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886

백기(白起)와. 왕전(王翦).

■백기(白起, BC ~ 257) : 진(秦)나라 장수. 조(趙)나라와 장평에서 싸워 대승(大勝)함. ▲백기(白起, BC~257) 초상화 조(趙)나라 장수 염파(廉頗)는 백전노장(百戰老將)이라 서두르지 않고, 방비(防備)를 튼튼히 하고 진나라가 지치기만을 기다리는데 진(秦)나라 장수 백기(白起)는 군사비가 많이 들어 마냥 기다릴수만은 없다고 여겨 이간책을 쓰기로 한다. ‘염파(廉頗)는 늙고 겁이 많아 싸우려 하지 않는다. 진(秦)나라에서 두려워하는 것은 조사의아들 조괄(趙括)이다.’라는 유언비어(流言蜚語)를 퍼뜨리게 했다. 조왕은 유언비어(流言蜚語)를 믿고 조괄(趙括)을 장수로 하여 염파를 대신하게 하였다.조괄은 젊어서부터 아버지로부터 병법(兵法)을 배워 자기를 당 할 자가 없다고 여겼다. 그러나 아버지 ..

우리나라 성씨의 탄생

[성씨순위] 1.李씨, 2.崔氏 3.孫氏, 4.鄭氏, 5.裵氏, 6.薛氏, 朴氏 위 여섯 성인을 통합해 육대인 이라 칭하였습니다. 단 [朴氏]는 육 대인에 포함 되지 않습니다. ●아래 배열된 가로 순위는 성씨, 조상, 왕작를 배열 한 것입니다, ●여러분의 성씨를 처음으로 부여받은 유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배열된 여섯 분의성씨를 일커러 육대인 즉 육촌장이라 불렀다. ●육 대인과 혁 거세 박씨의 시조의 공생관계 유래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표1 신라6부장 구분(區分) 성씨(姓氏) 시조명(始祖名) 자(字) 시호(諡號) 왕작(王爵) 양산부(楊山部) 이씨(李氏) 알평(謁平) 천서(天瑞) 문선(文宣) 은렬왕(恩烈王) 고허부(高墟部) 최씨(崔氏) 소벌도리(蘇伐道理) 당운(當雲) 충선(忠宣) 문렬왕(文..

도연명(陶淵明)과. 사안(謝安).

■ 도연명[陶淵明, 365~427, 東晉 말기부터 南朝의 宋때의 詩人 ▲도연명(陶淵明) 초상 이름은 잠(潛).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연명(淵明)은 자이다. 도연명(陶淵明)이 10여 년에 걸친 관료생활(官僚生活)을 최종적으로 마감하고 은둔생활(隱遁生活)에 들어간 시기(時期)는 41세 때였다. 그는 팽택(彭澤) 현령(縣令)이 된지 겨우 80여 일 만에 자발적으로 퇴관(退官)했다. 퇴관의 결정적(決定的)인 동기(動機)에 관해서는 다음의 유명한 일화가 있다. 해 말에 심양군 장관의 직속인 독우(督郵:순찰관)가 순찰을 온다고 하여 밑의 관료가 "필히 의관을 정제(整齊)하고 맞이 하십시오" 하고 진언(進言하니, 도연명은 "오두미(五斗米-월급) 때문에 허리를 굽혀 향리의 소인을 섬기는 일을 할 수 있을 손가"라..

예양(豫襄)과 형가(荊軻)

■ 예양(豫襄)과 형가(荊軻) ●예양(豫襄) 선비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 죽는다. 춘추전국시대 진(晋)나라 자객(刺客)으로. 처음에는 범(范)씨를 섬기다가 중행(仲行)씨를 섬겼는데 중용(重用)되지 못했다. 뒤에 지백(智伯)을 섬겼고 지백은 예양을 총애(寵愛)했다. 지백이 조양자(趙襄子)를 치려다가 조(趙), 한(韓), 위(魏)의 연합군(聯合軍)에 패망(敗亡)하여 죽고 지백의 땅은 조(趙), 한(韓). 위(魏)가 나누어가지고 지백의 해골은 조양자(趙襄子)가 옻칠을 해 요강으로 쓴다는 것을 알고 지백의 원수를 갚으려고 항상 비수를 품고 다녔다. 조양자(趙襄子)가 궁궐로 들어가 죽일 기회를 엿보았지만 들통이 났는데 조금도 겁내는 기색이 없이 당당하게 자기의 이름과 목적을 이야기 하니까 조양자(趙襄子)가..

왕희지(王羲之) - 중국의 첫째가는 서예가

■ 왕희지(王羲之, 307~365) 중국 동진(東晉)의 낭야(瑯邪) 린이[臨沂 : 지금의 산둥 성(山東省) 린이 현(臨沂縣)] 사람으로, 자는 일소(逸少). 동진(東晉) 건국에 공을 세운 왕도(王導)의 사촌동생 왕광(王曠)의 아들이다. 그는 중국 고금(古今)의 첫째가는 서예가로서 서성(書聖)으로 존경받고 있으며, 그에 못지않은 서예가(書藝家)로 알려진 일곱 번째 아들 왕헌지(王獻之; 348~388)와 함께 ‘이왕(二王)’ 또는 ‘희헌(羲獻)’이라 불린다. 처음에 서진(西晉)의 여류 서예가인 위부인(衛夫人)의 서풍(書風)을 배웠고, 뒤에 한(漢)나라· 위(魏)나라의 비문을 연구하여 해서(楷書) ·행서(行書) ·초서(草書)의 각 서체를 완성함으로써 예술로서의 서예의 지위를 확립하였다. 그는 명문 출신이며, ..

우리겨레의 우수성[1]

東夷族의 優越性[1] 安秀吉 : 서울대학교 名譽敎授 新疆省(신강성)의 首都 우루무치에서 北京까지의 비행시간 3시간 반 중에서 2시간 45분이란 긴 시간을 비행기는 沙漠(사막) 위를 날라야 한다. 黃河(황하)가 두 번 연달아 90도를 휘어 '번/종(鑁)'자를 형성하는 '오르도스(Ordos)' 지역은 옛날 '周'나라 때에는 沃土였지만 지금 중국 西北편 黃河유역은 砂漠이 대부분이다. 蘭州(란주=西安의 西北편)보다 서편으로는 중국이라기보다 '西域(서역)'으로 回族(회족)과 위굴(Uighur)族이 主이고 新疆省부터는 코삭(Cossack)人들도 많다. Cossack이란 '자유인' 또는 '나라 잃은 사람'이란 뜻으로 回族과 함께 한국이나 일본의 얼굴 흰 사람들과 많이 닮아 있다. 新疆省인구의 65%를 차지한다는 Ui..

측천무후(則天武后),

■ 측천무후(則天武后, 625~705, 중국 역사상 유일한 女帝) ↑당 태종의 후궁에서 당 고종의 황후가 되어, 황제자리까지 오른 측전무후 성은 무(武), 이름[諱]은 조(曌), 시호(諡號)는 측천순성황후(則天順聖皇后)이다. 중국에서 여성으로 유일하게 황제(皇帝)가 되었던 인물로 무후(武后), 무측천(武則天), 측천후(則天后), 측천제(則天帝), 측천여제(則天女帝), 측천여황(則天女皇) 등으로도 불린다. 측천무후(則天武后)라는 호칭은 당(唐) 고종(高宗)의 황후(皇后)로서의 지위를 나타내지만, 690년 당(唐)의 국호를 주(周)로 고치고 스스로 황제가 되어 15년 동안 중국을 통치하였던 사실에 비추어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때문에 중국에서는 ‘무측천(武則天)’이라는 호칭이 더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당태종(唐太宗)과. 위징(魏徵). 방현령(房玄齡)

■ 당태종「598∼649(재위 626∼649) 唐의 2대 皇帝」 ↑당 태종 이세민(唐太宗 李世民). 이름은 이세민(李世民). 서량(西凉: 五胡十六國의 하나)의 군주 이호(李暠)의 자손이라는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아 가계가 분명하지 않다. 아버지는 이연(李淵; 당나라 초대황제 高祖), 어머니는 두씨(竇氏)이다. 총명하고 사려가 깊었으며, 무술과 병법에 능했고 동시에 결단력과 포용력까지 갖추었다. 따라서 소년시절 부터 신망을 얻고 있었다. 수(隋)나라 양제(煬帝)의 폭정으로 각처에서 반란이 일어나고 국가붕괴의 기색이 짙어지자 수나라를 타도하기로 마음먹고 타이위안[태원(太原] 방면의 군사령관이었던 아버지를 설득, 군사를 일으켜 장안(長安)을 점령하고 당 왕조를 수립했다. 당나라가 각처에 있는 군웅들을 평정하..

두보(杜甫)/중국 최고의 시인, 시성(詩聖)

■ 두보(杜甫), 712~770. ↑베이징 쿵먀오 전청의 두보 초상화.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少陵).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서 시성(詩聖)이라 불렸으며, 또 이백(李白)과 병칭하여 이두(李杜)라고 일컫는다. 고향은 후베이성[湖北省]의 샹양[襄陽]이지만, 허난성[河南省]의 궁현[鞏縣]에서 태어났다. 먼 조상은 진대(晉代)의 위인 두예(杜預)이고, 조부는 초당기(初唐期)의 시인 두심언(杜審言)이다. 소년시절부터 시를 잘 지었으나 과거에는 급제하지 못하였고, 각지를 방랑하여 이백(李白) ·고적(高適) 등과 알게 되었으며, 후에 장안(長安)으로 나왔으나 여전히 불우하였다. 44세에 안녹산(安祿山)의 난이 일어나 적군에게 포로가 되어 장안에 연금된 지 1년 만에 탈출, 새로 즉위한 황제 숙종(肅宗)의 행재..

이백(李白) - 중국 당대(中國唐代)의 시인

■ 이백「李白, 701~762. 중국(中國唐代)의 시인」 ↑이백(李白) 자는 태백(太白). 청련거사(靑蓮居士)라고도 한다.두보(杜甫)와 함께 중국 최고의 고전시인으로 꼽힌다. 출생지와 혈통에 관해서는 촉(蜀)의 면주(綿州:지금의 쓰촨 성[四川省] 창밍 현[彰明縣])에서 출생했다는 설이다, 5세 때 아버지와 함께 서역에서 이주해왔다는 설과, 아버지가 상인이었다는 설, 또는 서북 지방의 이민족이었다는 설 등 일정하지 않다. 경제적으로 매우 풍족한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25세경까지 일시적인 여행은 했으나 대체로 촉국에서 지낸 것으로 여겨진다. 일찍부터 독서를 좋아했고, 15세 무렵에는 시문 창작에도 높은 기량을 보였다고 한다. 이백의 현존하는 1,000여 수의 작품은 제재나 시의 형태로 보아 중국 고전시의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