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886

표음문자, 표의문자

■ 표음문자, 표의문자 한글은 표음문자(表音文字)로 분류되지만 그 70%는 표의문자(表意文字)인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인들이 한자의 원형이 고대 은(殷)나라에서 만든 갑골문(甲骨文)이란 사실을 처음 알게 된 때는 20세기 초였다. '맹자주소(孟子注疏)' 이루장구(離婁章句)에서 맹자는 '은(殷)나라 순임금은 동이족이다(東夷之人)'라고 말한다. 동이족의 은(殷)나라가 만든 글자가 한자(漢字)였기에 중국인들은 20세기 초까지 그 사실을 몰랐던 것이다. 동이족이 한자를 만들었기에 우리민족은 세계에서 보기 드물게 표음문자와 표의문자를 한 문장 안에 자연스레 섞어 쓸 수 있게 되었다. 한 문장 안에 표음문자와 표의문자를 섞어 쓰게 된 유래는 오래되었다. 세종 11년(1429) 편찬된농사직설(農事直說)' 서문..

탕왕(湯王)

■ 탕(湯) : 夏나라의 마지막 왕 걸(桀)을 무너뜨리고 은(殷)의 始祖가 됨. ↑은(殷)나라 탕(湯)왕 이름은 리(履), 또는 천을(天乙), 태을이다. 탕은 字이며 성탕(成湯)이라고도 한다. 사기(史記)에 의하면 설(契)의 14세손에 해당한다. 상(商)은 하(夏)의 속국(屬國)이었는데 걸(桀)왕의 학정(虐政)으로 백성들이 시달리고 있었으나 성탕(成湯)은 유덕(有德)하여 백성들이 따르고 제후(諸侯)들이 성탕(成湯)에게 복종(服從)하여 세력이 날로 증강(增强)하였다. 걸(桀)왕이 이를 눈치 채고 成湯을 하대(夏臺)에 유폐(幽閉)하여 죽이려 했으나 재화(財貨)와 교환하여 돌아올 수 가 있었다. 탕왕은 명조(鳴條)에서 제후(諸侯)들을 소집(召集)하여 하(夏)나라 정벌을 선포(宣布)하고 재상(宰相) 이윤(伊尹)..

간도협약 100년...'간도를 되찾자'

작성일 : 2009. 09. 04 간도협약 100년...'간도를 되찾자' 입력시각 : 2009-09-04 02:40 오늘은 일제와 청나라가 조선을 배제한 채 만주 일대를 중국 영토로 인정한 '간도 협약'을 맺은지 100년이 되는 날입니다. 통일 후에 대비해 이 간도 협약이 무효임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자는 운동이 전개돼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윤경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간도는 백두산 북쪽 만주지역 일대로, 현재 중국의 지린성과 하얼빈까지 포함하는 옛 고구려 영토입니다. 1771년 프랑스의 수학자 본이 제작한 지도에도 조선 영토에 간도가 들어가 있습니다. 미개척지였지만 1870년 함경도에 대 기근이 발생해 조선인들이 간도로 옮겨가 개척하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이름 석자를 새긴 말뚝을 박아 자신의 땅임을 표..

고구려 第二代 광명대제기(光明大帝記)

■고구려 第二代 광명대제기(光明大帝記) 남당유고/고구려 사초. 고구려 사락 화랑세기 필사본으로 알려진 남당 박창화(南堂 朴昌和.1889~1962)가 남긴 30여권의 문집으로, , 등 역사서의 형식을 띄고 있는 것도 있으나 나머지는 한문 소설이다. , 등은 대한민국 에서 마지막으로 쓰인 한문소설이다. 사료적 가치가 있다 없다 역사학계에서는 말도 많다. ●元年 壬寅, 九月, 葬先帝于, 以遺命禁殉. 妃生子. 以后爲太后. 十二月, . , .. 광명 대제의 원년은 임인 년(BC19)이다. 9월, 선제(추모왕)를 용산(龍山)에 장사하고, 선제의 유명으로 순사(殉死=순장)를 금했다. 비가 아들 을 낳았다. 후를 태후로 올렸다. 12월, 를 황룡왕(黃龍王), 를 비리왕(卑離王)으로 삼았다. 이때 태후 39세, 광명대제..

청와대 본관[靑瓦臺本館 / 영문명 : Main Office of Cheong Wa Dae]

청와대 본관[靑瓦臺本館 / 영문명 : Main Office of Cheong Wa Dae] ↑사진>청와대 홈페이지 ↑사진>청와대 홈페이지 1991년 9월 4일 청와대 내에 신축되었다. 1939년 7월 조선총독부 총독 관저로 건립된 옛 청와대본관은 1993년 8월 대통령 지시로 철거되었다. 대통령 집무실과 접견실·회의실 등을 포함하고 있는 건물이다. 외부는 전통 목조와 궁궐 건축양식을 기본으로 하여 건축되었고, 내부는 현대적인 건축양식과 시설을 갖추고 있다. 2층 본채와 좌우 별채·현관채로 구성되며, 안마당과 앞마당이 있다. 본채는 팔작지붕 건물로 청기와를 얹었다. 본관에 쓰인 청기와는 약 30만 장으로 도자기를 굽듯이 한 개씩 구워낸 것들이다. 100년 정도를 견디는 강도를 가졌다고 한다. 1층에는 대통..

일본의 항복문서

■ 일본의 항복문서 1945년 9월 2일 동경만 미국 미주리호 선상에서 일본국 외무대신 시게미츠가 서명한 일본의 항복문서입니다. 시게미쓰가 떨리는 손으로 서명한 항복문서에는 첫째. 일본군과 일본의 지배하에 있는 모든 무장 세력은 즉각 무조건 항복할 것. 둘째. 연합군 최고 사령관의 명령에 따를 것. 셋째. 일왕과 일본 정부는 포츠담 선언의 조항을 성실하게 이행할 것. 넷째. 일왕과 일본 정부의 권한은 연합국 최고사령관의 통제 아래에 둘 것 등의 내용이 명시되어 있었고 시게미쓰와 일본군을 대표한 육군 참모총장 ‘우메즈 요시지로’가 서명한 항복문서에 연합군 총사령관 자격으로 맥아더 원 수가 서명한 뒤, 미국, 중국, 영국, 소련, 호주, 캐나다, 프랑스 등 승전국 대표들이 차례로 서명합니다. ↑항복문서에 조..

자(字)와 호(號)

■ 자(字)와 호(號)에 대하여.... ● 자(字) 남자가 성인이 되었을 때 붙이는 이름. 중국에서 비롯된 풍습으로, 본명은 태어났을 때, 부모에 의해 붙여지는 것에 비하여, 자는 윗사람이 본인의 기호나 덕을 고려하여 붙이게 되며 자(字)가 생기면 본명은 주로 부모가 자식을 부를때만 사용하고 남들은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흔히 윗사람에 대하여는 자신을 본명으로 말하지만 동년배 이하의 사람에게는 자를 쓴다. 다른 사람을 부를 때도 자를 사용하나 손아래 사람인 경우, 특히 부모나 스승이 그 아들이나 제자를 부를 때는 본명을 사용한다. 《논어(論語)》에서 공자는 제자 안연(顔淵)을 회(回), 자공(子貢)을 사(賜)라 부르고 있다. 또 공자는 본명을 구(丘), 자를 중니(仲尼)라고 했는데 중(仲)은 아우라는 뜻..

청나라 연호

■청나라 연호 1. 청태조 애신각라(愛新覺羅)·누르하치(努爾哈赤) 1559-1626 년호 : 천명 11년 재위 2. 청태종 황타이치(皇太極) 1592-1643 년호:천총 10년, 숭덕 8년 3. 청세조 복림(福臨) 1638-1661 년호:순치(順治). 순치18년 4. 성조(聖祖) 현엽(玄燁) 1654-1722 년호 : 강희(康熙) 재위 61년 5. 세종(世宗) 1678-1735 년호 : 옹정(雍正) 재위 13년 6. 고종(高宗) 1711-1799 년호 : 건륭(乾隆) 재위 60年 7. 인종(仁宗)1760年-1820年 년호 : 가경(嘉慶) 재위 1796年-1820年 8. 선종(宣宗) 1782~1850 년호 : 도광(道光) 재위 1821~1850 9. 문종(文宗) 1831~1861 년호 : 함풍(咸豊) 11..

<사탁씨 백제를 주무르다>... | 백제 문화재 소식

■ 사탁씨 백제를 주무르다. 최고위직 독점에 왕비 배출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백제는 부여에서 남하한 온조가 세운 까닭에 왕은'부여씨'가 독점했지만 정작 그 나라를 주무른 것은 '사탁씨'였을까? 점점 그런 형국으로 백제사는 빨려드는 중이다.익산 미륵사 석탑을 해체하다가 발견된 백제 무왕시대 사리장엄구에 포함된 금제 사리봉안기(舍利奉安記)에 의하면, 이 절은 무왕의 왕후(王后)가 창건했으며, 그 왕후는 좌평(佐平) 사탁적덕(沙탁績德)의 딸이다. 사탁적덕에서 '사탁'은 요즘의 제갈씨(諸葛氏)나 남궁씨(南宮氏)처럼 두 글자를 사용하는 복성(復姓)이며, 적덕(績德)은 이름이다. 이런 명문이 공개되자 종래 무왕의 왕비로 알고 있던 신라 진평왕의 딸 선화공주는 어떻게 되느냐고 아쉬워하지만 선화공주를 잃는..

묘비문 쓰는법

1. 비(碑)의 정의(인터넷 검색글) 돌에 새겨서 세운 돌, 이것을 비석(碑石)이라고 한다. 이렇게 비석에 새긴 글자는 금석문의 하나로, 또는 역사적인 자료로 대단히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한나라 이전에는 자연형의 돌에 새긴 각석(刻石)이 있었으나 정방형으로 돌을 다듬어 새긴 정식의 비는 한나라 시대 묘비에서 발달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비는 글자를 돌에 그대로 새긴 갈(碣)이 있고, 일정한 형태로 돌을 다듬어 글자를 새긴 비(碑)가 있다. 비의 모양은 몸체인 사각기둥 모양의 비신(碑身)이 있고, 머리 갓 부분인 뿔 없는 용을 조각한 이수(螭首)가 있고, 비석을 기반으로 받치는 거북모양의 귀부(龜趺)가 있다. 비신의 앞, 겉면을 비양(碑陽), 뒷면을 비음(碑陰)이라고 하고, 새겨진 글을 명(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