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한국의전통문화 65

상량문(上樑文) 쓰는법

龍 西 紀 二 ㅇ ㅇ 年 ㅇ 月 ㅇ 日 立 柱 上 樑 應 備 天 人 上 間 之 之 三 五 光 福 龜 상단의 용(龍)자는 거꾸로 씁니다. 상량문에 용(龍)과 구(龜)는 반듯이 들어가야 하는 필수적인 글자입니다. 용과 거북이는 물의 상징으로 화재(火災)를 예방하고, 물의 성서러운 용과 거북이를 통하여 액운을 예방하는데 있다고 합니다. 용(龍)자를 거꾸로 쓰는 까닭은 구(龜)자와 마주보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상여(喪輿)

■ 현종(顯宗)의 장인, 청풍부원군(淸風府院君喪輿) 김우명(金佑明) 장례(1675년)에 사용한 상여 ◇종목 : 중요민속자료 제120호 ◇명칭 : 청풍부원군상여(淸風府院君喪輿) ◇민소자요 지정등록일 : 1982. 08. 07 ◇소재지 : 강원 춘천시 석사동 27-1 국립춘천박물관 ◇소유자 : 국유 ◇관리단체 : 국립춘천박물관 ◇자료내용 청풍부원군 김우명(金佑明)의 초상때 나라에서 하사하여 사용하였던 상여(喪輿)이다. 청풍부원군은 대동법을 실시한 ‘김육’의 둘째 아들로서 본관이 청풍(淸風)이며 현종의 장인이다. 상여(喪輿)는 시신을 장지까지 운반하던 기구이다. 긴 멜대를 중심으로 한 기본 틀 위에 관을 싣는 몸체를 조성하고 맨 위에는 햇빛을 가리기 위해 밝은 천을 넓게 펼친 모습이다. 몸체에는 봉황머리와 용..

봉은사(奉恩寺)

■ 봉은사(奉恩寺) 위치 : 서울 강남구 삼성동 73번지 | TEL : 02) 511-6070 봉은사(奉恩寺)는 신라(新羅)의 고승 연회국사(緣會國師)가 원성왕 10년 서기 794년에 견성사(見性寺)란 이름으로 창건(創建)했다고 한다. 연회국사(緣會國師)에 관한 「삼국유사」기록에 의하면 신라 원성왕때의 고승으로서 영축산에 은거하며,「법화경」을 암송하며 보현행을 닦았던 승려였다고 한다. 또한 기록은 「삼국사기」권38 제7에 봉은사에 관한 기록이 있는데, 당시 성전사원에 해당하는 일곱 사찰 가운데 하나로 봉은사가 언급되고 있다. 그 일곱사찰은 사천왕사, 봉선사, 감은사, 봉덕사, 영모사, 영흥사 외 봉은사다. 성전은 왕실에서 건립한 사찰의 조성과 운영을 위해 설치한 일종의 관부로서. 일반 행정 관청과는 다른..

남좌여우(男左女右)인 까닭

■ 남좌여우(男左女右)인 까닭 남녀의 좌석(座席)에 있어, 남자는 좌측, 여자는 우측이다. 공손한 자세의 공수(拱手)에 있어서도 남자는 왼손을 오른손 위에 올리고, 여자는 오른손을 왼손 위에 올린다. 그리고 절을 할 때도 남자는 왼손이 위로가고,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하며, 운명을 감정하는 손금을 볼 때도 남자는 좌측 손, 여자는 우측 손바닥을 본다. 옛 부터 이러한 까닭은 아래와 같은 까닭에서 연유한다. 1), 남자는 양(陽) 이고, 여자는 음(陰) 이다. 생체적 구분을 보더래도 남자는 능동적이고, 여자는 수동적 이어서 남양(男陽), 여음(女陰)이다. 2), 생물은 밝음, 태양을 요구 한다. 동물, 식물을 가릴 것 없이 모든 생물은 밝음, 즉, 태양을 필요로 하고 즐겨 따른다. 풀이나 나뭇잎이나 줄기도 ..

시도유형문화재 (1501~1800)

■ 시도유형문화재 (1501~1800) 1501 시도유형문화재 165 문익점부조묘관련문서일괄 (文益漸不조廟關聯文書一括) 전남 보성군 남평문씨문중 1502 시도유형문화재 165 성주문묘명륜당 (星州文廟明倫堂) 경북 성주군 성주향교 1503 시도유형문화재 165 여택당소장문집책판 (麗澤堂所藏文集冊板) 경남 산청군 여택당 1504 시도유형문화재 166 신재한상경영정 (信齋韓尙敬影幀) 경기 남양주시 한정석 1505 시도유형문화재 166 밀천군박숭원2등공신록권 (密川君朴崇元2等功臣錄卷) 충북 청원군 박종대 1506 시도유형문화재 166 백장암보살좌상 (백장암보살좌상) 전북 남원시 백장암 주지 1507 시도유형문화재 166 고운영정 (孤雲影幀) 경북 청도군 경주최씨종중 1508 시도유형문화재 166 일두선생문집책판..

시도유형문화재 (1~900)

■ 시도유형문화재 (1~200) 1 시도유형문화재 1 장충단비 (奬忠壇碑) 서울 중구 중구 2 시도유형문화재 1 동래부사청동헌 (東萊府使廳東軒) 부산 동래구 동래구 3 시도유형문화재 1 선화당 (宣化堂) 대구 중구 중구 4 시도유형문화재 1 인천도호부청사 (仁川都護府廳舍) 인천 남구 인천광역시교육청 5 시도유형문화재 1 증심사삼층석탑 (證心寺三層石塔) 광주 동구 증심사 6 시도유형문화재 1 송자대전판 (宋子大全板) 대전 동구 송석준 7 시도유형문화재 1 울산동헌및내아 (蔚山東軒및內衙) 울산 중구 중구 8 시도유형문화재 1 수어장대 (守禦將臺) 경기 광주시 광주시 9 시도유형문화재 1 위봉문 (威鳳門) 강원 춘천시 춘천시 10 시도유형문화재 1 김시민장군전공비 (金時敏將軍戰功碑) 경남 진주시 진주시 11 ..

국보 제1호 부터 ~ 제120호 까지

■ 국보 제1호 부터 ~ 제120호 까지 [국보] 001 : 서울숭례문(서울崇禮門)--국보 1호 서울 중구(조선초) 002 : 원각사지십층석탑(圓覺寺址十層石塔)--국보2호 서울 종로구(조선초) 003 :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국보3호 서울 종로구(삼국 신라) 004 : 고달사지부도(高達寺址浮屠)--국보 4호 경기 여주군(고려초) 005 : 법주사쌍사자석등(法住寺雙獅子石燈)--국보 5호 충북 보은군(통일 신라) 006 : 중원탑평리칠층석탑(中原塔坪里七層石塔)--국보 6호 충북 충주시(통일 신라) 007 : 봉선홍경사사적갈비(奉先弘慶寺事蹟碣碑)--국보 7호 충남 천안시(고려초) 008 :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聖住寺郎慧和尙白月보光塔碑)--국보8호충남보령시(통일신라말) 009 : ..

조선백자(朝鮮白瓷)

■ 조선백자(朝鮮白瓷) ↑백자 국화무늬 주병,/시대 : 조선19세기, /높이 : 32cm ↑國寶 제93호 백자철화포도문호(白磁鐵畵葡萄文壺) [시대] 조선시대 [문화재지정일] 1962. 12. 20 [소정처]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소유자 및 관리자] 국립중앙박물관 유백색(乳白色)의 온아(溫雅)한 유약(釉藥) 밑에 철채(鐵彩)로 포도덩굴을 매우 활발하고 세련된 솜씨로 그려 놓았다. 포도덩굴의 잎과 줄기의 생생한 붓끝의 놀림, 포도덩굴에서 희롱하는 원숭이의 표현 등이 예사로운 솜씨가 아니다. 철화사기(鐵畵沙器)는 정부의 사옹원(司甕院)이 해마다 감조관(監造官)을 임명하여, 그가 도화서(圖畵署)의 화가(畵家)들을 거느리고 분원(分院)(사옹원(司甕院)의 분원이라는 뜻)에 나가서 어용사기(御用沙..

청와대 경내의 통일신라 석조여래좌불상.

■ 통일신라시대(8세기)의 석조여래불상 ↑청와대 대통령 관저 뒤쪽에 높이 1m의 석조 불상이 있다.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24호이지만 청와대 경내에 있어 접근이 어려운 탓인지 서울시문화재의 홈페이지에는 소재지를 「국립중앙박물관」으로 기록하고 있다. 원래 석조여래좌상은 경주 남산의 옛 절터에서 발견된 8세기경의 통일신라시대 불상이다. 석굴암 본존불과 크기만 다를 뿐 똑같다. 일명「미남불」로도 불린다. 불상은 일제 강점기인 1927년 총독부 관저가 신축되면서 당시 경무대(오늘날 청와대) 터로 옮겨졌다. 일본 총독인 데라우치가 조선 문화재에 관심이 높다는 사실을 안 경주금융조합 이사 오히라가 자신의 집 정원에 뒀던 불상을 총독 관저로 가져갔다. 일본 총독의 점유물이 된 것이다. 서울시는 1974년 1월 유형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