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886

금관의 장식품은 무엇을 뜻할까?

금관의 장식품은 무엇을 뜻할까? 금관을 비롯한 황금유물이 집중적으로 출토된 곳은 신라 1000년 역사 중에서도 김알지의 후예들인 김씨 마립간들이 통치하던 5~6세기의 적석목곽분이다. 형태는 크게 외관과 내관으로 구분하는데, 외관은 신비로울만치 화려하다. 한자 ‘산’(山)자(‘出’자라고도 함) 3~4개를 위에서 아래로 붙여놓고(세움장식) 그 좌우에 사슴뿔 모양의 장식가지를 세워 ‘산’자와 함께 금관의 골격을 이룬다. 거기에 곡옥(곱은옥)이나 영락(瓔珞, 달개장식), 새의 날개 같은 장식이 달려 있어 생동감이 넘친다. 이러한 형태의 관을 수지녹각형관(樹枝角形冠)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 주변 지역에서는 유사품을 찾아볼 수 없다. 금관의 무게를 따져보면 1Kg이 넘는다. 평상시에 이런 금관을 쓰고 다닐 수 있었..

일본의 학문과 문화시초

■ 일본의 학문과 문화시초 《화한삼재도회》에 이르기를, “한 성제(漢成帝) 하평(河平) 2년(기원전 27), 왜(倭) 수인(垂仁) 3년에 신라 왕자 천일창(天日槍)이 일본에 사신으로 갔는데, 도공 행기보살(行基菩薩)이란 자가 수행하였다. 그가 사람들에게 배감(坏坩 : 기와를 굽는 가마) 만드는 법을 가르쳤다.” 하였다. 《일본서기(日本書記)》에 이르기를, “진(晉)나라 태시(太始) 7년(271), 왜 응신(應神) 2년에 백제 왕이 진손(辰孫)을 보내어 일본에 들어가 태자사(太子師)가 되었다. 그가 처음으로 서적(書籍)을 전해 주어 유풍(儒風)이 일어났다.” 하였고, 《화한삼재도회》에 이르기를, “진(晉)나라 태강(太康) 5년(284), 왜 응신 15년에 백제 사신 왕인(王仁)이 《천자문(千字文)》을 가지..

경주부윤 이계복(李繼福)이 삼국유사를 재간행하다.

500년전 경주에서 무슨일이? 경주부윤 이계복(李繼福) 생각 ↑국보 제306호인 삼국유사 올해는 신라시대의 경주에서 ‘국학’이 태동한지 1330년이 되는 역사적인 해라 얼마 전, 이 역사적 사건을 기리는 뜻 깊은 행사도 있었다. 그런데 국학 기념행사 못지않게 올해 경주는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또 하나의 중요한 학술적 사건이 있었던 해이다. 그것은 다름 아닌 500년 전(1512년12월)에 경주부윤, 이계복의 ‘삼국유사 재간행’ 사건이다. 조선 중종 7년(1512년), 경주부윤(현재 경주시장)으로 와 있던 이계복(李繼福)은 경주 관아의 작은 창고에 묻혀 있던 ‘삼국유사’의 원판본을 발견하고 ‘재간행’한 해가 바로 500년 전의 올해이다. 그 당시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고 중요시 하지 않던 ‘삼국유사[三國..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 임나일본부설은 고대 일본의 야마토 정권이 4세기 후반 한반도 가야 지방에 일본부라는 통치 기관을 설치하여 지배했다는 설이다. 이는 광개토대왕 비문의 '왜가 신묘년(辛卯年, 391년) 이래 백제와 신라를 쳐서 신민으로 삼았다'라는 기록에 근거한 것이다. 일본 학자들은 또한 《일본서기》의 '진구 황후가 369년 한반도를 정벌하고, 임나에 일본부를 설치했다가 562년 신라에 멸망당했다'라는 기록을 주장의 근거로 삼는다. 임나는 가야 연맹 혹은 금관가야를 지칭하는데, 광개토대왕비에 '임나가라(任那加羅)'라는 용어가 등장하는 것을 제외하고 한국 측 사료에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이 용어는 《일본서기》를 비롯한 일본 측 사료에서 많이 등장하는데, 《일본서기》보다 8년 먼저 편찬된 《고..

도고 헤이하치로 [동향평팔랑(東鄕平八郞)]

■ 도고 헤이하치로『동향평팔랑(東鄕平八郞)』 [국적] 일본 [출생지] 사쓰마 한[薩摩藩 : 지금의 鹿兒島] [생졸년] 1848. 1. 27~1934. 5. 30 도쿄[東京]. [직업] 일본의 해군대장 -------------------------------------------------------------------------------------------------------------------------------------- 러일전쟁에서 일본 함대를 지휘해 승리로 이끌었다. 이 싸움에서 그는 전진하는 적의 함대를 포위하는 새로운 전술을 개발했다. 1863년 사쓰마 한과 영국의 함대 사이에 일어난 사쓰에이[薩英] 전쟁에 참전했으며 보신[戊長]전쟁 때에는 함대 '가스가'[春日]의 사관으로 바쿠후..

도도 다카토라[등당고호(藤堂高虎)]

■ 도도 다카토라[등당고호(藤堂高虎)] [국적] 일본 [출생지] 오미[近江 : 지금의 시가현(滋賀縣)] [생졸년] 1556년(명종 11) ~ 1630년(인조 8) -------------------------------------------------------------------------------------------------------------------------------------- 일본의 무장(武將) 오미[近江 : 지금의 시가현(滋賀縣)] 출생.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수군장으로 출전하였다가 돌아가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로부터 오즈성[大洲城]을 받고 7만 석(石)의 영지(領地)를 봉록(封祿)받는 다이묘(諸侯)가 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수군을 이끌고 재차 ..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국적]일본 [생졸년]1534(중종 29) ~ 1582. 06. 21(선조 15) [아버지]오다 노부히데(織田信秀) [출생지]일본 오와리 구니[尾張國] [직업]무장 [관련인물]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 -------------------------------------------------------------------------------------------------------------------------------------- 일본 전국 시대의 무장. 노부히데[信秀]의 둘째아들로 아이치[愛知] 현에서 출생했다. 1549년 16세에 부친의 뒤를 이어 오와리[尾張]의 성주가 됐다. 어려서부터 천하 평정의 대지(大志)를 품고 이웃 여러 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작성일 : 2012. 08. 18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국적] 일본 [생졸년] 1536(중종 31) [생년] 1598(선조 31) [이명] 히요시(日吉) [출생지] 일본 오하리현(尼張縣) [직업] 정치가. 무장 [관련인물] 오다 노부나가(織田信川),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 -------------------------------------------------------------------------------------------------------------------------------------- 일본의 정치가, 무장. 유명(幼名)은 히요시(日吉). 성은 처음 기노시다(木下), 뒤에 하시바(羽柴), 후일 도요토미(豊臣)로 개성했다. 오하리(尼張)에서 출생. 빈농가의 출신. 표박..

중국에 대한 일본 관동군의 항복 문서

2차대전 후 중국[장개석]에 대한 일본관동군의 항복장면 사랑의 손 | 조회 27 |추천 0 | 2012.12.10. 23:10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무조건 항복에 이어 동년 9월 9일 관동군의 항복문서 조인장면 [국역] 강서(降書) (항복하는 뜻을 적어 보내는 글). 1.일본제국 및 일본제국 대본영(大本營)은 이미 유엔 최고사령관에 무조건 항복하였다. 2.유엔 최고사령관의 제1호령에서 “중화민국(동 삼성 제외) ° 대만과 월남의 북위16도 이북 지구내의 일본의 모든 육. 해. 공군 및 보조부대는 장개석위원장에게 무조건 항복한다. 3. 우리 상기 지역내의 일본 모든 육.해.공군 및 보조부대의 장령은 소속부대를 이끌고 장개석위원장에게 무조건 항 복한다. 4. 본관은 즉시 모든 제2항에 기술한 지역..

털어놓고 하는 이야기 - 李鍾贊 前 국가정보원장 (下)

■ 털어놓고 하는 이야기 - 李鍾贊 前국가정보원장(下) ◈1995년 조순 서울시장 후보에 DJ가 10억 만들어줘 ◈1996년 5월, 李康來·朴琴玉 등과 ‘동북아연구모임’이라는 위장 명칭으로 DJ대권프로젝트팀 가동 ◈ 1996년 제주도에서 DJ를 발가벗기는 비밀 워크숍 열어, DJ의 약점 중점 점검 ◈ 클린턴, DJ 당선 직후 전화 걸어 IMF협약 이행 강요. 金基桓씨 도움으로 고비 넘겨 ◈ 제16대 총선 낙선 후 만난 노무현, “박지원이하고, DJ는 나쁜 놈들” 욕해 1995년 지방선거는 내연(內燃)해 오던 김대중(DJ)씨와 이기택(李基澤) 민주당 총재 간의 갈등이 표면화되는 계기가 됐다. DJ는 조순(趙淳)씨를 서울시장, 나를 경기도 지사 후보로 내세워 수도권을 석권하려던 전략이 이 총재의 비협조로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