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전통예절 67

49제(四十九祭)에 대하여

■ 49제(四十九祭)에 대하여 유가(儒家)에서 천자(天子)는 9우제(9 X 9 = 81)를 지내고, 제후(諸侯)는 7우제(7 X 7 = 49)를 지내며, 그 밑의 계급은 5우제, 일반 선비들은 3우제(三虞祭)를 모셨습니다. 이미 춘추시대에도 참람되게 대부들이 신분을 넘어서 7우제를 모셨던 것이지요. 참고로 석가모니의 경우는 90일만에 다비식을 했습니다. 불가의 의식이라면 석가부터 7우제인 49재를 모셔야 될 것입니다. 여하튼 현대인들이 의식을 간략하다 보니 불가에서 가탁한 49재가 일반인들에게 통용되는 것 같습니다만, 불가의 의식일 뿐이며, 이러한 의식이 절대 바른 효도라고 말씀드릴 수는 없습니다. 기제사 정도만 남겨두고 관혼상제의 대부분이 이미 가정을 떠난 서글픈 현실입니다. 四十九日祭는 불가(佛家)의..

근친간의 칭호(近親間의 稱號)

■ 근친간의 칭호(近親間의稱號) 고구(姑舅) : 시어머니와 시아버지 고고(姑姑) : 시아버지의 자매 곧 고모(故母) 고자(姑子) : 고모의 아들 곧 내종(內從) 고공(姑公) : ① 시어머니와 시아버지 ② 장모와 장인 고수(姑嫂) : 시어머니와 손위 동서 고자(姑姊) : 아버지(시아버지) 손위 누님 고자매(姑姊妹) : 아버지(시아버지) 자매 고장(姑章) : 시어머니와 시아버지 고장(姑嫜) : 시어머니와 시아버지 고종(姑鍾) ; 시어머니와 시아버지 구고(舅姑) : 시아버지와 시어머니 고서(姑壻) : 고모의 남편 곧 고모부(姑母夫) 고태태(姑太太) : 백숙모(伯叔母)가 시집간 뒤의 존칭 고로표(姑老表) : 외가의 사촌의 연장자 곧 고표(姑表) 고낭(姑娘) : ① 아버지의 자매 곧 고모 ② 시집가지 않은 딸 ③..

서애 유성룡선생 불천위 제사 모습/유성룡선생 생가

■ 서애 유성룡선생 불천위 제사 모습. ↑후손들이 제사 참례를 위하여 모이고 있습니다. ↑제사에 쓰일 제물들을 정성으로 준비중이다. ↑제사에 쓰일 제물을 준비하는 중입니다. 쌓고 있는 것은 밀가루를 막걸리로 반죽해 여러번 찰 지게 만들어 준 다음 매작과처럼 잘라 준 다음 기름에 구워 내는 이름이 중계라는 음식으로 서애선생 제사에 꼭 쓰이는 음식이다. ↑생선 육류 등 제물은 대부분 날것으로 쓴다고 합니다. 단 문어는 익힌 것으로 한다내요. ↑제물을 쌓아둔 모습입니다. 생선 육류중 익힌 것은 문어뿐이라 제사가 끝나고 나면 생것으로 나누어 참례 자들이 가져가게 한다내요. ↑제물 진설이 완성된 사진입니다. 제상 면적이 쫍아서 다 올릴수 없음으로 우측 하단에 추가 진설하고 있 습니다. ↑참석자들이 서립해서 경건한..

세 와 대(世와代)

■ 세 와 대(世와代) 世와 代는 동의어로서, 족보 간행시 시조로 부터 몇 世 또는 몇 代중 어느 용어를 선택 했는가에 따라 정해진다, 족보 또는 세보(世譜)에, 시조를 1世로 시작하였으면 世를 단위로 한 것이고, 代를 사용 하였으면 대를 단위로 한 것이다. 즉 시조는 1 代이다. 世와 代는 기준이고, 世孫 또는 代孫, 世祖 도는 代祖로 나와의 관계를 밝히려면 기준 世와 代에 헤아리는 첫 번째 기준은 제외하고 祖, 孫,을 붙혀 世孫, 代孫, 世祖, 代祖로 표기하면 된다. 즉 世와 代에 1世(代) 빼고, 世孫, 代孫, 世祖, 代祖로 칭한다. ● 世와 代의 기준표 ◇世와代 = 기준의 시작인 組를 포함 나까지의 組孫을 헤아리는 단위이다. ◇世孫 = 기준이 되는 祖를 제외 하고, 後孫만을 헤아리는 祖孫간의 관계..

죽음에 대한 용어.

■ 죽음과 관련한 용어. 이번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소식과 관련하여, 사람의 죽음에 대한 단어가 너무나 많아서 한번 정리해 봅니다. ○ 절명(絶命) : 목숨이 끊어짐. 즉 죽음을 말한다. ○ 사망(死亡) : 사람이 죽었을 때 가장 흔히 쓰는 말. ○ 명목(瞑目) : 눈을 감음. 즉 죽음을 말한다. ○ 영면(永眠) : 영원히 잠들었다는 뜻으로 죽음을 높혀 부른 말. ○사거(死去) : 죽어서 세상을 떠남. ○ 서세(逝世) : "죽음'의 높임말" ○ 선종 (善終) : [카톨릭] 임종 때 성사를 받아 큰 죄가 없는 상태에서 죽는 일. ○ 기세(棄世) : 세상을 버린다는 뜻. 역시 '죽음'의 높임말. ○ 입적(入寂) : [불교] 승려가 사망했을 때 쓰는 말. ○하세(下世) : 윗사람이 죽음. ○ 소천(召天) : 개..

복제(服制)

■ 복제(服制) 복제란 가족이나 친척이 사망하였을 때 혈연의 친소(親疎)에 따라 일정 기간을 근신하고 애도를 표하는 제도를 말한다.복(服)의 제도는 첫째 참최 3년이요, 둘째는 재최 3년, 셋째는 기년(朞年)이요, 넷째는 대공 9월, 다섯째는 소공 5월이요, 시마 3월이다. ① 참최복(斬衰服) 참최 3년은 아들이 아버지를 위해서 입는 복이지만 적손(嫡孫)이 그 아버지가 죽어서 조부나 증조․고조를 위해 승중(承重)을 하는 자와 또 아버지가 적자를 위하여 입는 복이다. 그러나 3년복을 입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적손이라도 폐질이 있어서 사당에 제사 지내는 일을 하지 못할 때와 서손(庶孫)이 그 뒤를 계승할 때와 서자(庶子)로 대를 잇게 했을 때이다. 이것은 정복(正服)을 가리키고, 의복(義服)으로는 며느리가..

생활예절.

유용한 생활예절 촌수 따지는 법 예절이란 무엇인가? 호칭과 지칭 촌수 따지는 법 계촌법 관계 명칭 고금관작대조표 조선조 품계-내외별 관작명 한국은 예절의 나라 예절의 기본지식 예절과 에티켓 예절의 종류 예절의 공부와 실천 요령 호칭과 지칭 친족의 호칭 며느리와 시댁 외가의 관계 명칭 처가와 사위의 관계 사돈간의 호칭 배례법과 경례,악수 예절 예절의 방위와 상하석 공통 예절 읍례와 굴신례 절의 종류와 절하는 법 경례의 종류와 방법 악수의 방법 예절의 방위 남좌여우는 남동여서 상하석의 기준 좌석 배치의 실제 '우리'로 더불어 사는 길 위계질서 사람의 기본윤리 공손한 자세 공수하는 방법 상장례 (喪葬禮) 제례(祭禮) 문답으로 본 예절 상식 고례의 상장례 상장례의 기본정신 초종 목욕, 습, 염, 입관 상복의 제..

조(弔)와 상(傷)의 구별.

에 弔와 傷의 구별 知生者면 弔하고, 知死者면 傷이니 知生而不知死는 弔而不傷하고 知死而不知生은 傷而不弔니라. "고인은 모르지만 고인의 유가족을 알면, 조(弔)를 하고, 반대로 고인의 유가족은 모르지만 고인을 알면 상(傷)을 한다. 즉 조(弔)는 상주를 위로하는 것이고, 상(傷)은 죽은 사람을 위하여 애도하는 것이니. 죽은 사람만 알 경우에는 영위에 곡하고 재배만 할 뿐, 상주에게 위문하지 않으며, 산 사람만 알 경우에는 상주에게 위로만 할 뿐, 영위에 곡을 하거나 재배하지 않는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