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성씨별관향

경주이씨 유례

야촌(1) 2011. 4. 29. 09:35

■경주이씨 유례(慶州李氏由來)

 

시조(始祖) 휘(諱) 알평(謁平)은 육부촌장(六部村長)의 수장(首長)으로 알천(閼川) 안상(岸上)에 화백회의(和白會議)를 소집(召集), 기원전오십칠년(紀元前五十七年) 신라(新羅) 시조(始祖) 박혁거세(朴赫居世) 거서간(居西干)을 국왕(國王)으로 익대(翊戴)한 신라(新羅開國) 원훈(元勳)이시다 .

 

신라제삼대(新羅第三代) 유리왕(儒理王) 구년(九年=西紀32年) 육부촌장(六部村長)에 각각(各各) 사성(賜姓)하였는데

첫째 알천(閼川) 양산촌장(楊山村長) 알평(謁平)에 이씨(李氏),

둘째 돌산고허촌장(突山 古墟村長) 소벌도리(蘇伐都利)에 최씨(崔氏)를,

셋째 무산대수촌장(茂山大樹村長) 구례마(俱禮馬)에 손씨(孫氏)를,

넷째 취산진지촌장((嘴山珍支村長) 지백호(智白虎)에 정씨(鄭氏)를,

다섯째 금산가리촌장(金山加利村長) 기타(祈陀)에 배씨(裵氏)를,

여섯째 명활산고야촌장(明活山高耶村長) 호진(虎珍)에 설씨(薛氏)를 사성(賜姓)하였다.

 

그 후(後) 삼십사세(三十四世)가 실전(失傳)되어 원대손(遠代孫) 신라(新羅) 소판공(蘇判公) 거명(居明)을 일세(一世)로 하여, 신라(新羅) 병부령(兵部令) 금현(金現), 고려(高麗) 삼한공신(三韓功臣) 금서(金書), 고려(高麗) 병정(兵正) 윤홍(潤弘), 고려(高麗) 정조(正朝) 승훈(承訓). 좌사간(左司諫) 주복(周福), 보조공신(補祚功臣) 칭(偁), 문하시중(門下侍中) 총섬(寵暹), 순흥부사(順興府使) 춘정(春貞), 문림랑상의원 직장(文林郞尙衣院 直長) 득견(得堅)으로, 득견(得堅=14世)이 생(生) 삼자(三子)를 두니, 장(長)에 문하평리(門下評理) 증상서좌복야(贈尙書佐僕射) 열헌공(悅軒公) 핵(翮=中興祖), 차(次)에 시랑공(侍郞公) 편(翩) , 차(次)에 판전객시사(判典客侍事) 강(康+羽=判典公派), 열헌공(悅軒公)이 장자(長子) 평리성암공(評理誠庵公) 인정(仁挺=16世), 차(次)에 동암공(東菴公)진(瑱), 차(次)에 봉익대부대제학(奉翊大夫大提學) 검교정승(檢校政丞) 송암공(松巖公) 세기(世基), 동암공(東菴公)이 생(生) 삼자(三子)를 두니, 장(長)에 이암공(怡庵公) 관(琯), 차(次)에 익재공(益齋公) 제현(齊賢), 차(次)에 호군공(護軍公) 지정(之正)이고, 송암공(松巖公) 세기(世基)가 생(生) 사자(四子)를 두니, 장(長)에 국당공(菊堂公) 천(蒨), 차(次)에 부정공(副正公) 매(邁), 차(次)에 상서공(尙書公) 과(薖), 차(次)에 사인공(舍人公) 조(蓨), 18세(世) 길상(吉祥)이 생(生 사자(四子)를 두니 장(長)에 직장공(直長公) 양오(養吾), 차(次)에 석탄공(石灘公) 존오(存吾), 차(次)에 진사공(進士公) 존중(存中), 차(次)에 교감공(校勘公) 존사(存斯), 21세(世) 월성군(月城君) 지수(之秀)등, 14개(個) 대파(大派)로 분파(分派)되어 있으나 이암공파(怡庵公派)와 호군공파(護軍公派), 직장공파(直長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는 조직활동(組織活動)의 미약(微弱)으로 현재 10개(個) 대파(大派)만 대종회활동(大宗會活動)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분적종(分籍宗)으로는 13세(世) 좌복야(左僕射) 양식(陽植)이 우계이씨(羽溪李氏), 원대(遠代)의 위(渭)는 차성이씨(車城李氏), 개(開)는 합천이씨(陜川李氏), 4세(世) 윤원(潤遠)은 가평이씨(加平李氏), 윤장(潤張)은 평창이씨(平昌李氏-고증이 확실치 않음), 6世 주좌(周佐)는 아산이씨(牙山李氏), 7세(世) 우칭(禹偁)은 재령이씨(載寧李氏), 21세(世) 지연(之衍)은 원주이씨(原州李氏), 전주이씨(全州李氏) 시조(始祖) 한(翰)도 1세(世) 소판공(蘇判公)공의 6촌(寸)이란 설이 있다.

 

유구(悠久) 이천년(二千年)간 민족사(民族史)에 많은 인재(人才)를 배출(輩出)하니 명공거경(名公巨卿) 홍유(鴻儒) 석학(碩學) 명현달사(名賢達士) 군성(群星)하니, 조국(祖國)의 창공(蒼空)에 휘황(輝煌)이 빛났도다.

 

그중 유방백세(流芳百世) 청사(靑史)에 빛난 거성(巨星)을 들면 고려(高麗) 검교정승(檢校政丞) 문정공 이진(文定公 李瑱)과 그의 아들로서 시계(詩界)의 정종(正宗)이요. 만고(萬古) 충신(忠臣)인 재상(宰相) 문충공(文忠公)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과 간관(諫官) 석탄 이존오(石灘 李存吾, 직신(直臣) 문정공 이달충(文靖公 李達衷), 정당문학(政堂文學) 문숙공 이보림(文肅公 李寶林), 조선(朝鮮)에 들어와 상국(相國)이 팔원(八員)이니 영상(領相) 문충공(文忠公)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 우상(右相) 정익공 이완(貞翼公 李浣), 좌상(左相) 충정공(忠定公) 아곡 이태좌(鵝谷 李台佐), 좌상(左相) 문익공(文翼公) 화곡 이경억(華谷 李慶億), 영상(領相) 문충공(文忠公) 운곡 이광좌(雲谷 李光佐), 영상(領相) 문충공(文忠公) 오천 이종성(梧川 李宗城), 좌상(左相) 효정공(孝貞公) 청헌 이경일(聽軒 李敬), 영상(領相) 문충공(忠文公) 귤산 이유원(橘山 李裕元)이다.

 

문형(文衡)으로 대제학(大提學)이 칠원(七員)이니, 문희공(文僖公) 송암 이세기(松巖 李世基), 문효공(文孝公) 국당 이천(菊堂 李蒨), 정순공(靖順公) 이성중(李誠中), 경절공(景節公) 이래(李來), 문충공(文忠公)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 회와공(晦窩公) 이인엽(李寅燁), 문충공(文忠公) 운곡 이광좌(雲谷 李光佐)요.

 

청백리(淸白吏)에 사원(四員)이니, 이정보(李廷俌), 이종순(李從恂), 이항복(李恒福), 이광정(李光庭)이다.

 

책훈(策勳=공신을 말함)에 십삼원(十三員)으로 찬화(贊化) 이제현(李齊賢), 익찬(翊贊) 이달혜(李達惠), 좌명(佐命) 이승상(李升商), 좌명(佐命) 이래(李來), 정난(靖難) 이흥상(李興商), 좌리(佐理) 이철견(李鐵堅), 호성(扈聖) 이사공(李士恭), 호성(扈聖) 이유정(李惟精), 평난(平亂) 호성(扈聖) 이항복(李恒福), 선무(宣武) 이정암(李廷馣), 진무(振武) 이수일(李守一), 진무(振武) 이정(李靖), 소무(昭武) 이탁남(李擢男)이다.

 

장수(將帥)에 부원수(副元帥) 충무공(忠武公) 이수일(李守一), 등단(登壇)에 상장군(上將軍) 이연손(李延孫), 좌찬성(左贊成) 이철견(李鐵堅), 훈련대장(訓練大將) 이완(李浣), 호위대장(扈衛大將) 이태좌(李台佐), 통제사(統制使) 이현직(李顯稷), 총융사(摠戎使) 이인하(李仁夏), 효의공(孝毅公) 이규철(李圭澈), 홍유(鴻儒)에 초려(草廬) 이유태(李惟泰)다.

 

근대인물(近代人物)

 

[대통령(大統領)]

이명박(李明博).

 

[부통령(副統領)]

이시영(副統領 李始榮).

 

[국회의장(國會議長)]

이만섭(李萬燮=分籍宗).

 

[국회부의장(國副議長)]

이민우(李敏雨). 이상득(李相得). 이용희(李龍熙).

 

[국가정보원장(國家情報院長)]

이종찬(李鍾贊).

 

[장관(長官)]

이종찬(李鍾贊). 이상배(李相培). 이상훈(李相薰). 이상희(李相禧). 이찬우(李燦雨). 이효계(李孝桂). 이성호(李星浩). 이상수(李相洙). 이재정(李在禎). 이영호(李永鎬). 이재창(李在昌). 이상철(李相哲). 이재오(李在五)

 

[국회의원(國會議員)]

이종찬(李鍾贊). 이상배(李相培). 이상철(李相喆). 이용범(李龍範). 이도선(李道先). 이동진(李東鎭). 이상익(李相翊). 이진우(李珍雨). 이상옥(李相玉). 이상수(李相洙). 이양희(李良熙). 이방호(李芳鎬). 이재정(李在禎). 이원형(李源炯). 이종걸(李鍾杰). 이철우(李喆雨). 이상민(李相珉). 이윤석(李潤錫).등

 

[육군참모총장(陸軍參謀總長)]

대장 이종찬(大將 鍾贊). 대장 이상훈(大將 李相薰).

 

[재계]

삼성그룹 회장 이병철(三星그룹 會長 李秉喆). 태광그룹 회장 이임용(李壬龍)

 

[IOC委員]

이상백(李相佰). 이건희(李健熙=三星그룹會長)

 

[독립운동가]

광복군 정부 정통령 이상설(李相卨). 중국군 중장光復軍 中國 中將 李相定). 이회영(李會榮).

 

[시인(詩人)]

이상화(李相和).

 

[종교인]

조계종 종정 이성철(曹溪宗 宗正 李性澈).

 

시간 나는 대로 인물 추가 수록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