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886

근대 태동(조선후기)

1. 근대 사회로의 지향 ■ 자본주의 맹아론 자본주의 맹아를 찾고자 하는 연구는 기본적으로는 민족사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새대 구분 논쟁에서 비롯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일제의 시민 사학에서 의도하였던 정체성론(停滯性論)에 대한 비판에서 제기되었다. 정체성론에서는 한국 민족사의 내적 발전을 전혀 인정하지 않고 무기력하고 퇴영적인 민족성으로 인하여 결국 나라가 망하게 되었다고 하여 일제의 침략 과정을 은폐하고자 하였다. 이에 선각자들은 그 부당성을 지적하고 한국사의 사회․경제적 측면에서의 체계적 발전 과정을 치밀하게 고증하였다. 특히 일제가, 정체되었다고 본 조선 후기 사회의 새로운 움직임을 주목, 실학으로 나타난 근대 지향적 사상과 사회․경제면에서 보인 자본주의적 생산 양식의 싹을 찾아냈다. 자본주의적..

조선시대 경상도 역편제(驛編制)와 지명.

■ 경상도 역편제(驛編制)와 현재 지명 도(道)---찰방(察訪)---소관역수(所管驛數) 1. 여기서 말하는 도(道)는 경상도 전라도 등과 같은 행정구역을 의미하는 도(道)가 아니고 우마(牛馬)와 사람들이 다니는 길도(道)자, 즉 길을 가리킨다. 2. 오늘날의 역(驛)을 조선시대에는 원(院)이라고 사용했다. 3.경상도(慶尙道)--김천도찰방(金泉道察訪)-----21 개소 金泉驛(김천역) : 김천시 남산동 (김천초교~경찰서사이) 踏溪驛(답계역) : 성주군 성주읍 학산리 답계(댁기)마을 安偃驛(안언역) : 성주군 용암면 상언리 안언마을 茂溪驛(무계역) : 고령군 성산면 무계리 무계마을 安林驛(안림역) : 고령군 쌍림면 秋豊驛(추풍역) : 충북 영동군 추풍령면 관리 (秋風) 扶桑驛(부상역) : 김천시 남면 부상리..

전국 장서는 날(장날) 일정표

경기도 지 역 장 날 명 날 짜 지 역 장 날 명 날 짜 성남시 동두천시 오산시 남양주시 | | 평택시 | | | | 이천시 파주시 | | | | | | 용인시 고양시 김포시 | | | | 안성시 | | | 모란장 동두천장 오산장 광능장 장현장 마석장 평택장 안중장 서정장 팽성장 송북장 이천장 장호원장 금촌장 문산장 봉일천장 법원장 신산장 적성장 용인장 백암장 일산장 김포장 하성장 마송장 양곡장 공도장 안성장 주례장 죽산장 4,9 5,10 3,8 4,9 2,7 3,8 5,10 1,6 2,7 3,8 4,9 2,7 4,9 1,6 4,9 2,7 3,8 5,10 5,10 5,10 1,6 3,8 2,7 4,9 3,8 1,6 3,8 2,7 3,8 5,10 가평군 | | 양주군 | | | 양평군 | | | 연천군 |..

고서(古書)에 나타난 팔도의 인물 비교.

■ 고서(古書)에 나타난 팔도의 인물 비교. 조선시대 지리학자들은 조선 팔도의 풍수지리적 해석을 하면서 땅이 인간의 심성(心性)에 미치는 영향을 논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인걸(人傑)은 지령(地靈)이라 하여 지리인성론(地理人性論)이 발달해 왔는데 학자들 사이에 상당한 의견의 일치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오랜 세월이 지난 오늘날에 그대로 수용할 성질의 것은 아니다. 농경사회에서 산업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수많은 인구이동과 지역간 교류가 활성화되고 문화공간이 확산되면서 과거와는 비교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점을 이해하고 여기서는 풍수지리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참고만 하기를 바란다. 1) 나학천(羅鶴天)의 팔도 인물평 임진왜란 때 이여송의 지리참모로 조선에 왔던 두사충(杜師忠)의 사위인 나학천(羅鶴天)은 중국 ..

신라왕릉 이야기

한반도 최초의 통일 국가, 신라! 신라는 뱃길을 통해 해상 왕국의 꿈을 실현했고, 종교를 통해 불국토의 이상을 꿈꿨으며 황금의 나라로 불릴만큼 번성한 문화와 과학을 가졌던 나라다. 박혁거세를 시작으로 마지막 경순왕에 이르기까지 한반도를 지켰던 천년왕국. 그 찬란한 역사와 문화를 꽃 피웠던 왕들의 삶과 죽음이 신라 왕릉속에서 다시 태어나고 있다. 신라는 시조인 박혁거세로부터 56대 경순왕으로 이어지는 왕조를 건설했다. 992년간 천년 왕국을 이룩한 역대 56명의 왕, 그들의 마지막이 신라의 도읍지 경주를 중심으로 한 왕릉에 묻혀있다. 동 시대를 살았던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의 왕릉이 거의 확인되지 못하거나 현존하지 않는 것에 비해 신라는56대왕 중 37왕의 능묘가 확인·추정되며 19왕의 능묘만이 밝혀지지..

朝鮮王朝 年代記

朝鮮王朝 年代記 太祖 李成桂 [1335~1408] 朝鮮의 第1代 王(在位 1392∼1398). 本貫 全州. 字 仲潔(중결). 號 松軒. 姓 李. 諱 成桂. 諡號 至仁啓運聖文(지인계운성문) 神武大王. 咸鏡道 永興 出生. 卽位 後 諱를 旦(단), 字를 君晉으로 고쳤다. 妃는 韓敬敏의 딸 神懿王后, 繼妃는 康允成의 딸 神德王后. 1356년(恭愍王 5) 아버지와 함께 高麗에 來附한 뒤 이듬해 柳仁雨가 雙城摠管府(咸南 永興)를 攻擊할 때 이에 內應하여 功을 세웠고, 後에 아버지의 벼슬을 이어받아 金吾衛上將軍 ·東北面上萬戶가 되었다. 1361년 叛亂을 일으킨 禿魯江萬戶(독로강만호) 朴儀를 討伐하였으며, 같은 해 紅巾賊의 侵入으로 開京이 陷落되자, 다음해 私兵 2,000명을 거느리고 首都 奪還戰에 參加하여 제1着으로..

일본 이소노카미신궁에 보존된 “칠지도(七支刀)”

[홍윤기의 역사기행] 이소노카미신궁에 보존된 “칠지도(七支刀)” 먼 발치 매운 눈 2008.04.05. 10:47 일본속의 한류를 찾아서 백제 근초고왕이 倭 후왕에 寶刀 하사 ↑한일관계 역사에서 가장 귀중한 고고학적 유물인 “칠지도”를 보관하고 있는 석상신궁 정전과 전각 내부 모습. 현재 일본 나라현 텐리(天理)시의 이소노카미신궁(石上神宮·석상신궁)에는 ‘칠지도’(七支刀)가 보존돼 있다. 백제왕의 칼 칠지도는 한일 고대사 연구에서 가장 귀중한 고고학적 유물이다. 길이 74.9cm인 칠지도는 중심 칼날까지 합쳐 모두 일곱 갈래로, 날이 좌우 3개씩 대칭으로 엇갈려 펼쳐져 있다. 칠지도는 백제 제13대 근초고왕(近肖古王 346∼375 재위)이 서기 369년 왜 나라에 살고 있던 백제인 후왕(侯王)에게 하사한..

완적(阮籍)-중국 죽림7현(竹林七賢)의 한사람

■ 완적(阮籍, 210~263 - 중국 삼국시대 위(魏)나라의 문학가·사상가. 자(字)는 사종(嗣宗). 일찍이 보병교위(步兵校尉) 벼슬을 지내서 보통 완보병(阮步兵)이라고 불렀다. 괴짜 시인으로 죽림7현(竹林七賢)중에 가장 유명하다. 죽림7현은 3세기에 활동했던 7인의 시인과 철학자들로, 그들은 세상의 압박으로부터 도피하여 술 마시고, 시 짓는 일로 나날을 보냈다. 명문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위(魏, 220~265)의 부패한 정치로 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미친 사람 행세를 했다. 그는 시와 산문을 통해 지배층을 비판했다. 결국 조정의 압박을 받지 않는 시골에서 쾌락과 시에 묻혀 지냈다. 그는 삶에 대하여 가볍고 쾌락적인 태도를 보이기는 했으나, 그의 시는 전체적으로 음울하고 비관적이며, 어려운 시대에..

한국 반란사(펌)

■ 한국 반란사(지은이 : 박한실>>> 출판사 : 큰바위) 제1부 신라,통일신라 시대 1. 대공의 난(768년) 대공의 난은 768년(혜공왕 4년)에 대공이 대렴과 함께 일으킨 난이다. 흉년에도 나 몰라라 방탕한 왕 타도하자! 경덕왕의 맏아들인 혜공왕(신라 36대왕)은 8세때인 756년에 즉위하여 한때 태후가 섭정을 맡았다. 재위 중 천재지변이 자주 일어났으며 흉년이 심하여 민심이 흉흉하였다. 이런 와중에 여러 모반이 일어났다. 그런데도 왕은 사치와 방탕에 빠진 채 선정을 베풀지 못해 백성들로부터 많은 원성을 들었다. 자연히 정치는 문란해졌고 나라의 기강도 흐트러지게 되었다. 이때, 일길찬이라는 벼슬직에 있던 문신 대공이 768년 (해공왕 4년)에 그의 동생인 아찬 대렴과 함께 난을 일으켰다. 그는 봉기..

조선왕계표.

조선왕견표 왕명 : 왕(王) - 성(性):이(李) 27대 518년(서기1392~1910) 대 왕 명 즉위년도 직위나이 재위기간 약 사 1 태조(太祖) 1392~1398 57세~74세 6년 2개월 휘는 성계. 고려말 무신으로 왜구를 물리쳐 공을 세우고, 1388년 위화도 회군으로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왕조를 세움. 2 정종(定宗) 1398~1400 41세~63세 2년 2개월 휘는 방과. 태종의 아들. 사병을 삼군부에 편입시킴. 즉위 2년만에 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이 되었음. 3 태종(太宗) 1400~1418 33세~51세 17년 10개월 휘는 방원. 정종의 동생. 태조가 조선을 세우는데 공헌하였으며, 왕자들의 왕위 다툼(왕자의 난)에서 이겨 왕위에 오름. 여러 가지 정책으로 조선왕조의 기틀을 세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