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886

잉카제국인들의 삶

잉카인들의 삶! 북미 인디언, 잉카, 아즈텍 문명의 주역들은 한국인들과 4~6촌의 유전자 지도를 갖고 있다. 고고학자들에 의하면 12,000년 전에서 8,000년 전까지 현 북만주에서 베링해를 거쳐 북미 남미로 남하했다 고 합니다. 그들의 일일 남하속도가 80km나 된다고 합니다. 페루의 깊은 산 속에는 ‘마추픽츄라’라는 고대 도시가 있습니다 수 백 년 전 잉카인들이 산 위에 거대한 도시를 짓기 시작했죠! 잉카제국은 400년[16세기 초] 전 멸망했습니다. 사람들은 하나 둘 마츄픽츄를 떠나기 시작했고. 그리고 서서히 ‘마츄픽추’는 수풀로 덮이기 시작했습니다. 수 세기 후 1911년에 미국인 탐험가가 잊혀진 도시 마츄픽츄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지금 마츄픽츄는 남미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가 되었고, 다..

구양수 (歐陽脩, 1007~1072)

■ 구양수(歐陽脩, 1007~1072) ↑구양수(歐陽脩) 畫像 중국 송나라의 정치가 겸 문인. 자(字)는 영숙(永叔), 호(號)는 취옹(醉翁), 시호(諡號)는 문충(文忠)으로, 그는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4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문구(文具) 살 돈이 없어서 어머니가 모래 위에 갈대로 글씨를 써서 가르쳤다고 한다. 10세 때 당나라 한유(韓愈)의 전집을 읽은 것이 문학의 길로 들어선 계기가 되었다. 1030년 진사가 되었으며, 한림원학사(翰林院學士)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의 관직을 거쳐 태자소사(太子少師)가 되었다. 인종(仁宗)과 영종(英宗) 때 범중엄(范仲淹)을 중심으로 한 새 관료 파에 속하여 활약하였으나, 신종(神宗) 때 동향후배인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관직에서 물러났다. 송..

주여왕(周厲王)과 주유왕(周幽王)

↑주여왕(周厲王) 언로(言路)를 봉쇄(封鎖)하고, 충언(忠言)하는 신하는 무조건 내 치자, 폭정(暴政)에 참다못한 신하들의 반정(反政)으로 체(彘) 땅으로 도주하여 주나라가 14년을 공화(왕의 자리가 비어있어 대신들이 정사를 대신함) 상태가 되어, 주나라를 몰락(沒落)하게한 근원(根源)이 되었다. -------------------------------------------------------------------------------------------------------------------------------------- ■ 주유왕(周幽王) (BC 777년경) ↑주유왕(周幽王) (BC 777년경) 주(周)나라 제12대왕으로 포사(褒似)를 총애(寵愛)하여 서주(西周)를 망(亡)하게한 임금이다...

신한촌(新韓村)

우리선조들의 한과 독립정신이 깃든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촌. ↑옛 신한촌 마을의 전경이다. 지금은 아파트 단지로 병해있다. 일제 당시 극동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우리 한인들이 집단으로 거주 했던 이곳 한인촌은 당시 국내외를 막론하고, 독립운동이 가장 치열하게 펼쳐졌던 역사의 현장으로서, 보재(溥齋) 이상설(李相卨)선생,성재(誠 齋) 이동휘(李東輝)선생을 비롯하여,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위암(韋庵) 장지연(張志淵), 최재형(崔才 亨), 이종호(李鍾浩), 장도빈(張道斌-단국대학교설립자),등 기라성 같은 애국지사들이 이 마을을 근거지로 활동했다. ↑1920년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 전경(수원대 박환교수 제공) 신한촌은 지난 1911년 러시아 당국이 블라디보스토크항 인근 해안가(오늘날 지명 :..

김종직이 죽은 뒤에 온 무오사화

■ 점필재 김종직이 죽은 뒤에 온 무오사화 성종 20년(1489) 봄 김종직은 형조판서에 올랐다. 비록 육조 중에서는 서열이 낮다고 하지만, 세조 공신의 후예나 성종 즉위에 공을 세웠다는 좌리공신(佐理功臣), 왕실의 친인척이 판서 이상 고위직을 거의 독차지하던 상황에서 쉽게 넘볼 수 없는 자리였다. 이때 정국은 가파르게 돌아갔다. 정책의결 및 집행을 담당하는 의정부와 육조의 대신세력과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등 삼사(三司) 중심의 언관 세력이 첨예하게 대립한 것이다. 훈구대신과 신진사림의 격돌이었다. 성종도 무척 걱정하였다. "두 호랑이가 싸우는 형국이니 실로 좋지 못하다." 김종직은 노쇠하기도 하였지만,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긴박감을 견딜 수 없었다. 결국 얼마 후 사임하고 밀양으로 내려갔다...

‘사문난적’ 이 될지라도…

■ ‘사문난적(斯文亂賊)’ 이 될지라도… [한겨레21] 송시열의 숙적 백호 윤휴 ①…주자학 유일사상 체제에 반기 든 학자… 조선의 위기에 대한 복고적 해법에 반대하여 다원 사상 체제를 주창 ▣ 이덕일 역사평론가 양란(兩亂·임진왜란, 병자호란)은 조선 사회체제의 파탄을 의미했다. 더 정확히는 양반 사대부 지배체제의 파탄을 의미했다. 지배층의 무능을 여실히 목도한 피지배층들은 체제 변화를 요구했다. 체제 변화 요구는 두 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하나는 주자학(성리학) 유일사상 체제의 폐기이고 다른 하나는 신분제의 완화이다. 이런 요구에 대해 사대부 계급은 두 방향으로 나뉘었다. 서인 영수 송시열(宋時烈)로 대표되는 한 세력은 주자학 유일사상 체제와 신분제를 강화하는 복고적 노선을 걸었다. 조선 성리학의 주류..

삼황오제(三皇五帝)

■삼황오제(三皇五帝) 중국 고대의 전설적 제왕을 말하며, 이들로부터 중국의 역사가 시작되었다는 설화속의 인물들이다. 사기(史記)에 따라 삼황오제의 이름이 조금씩 다르다. 3황(三皇)은 일반적으로 복희씨(伏羲氏) ·신농씨(神農氏) ·여와씨(女媧氏)를 말하며 천황(天皇) ·지황(地皇) ·인황(人皇 또는 泰皇)으로 기록하기도 한다. 또한 삼황 가운데 여신인 여와씨 대신 수인씨(燧人氏)와 축융씨(祝融氏)라는 이름으로 기록된 경우도 있다. 복희씨는 사람들에게 물고기 잡는 법을 전수해 주었으며, 신농씨는 농사법을 전해주었다. 여와씨는 인간을 창조하였다고 한다. 사마 천(司馬遷)은 3황의 전설을 믿을 수 없는 것으로 생각했는지, 《사기(史記)》의 기술을 오제본기(五帝本紀)에서 부터 시작한다. 사마 천이 5제로 든 것..

이경선(李慶善)등에게 표창하게 하다

仁祖 34卷, 15年(1637 丁丑 / 명 숭정(崇禎) 10年) 5月 26日(癸巳) 1번째기사 ■ 비국의 건의로 좌영장 최진립 등에게 표창하게 하다. 비국이 아뢰기를, “정세규(鄭世規)가 험천(險川)에서 전투를 치룰 때 좌영장 최진립(崔震立), 우영장 심일민(沈逸民), 별장 황박(黃珀), 중군 이건(李楗), 참모관 이경선(李慶善), 방량차사원(放粮差使員) 이상재(李尙載), 군기차사원 김홍익(金弘翼), 심약(審藥) 이시량(李時亮)을 대동하고 갔는데, 심일민은 힘껏 싸우다 화살에 맞아 죽을 뻔하여 벗어났고, 최진립 이하는 모두 진중에서 죽었습니다. 해조에게 표창하고 증직하게 하고 심일민은 관직을 상으로 주게 하소서.”하니, 상이 따랐다. ---------------------------------------..

백이(伯夷)와 숙제(叔齊)형제

■ 백이(伯夷)와 숙제(叔齊)/BC1100년경 ↑백이(伯夷)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는 상나라 말기의 형제로, 끝까지 군주에 대한 충성을 지킨 의인으로 알려져 있다. 백이와 숙제에 관한 이야기는 《사기》의 열전에 나온다. 백이와 숙제는 원래 서쪽 변방에 살던 형제로, 변방의 작은 영지인 고죽군의 후계자였다. 고죽군의 영주인 아버지가 죽자, 이 둘은 서로에게 자리를 양보하며 끝까지 영주의 자리에 나서지 않으려 했다. 이때 상나라의 서쪽에는 훗날 서주 문왕이 되는 희창이 작은 영주들을 책임지는 서백의 자리에 있었다. 희창이 죽고 그의 아들 희발(서주 무왕)은, 군대를 모아 상나라에 반역하려 했다. 희발의 부하 강태공은 뜻을 같이하는 제후들을 모아 전쟁 준비를 시작했다. 이때 백이와 숙제는 무왕을 찾아와 다..

안중근 의사 가계도의 빛과 그림자

국가보훈처의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을 보면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라는 최고 훈장을 받은 안중근을 비롯해 동생 정근·공근 등 안 의사 가문의 인물 11명이 명단에 올라있다. 특정가문의 사람들이 독립운동에 뛰어든 사례는 없지 않으나 10명이 넘는 유공자를 배출한 것은 안 의사 가문이 유일하다. 안 의사 가문은 모두 합하면 40여명이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그러나 안중근 의사 순국 뒤 이산과 유랑을 거듭했던 가족들의 행적을 보면 빛과 어둠이 극명하게 엇갈린다. 안 의사의 아들 준생 처럼 민족반역자로 지탄의 대상이 된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안 의사 남동생인 정근(1885~1949)과 공근(1889~1940?)은 독립운동에 앞장섰다. 정근은 1920년 청산리 전투에 참여했고, 상하이 임시정부에서 내무차장과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