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886

남좌여우(男左女右)인 까닭

■ 남좌여우(男左女右)인 까닭 남녀의 좌석(座席)에 있어, 남자는 좌측, 여자는 우측이다. 공손한 자세의 공수(拱手)에 있어서도 남자는 왼손을 오른손 위에 올리고, 여자는 오른손을 왼손 위에 올린다. 그리고 절을 할 때도 남자는 왼손이 위로가고,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하며, 운명을 감정하는 손금을 볼 때도 남자는 좌측 손, 여자는 우측 손바닥을 본다. 옛 부터 이러한 까닭은 아래와 같은 까닭에서 연유한다. 1), 남자는 양(陽) 이고, 여자는 음(陰) 이다. 생체적 구분을 보더래도 남자는 능동적이고, 여자는 수동적 이어서 남양(男陽), 여음(女陰)이다. 2), 생물은 밝음, 태양을 요구 한다. 동물, 식물을 가릴 것 없이 모든 생물은 밝음, 즉, 태양을 필요로 하고 즐겨 따른다. 풀이나 나뭇잎이나 줄기도 ..

주문왕 /주공(周公)/소공(召公)

■ 주문왕(周 文王) 이름)는 창(昌). 계(季)왕의 아들이다. 무왕(武王)의 아버지이고 어머니는 태임이다. 서백(西伯)이라고도 한다. 호경(鎬京)에 도읍(都邑)을 정하고 주왕(紂王)이 산동반도를 정벌하는데 여념(餘念)이 없는 틈을 타 제후(諸侯)의 지지(支持)를 받아 세력을 길렀다. 강태공(姜太公)의 도움을 받아 덕치에 힘을 썼고 은(殷)나라로부터 제후의 패자(覇者)로서 서백(西伯)의 칭호(稱號)를 사용하도록 허락받았다. 은(殷)나라와는 화평주의를 취하였으며 여러 제후들의 신뢰(信賴)를 얻어 천하의 3분지 2가 그를 따랐다. 그가 죽은 뒤 무왕이 주(周)나라를 세우고 그에게 문왕(文王)이라는 시호(諡號)를 추존(推尊)했다. ■ 주공(周公) BC 12세기>고대정치(古代 政治)와 문물제도(文物制度)를 다진..

시도유형문화재 (1501~1800)

■ 시도유형문화재 (1501~1800) 1501 시도유형문화재 165 문익점부조묘관련문서일괄 (文益漸不조廟關聯文書一括) 전남 보성군 남평문씨문중 1502 시도유형문화재 165 성주문묘명륜당 (星州文廟明倫堂) 경북 성주군 성주향교 1503 시도유형문화재 165 여택당소장문집책판 (麗澤堂所藏文集冊板) 경남 산청군 여택당 1504 시도유형문화재 166 신재한상경영정 (信齋韓尙敬影幀) 경기 남양주시 한정석 1505 시도유형문화재 166 밀천군박숭원2등공신록권 (密川君朴崇元2等功臣錄卷) 충북 청원군 박종대 1506 시도유형문화재 166 백장암보살좌상 (백장암보살좌상) 전북 남원시 백장암 주지 1507 시도유형문화재 166 고운영정 (孤雲影幀) 경북 청도군 경주최씨종중 1508 시도유형문화재 166 일두선생문집책판..

시도유형문화재 (1~900)

■ 시도유형문화재 (1~200) 1 시도유형문화재 1 장충단비 (奬忠壇碑) 서울 중구 중구 2 시도유형문화재 1 동래부사청동헌 (東萊府使廳東軒) 부산 동래구 동래구 3 시도유형문화재 1 선화당 (宣化堂) 대구 중구 중구 4 시도유형문화재 1 인천도호부청사 (仁川都護府廳舍) 인천 남구 인천광역시교육청 5 시도유형문화재 1 증심사삼층석탑 (證心寺三層石塔) 광주 동구 증심사 6 시도유형문화재 1 송자대전판 (宋子大全板) 대전 동구 송석준 7 시도유형문화재 1 울산동헌및내아 (蔚山東軒및內衙) 울산 중구 중구 8 시도유형문화재 1 수어장대 (守禦將臺) 경기 광주시 광주시 9 시도유형문화재 1 위봉문 (威鳳門) 강원 춘천시 춘천시 10 시도유형문화재 1 김시민장군전공비 (金時敏將軍戰功碑) 경남 진주시 진주시 11 ..

국보 제1호 부터 ~ 제120호 까지

■ 국보 제1호 부터 ~ 제120호 까지 [국보] 001 : 서울숭례문(서울崇禮門)--국보 1호 서울 중구(조선초) 002 : 원각사지십층석탑(圓覺寺址十層石塔)--국보2호 서울 종로구(조선초) 003 :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국보3호 서울 종로구(삼국 신라) 004 : 고달사지부도(高達寺址浮屠)--국보 4호 경기 여주군(고려초) 005 : 법주사쌍사자석등(法住寺雙獅子石燈)--국보 5호 충북 보은군(통일 신라) 006 : 중원탑평리칠층석탑(中原塔坪里七層石塔)--국보 6호 충북 충주시(통일 신라) 007 : 봉선홍경사사적갈비(奉先弘慶寺事蹟碣碑)--국보 7호 충남 천안시(고려초) 008 :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聖住寺郎慧和尙白月보光塔碑)--국보8호충남보령시(통일신라말) 009 : ..

조선백자(朝鮮白瓷)

■ 조선백자(朝鮮白瓷) ↑백자 국화무늬 주병,/시대 : 조선19세기, /높이 : 32cm ↑國寶 제93호 백자철화포도문호(白磁鐵畵葡萄文壺) [시대] 조선시대 [문화재지정일] 1962. 12. 20 [소정처]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소유자 및 관리자] 국립중앙박물관 유백색(乳白色)의 온아(溫雅)한 유약(釉藥) 밑에 철채(鐵彩)로 포도덩굴을 매우 활발하고 세련된 솜씨로 그려 놓았다. 포도덩굴의 잎과 줄기의 생생한 붓끝의 놀림, 포도덩굴에서 희롱하는 원숭이의 표현 등이 예사로운 솜씨가 아니다. 철화사기(鐵畵沙器)는 정부의 사옹원(司甕院)이 해마다 감조관(監造官)을 임명하여, 그가 도화서(圖畵署)의 화가(畵家)들을 거느리고 분원(分院)(사옹원(司甕院)의 분원이라는 뜻)에 나가서 어용사기(御用沙..

국보도자기 감상(國寶陶磁器 感想)

국보도자기(國寶陶磁器) ↑國寶 제60호 청자사자유개향로(靑磁獅子유蓋香爐) ◇시대 : 고려시대 ◇문화재지정일 : 1962. 12. 20 ◇소재지 :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소유자및관리자 : 국립중앙박물관 고려 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청자향로로, 높이 21.2㎝, 지름 16.3㎝이다. 향을 피우는 부분인 몸체와 사자 모양의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는 3개의 짐승모양을 한 다리가 떠받치고 있는데, 전면에 구름무늬가 가늘게 새겨져 있다. 몸체 윗면 가장자리에도 세 곳에 구름무늬를 배치하였다. 뚜껑은 대좌에 앉아있는 사자모양을 하고 있으며, 대좌에는 꽃무늬를 새겨 넣었다. 사자의 자세는 뚜껑의 왼쪽에 치우쳐 있어 시각적인 변화에서 오는 조형효과를 노린 것으로 해석된다. 사자는 ..

조선시대 붕당의 요체

■ 조선시대 붕당의 요체 ◈동인 : 김효원金孝元, 1542년 ~ 1590년)지지. 이황과 조식, 서경덕의 학문을 계승한 다수 신진세력들이 참여한,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의 영남학파 ◈서인 : 심의겸(沈義謙, 1535년 ~ 1587년)을 옹호, 처음엔 그 세가 약했으나 이황과 학문적 대립의 위치에 있었던 이이의 가담으로 그 세가 점차 커짐(율곡과 성혼의 기호학파) ◈북인 : 남명학파 주류. 급진파. 실리적 중립외교지지. ◈남인 : 퇴계학파 주류. 온건파. 대의명분 중시. ◈노론 : 이이학파.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노장파(성리학 고집) ◈소론 : 성혼학파. 한태동을 중심으로 하는 소장파(기존 성리학에 양명학, 노장사상 등을 융통성있게 수용) ◈벽파 : 노론중심. 사도세자에 대한 영조처분은 당연하다는 입장 ..

청와대 경내의 통일신라 석조여래좌불상.

■ 통일신라시대(8세기)의 석조여래불상 ↑청와대 대통령 관저 뒤쪽에 높이 1m의 석조 불상이 있다.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24호이지만 청와대 경내에 있어 접근이 어려운 탓인지 서울시문화재의 홈페이지에는 소재지를 「국립중앙박물관」으로 기록하고 있다. 원래 석조여래좌상은 경주 남산의 옛 절터에서 발견된 8세기경의 통일신라시대 불상이다. 석굴암 본존불과 크기만 다를 뿐 똑같다. 일명「미남불」로도 불린다. 불상은 일제 강점기인 1927년 총독부 관저가 신축되면서 당시 경무대(오늘날 청와대) 터로 옮겨졌다. 일본 총독인 데라우치가 조선 문화재에 관심이 높다는 사실을 안 경주금융조합 이사 오히라가 자신의 집 정원에 뒀던 불상을 총독 관저로 가져갔다. 일본 총독의 점유물이 된 것이다. 서울시는 1974년 1월 유형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