑은 끈으로 동여매는 것이다. ◇양의 기가 위에 있으며 내려오지 않아, 만물..

벽오 이시발 선생의 초평 낙향 설

■ 벽오 이시발(碧梧 李時發)선생의 초평(草坪) 낙향설(落鄕設) 1592년(宣祖25年)에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난 때였다. 왜군(倭軍)이 아국(我國)의 방방곡곡(坊坊曲哭)에서 전승(戰勝)의 기세(氣勢)가 유난( 蹂躝)이 심(甚)하여지자 대가(大駕)는 의주(義州)로 파천(播遷)하였으며 끝내는 명(明)나라에 청병(請兵)하였다. 이때 이여송(李如松)이 6만대군을 거느리고 래원(來援)하였다. 명나라에서는 전쟁(戰爭)을 할때 반듯이 지사(地師)를 데리고 와서 지리(地理:산천의 형국을 5행에 부치어 길흉을 살피는것)를 살피게 한 후(後) 진지(陣地)를 구축(構築)하였다. 이때 따라온 지사(地師)가 두사충(杜師忠)이다. 이여송(李如松) 장군(將軍)이 여기서 진(陳)을 치면 어떻냐고 두지사에게 물었다. 두지사는 무..

두사충(杜師忠) 선생 묘.

↑두사충선셍 묘 /소재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716 ↑두선생묘의 후경 ↑ 뒤쪽에 보이는 비가 두선생의 신도비이다. 두사충 묘 옆엔 낡은 신도비가 하나 서있다. 마지막 구절은 ‘삼도통제사 이인수찬'(三道統制使 李仁秀撰)이다. 이인수는 이순신의 7대손이 된다. 두사충은 이순신과도 친교가 깊었다. 이순신의 처음 묘터도 그가 잡았다 한다. 전쟁터에서 맺은 선조들의 인연, 그 아름다운 인연을 후손들이 이어간 셈이다. ↑모명재(慕明齋) ■ 두사충(杜師忠) 조선시대 명풍수로서 숱한 전설을 남긴이 가운데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 712-770)의 21대손 두사충(杜師忠)이란 인물이 있다. 그는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돕기 위해 중국에서 온 섭정국(葉靖國), 시문용(施文用), 이문통(李文通) 등과 같은 풍수 가운데..

경주이씨 묘(정약현 배위로 다산 정약용의 큰형수다)

경주이씨(1750-1780) 이벽의 누이이며, 정약현의 부인이고 황사영의 장모 [인문사회]‘정약용과…’ 조선시대 개혁의 밀알이 된 형제들 * 정약용의 가문은 친가, 외가, 사돈이 모두 남인 계통이다. * 이승훈은 정약용의 매부이며, 동시에 사돈이 된다. * 황사영 백서사건으로 황사영의 어머니는 거제도, 부인은 제주도의 관노가 되었으며, 두살난 아기는 추자도에 버 려졌다가 어부에 의해 길려졌다. * 이 사건에 연루되어, 정약용과 정약전도 각기 강진과 흑산도로 유배되었다. 정약전은 귀양살이 16년되던해 죽었 으며, 정약용은 18년만에 풀려났다.

남극관 선생 묘.

●남극관선생 묘. ♣ 시대 : 조선 숙종37년(1711) ♣지정번호 : 향토유적 제5호 ♣ 지정년월일 : 1990.11.22 ♣ 소재지 : 용인시 모현면 초부리 산1-5 ♣ 소유자 : 남표희(南杓熙) ♣ 규모 : 비높이 90㎝, 폭 67㎝, 두께 35㎝ 재료 : 토분 및 석물 -------------------------------------------------------------------------- 남학명(南鶴鳴)의 아들로 남구만의 손자이다. 座隅覺暑退 / 좌우각서퇴 자리 옆에 더위가 물러가더니 隙見陰移 / 첨극견음이 처마 틈의 그늘도 옮기어 간다. 竟日無語 / 경일묵무어 온 종일 묵묵히 아무 말 없이 陶情且小詩 / 도정차소시 정 빚어 한편의 시를 짓는다 더운 여름, 닫힌 방안이 푹푹 찐다. 한..

시대는 영웅을 낳는다.

역사를 보면 동서 고금(東西古今)을 막론하고 구국자(求國者), 또는 정복자로 영웅호글 들이 명멸(明滅)해 갔지만 그 중에서도 역사에 가장 남는 사람들은 역시, 당시의 시대정신에 충실한 리더 들이다. 그럼 오늘날 우리시대가 가장 갈망하는 시대정신은 무엇일까? 그것은 각계 각층의 분열과 갈등을 봉합하고 치유해서 화합과 통합의 시대를 열수있는 지도력과 사회적 소외계층 및 경쟁사회서 탈락한 자들을 포용해서 함께 갈수있는 그러한 리더가요구 되는 시대정신 아닐까!? 그럼 이같은 시대정신에 적합한 인물은 없는것일까!? 이재훈

■ 기타/칼 럼 2007.01.21

화엄사상과 체원대사(體元大師).

■ 체원(體元)과 화엄사상 2003년7월 도서출판 푸른 역사에서 발간한 지영재 지음 서정록(西征錄)을 찾아서 20페이지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사서는 익재 이재현과 충선왕 두 사람의 만남에 대해 정확히 전 하는바가 없다. 익재의 아버지 이진(李瑱)과 장인 권보(權溥)가 충선왕의 개혁정치에 동참하였으니, 이로인해 일찍부터 신임을 받았으리라 추측할수 있다. 그리고 이씨족보에는 삼형제만 등재되어 있지만 익재에게는 법명을 체원(體元) 이라고 한 중형이 있었다. 체원은 젊은 나이에 출가하여 충선왕의 지우(知遇)를 받아 승직이 오르고 명찰에 제수 받았으나, 부모가 늙어 그 좌우를 떠나지 아니 하였다. 이 체원이 충선왕에게 익재를 추천하였을지도 모른다. ●고려후기 화엄사상(華嚴思想)에 관한 사전에 이른 기록이 ..

안성 전주이씨 이해룡 고가(安城 李海龍 古家)

■ 안성 이해룡 고가(安城 李海龍 古家) ↑상량문에 의하면 이 건물은 1797년(정조 21)에 신축되어 2000년에 허물어져 없어졌다. ↑중수하기전의 옛건물 ↑2006년 11월에 위의 건물을 다시 복원했다. [명칭] 이해룡고가 (李海龍古家) [지정종목]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3호 [지정일] 1985년 -9월 20일 [수량] 1동 [소재지]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78번지 [시대] 조선 [종류/분류] 가옥(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78번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전통가옥) --------------------------------------------------------------------------------------------------------------------------------- ..

과전이하(瓜田李下)

■ 과전이하(瓜田李下) 瓜(오이과), 田(밭전), 李(오얏나무 이), 下(아래하)자로, 오이 밭에서 신을 고쳐 신지 말고, 오얏나무 아래서 갓을 고쳐 쓰지 말라는 뜻으로, 의심받을 짓은 처음부터 하지 말라는 말이다. 전국시대의 주(周)나라 열왕(烈王) 6년(B.C 370), 제(齊)나라 위 왕(威王)때의 일이다. 위 왕이 즉위한지 9년이나 되었지만 간신 주파호(周破湖)가 국정을 제 멋대로 휘둘러 왔던 탓에 나라꼴이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어지러웠다. 그래서 이를 보지 못한 후궁 우희(虞姬)가 위 왕에게 아뢰었다. "전하, 주파호는 속이 검은 사람이오니 그를 내치시고 북곽(北郭) 선생과 같은 어진선비를 등용 하시오소서" 이 사실을 알게 된 주파호는 우희와 북곽 선생은 전부터 서로 좋아하는 사이라고 우희를 모..

신수근(愼守勤, 1450~1506) 묘

■ 신수근 묘 신수근愼守勤)은 10대 연산군의 처남이자 중종의 장인으로서 본관 거창(居昌). 자는 근중(勤仲). 호는 소한당所閒堂). 시호는 신도(信度). 성종때 음보로 장령(掌令)이 되어 우부승지· 중추부첨지사 ·호조참의를 역임하고, 1495년 연산군비가 된 누이의 덕에 승지가 되었다. 같은 해 선위사(宣慰使)로서 평안도 지방을 순회하고 우승지 ·도승지 ·이조판서 등을 거쳐 우찬성(右贊成)에 올랐다가 파직되었다. 1504년 다시 돈령부첨정(敦寧府僉正)에 기용, 이듬해 우의정으로 등극사(登極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와 1506년 좌의정에 올랐다. 이때 사위인 진성대군(晉城大君 : 中宗)을 옹립하고 함께 반정(反正)을 도모하자는 박원종(朴元宗)등의 제의를 거절했다가 중종반정이 성공하자 3형제가 유자광(柳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