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전통예절 67

친족간의 호칭과 지칭(親族間 의 互稱과 指稱 )

■ 친족간의 호칭과 지칭(親族間 의 互稱과 指稱 ) 호칭(互稱) : 상대방 면전에서 그를 부를때를 말합니다. 지칭(指稱) : 제3자에게 누구를 가리킬때를 말합니다. (예) 지칭(指稱)으로는아버지의 윗 형제분을 백부(伯父), 중부(中父), 아버지의 아래 형제를 숙부(叔父), 계부(季父)라 하고, 호칭(互稱)에서는큰아버지, 작은아버지로 불러야 합니다. 근친간(近親間)의 호칭(呼稱) 대상주체 자신이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자신을 말할 때 자신이 타인에게 대상자를 말할 때 타인이 자신에게 대상자를 말할 때 조부 (祖父) 할아버지 할아버님 祖父님(조부님) 小孫(소손) 孫不肖子 (손불초자) 祖父(조부) 王父(왕부) 老祖父(노조부) 祖父丈(조부장) 王大人(왕대인) 조모 (祖母) 할머니 할머님 祖母님(조모님) 小..

가례예절[관혼례 편]

■혼례절차 1.맞선 맞선의 장점은 상대방의 여러 조건을 이상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한편, 연애는 극히 감정적인면에 치우쳐 오류를 범하기가 쉽다. 그러나 비교적 상당 기간동안 상대방의 성격과 생활 감정을 접할 수 있으므로 인간 그 자체를 이해하는데는 많은 도움이 된다 하겠다. 사진이나 서류 등을 교환한 다음 서로의 뜻이 어긋나지 않으면, 중매자는 본이들이 만날 장소와 시간을 마련해 준다. 장소는 커피솦, 음식점 또는 중매자 자신의 집이나 요정 같은 아늑한 방을 빌려 본인들과 두 집안사람이 같이하는 것도 좋을 듯하다. 흔히 남자쪽에서 중매자의 안내를 받아 신부 보호자의 집으로 가는 경우가 많다. 가능하면 상대방이 원하지 않으면 식사 시간을 피하고, 야간의 전등불 아래 보다는 쌍방의 장. 단점을 식별할수 있는..

오복(五服)

■오복(五服) ●개요 초상을 당했을 때, 망인과의 혈연관계 원근(遠近)에 따라 다섯 가지로 구분되는 유교식 상복제도(喪服制度)를 말한다. 유교사상에서는 사람이 죽은 뒤, 그 망인(亡人)과의 친소후박(親疎厚薄)에 따라 각각 다른 기간의 다른 상복(喪服)을 착용하여 애도의 뜻을 표한다. 곧, 참최(斬衰)· 제최(齊衰)· 대공(大功)· 소공(小功)· 시마(緦麻)의 다섯 가지를 오복이라 한다. 이 오복제도에 정해진 복장은 평상의 복장과는 다르며, 일반적으로 올이 성글고, 색상은 직물의 자연색을 그대로 사용한다. 그 기원에 있어서도 인정(人情)의 발로로 애도(哀悼)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격식인 것이다. 인간의 감정은 그 내용에 따라서 자연히 밖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감정이 강하게 드러날 때는 복식(服飾)에까지 미치..

신첩, 소첩, 찬첩, 쇤네의 차이

◈신첩(臣妾) 왕비와 후궁에 한해서 임금에게 자신을 칭할 때 쓰던 말입니다. ◈소첩(小妾) 사대부가로 정실로 시집간 여자 또는 양민 신분으로 사대부가의 첩이 된 여자들이 남편에게 자신을 칭할 때요, SBS 왕과 나 에서는 자꾸 신첩과 소첩을 번갈아 쓰고 있는데 신첩은 비빈들이 지 아비인 임금 (상왕은 해당 안됨) 앞에서만 �던 말로, 대비에게는 소첩이라고 하는게 맞습니다. ◈천첩(賤妾) 천첩(賤妾)은 말 그대로 천한 첩이라는 뜻으로 여염집에서 계집종이 양반의 눈에 들어 첩이 되었을 때 자신을 칭 하는 말입니다. ◈쇤네(小人네) 쇤네(小人네)는 소인네가 줄여져서 된 말로 하인들이 상전에게 자신을 칭할 때 했던 말입니다. 가채머리를 할 때 어여머리 한가운데에 넣는 것은 솜 족두리라는 것인데요, 실제 조선시대..

한자축문(漢字祝文)의 뜻!

■ 한자 축문(祝文)의 뜻 최근엔 제사를 모실 때 "가정의례 준칙"에 따라 제사를 모시고 축문도 우리말로 작성해서 독축 합니다. ◈유(維):이어 내려오다. ◈세차(歲次):해의 차례를 말하는 것임. ◈간지(干支):천간(天干) 즉 육십갑자의 윗 단위와 지지(地支) 즉 육십갑자의 아래 단위이며, 그 해의 태세 (太歲)를 쓰는 것이다. 무자년(戊子年)이면 무(戊)가 천간(天干)이며 자(子)가 지지(地支)가 되는 것이다. ◈기월(幾月):고하는 달을 따라서 쓰며 정월(正月)이라 쓴다. ◈간지(干支):고하는 달의 초하룻날 일진(日辰)을 쓰는 것으로 정월 1일의 일진이 정해(丁亥)이면 정해(丁 亥)라 쓴다. ◈삭(朔):고하는 달의 초하루라는 뜻으로 항상 그대로 쓴다. ◈기일(幾日):해당되는 그날을 쓰는 것이며 고하는 ..

군자의 주도(君子의 酒道)

■ 군자(君子)의 주도(酒道) 1. 술은 남편에 비유되고, 술잔은 부인에 해당되므로 술잔은 남에게 돌리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장부의 자리에서 한 번 잔을 돌리는 것은 소중한 물건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에게 줄 수 있다는 뜻 이있으므로 비난 할 수는 없다. 단지 그 일을 자주 한다는 것은, 정(情)이 과(過)하여 음절(陰節)이 요동(搖動) 하는 것이라 군자(君子)는 이를 삼가야 한다. 2. 술을 마실 때는 남의 빈 잔을 먼저 채우는 것이, 인(仁)이고, 내가 먼저 잔을 받고 상대에게 술을 따른 후, 병을 상에 놓기전에 바로잡아서 상대에게 따르는 것은, 仁을 행함이 민첩한 것임으로 지극히 아름다운 것 이다. 3. 잔을 한 번에 비우는 것을 명(明)이라 하고 두 번에 비우는 것은, 주(周), 세 번 이후는 ..

궁중혼례

창경궁 궁중혼례창경궁 궁중혼례 2007년 6월 2일(토), 창경궁 통명전에서 문화재청이 영조대왕이 66세에 15세의 정순왕후를 계비로 맞이하는 가례(嘉禮) 과정이 잘 기록 되어있는《영조·정순왕후 가례도감의궤》를 바탕으로 학계 및 실무 전문가의 철저한 고증을 거쳐 재구성한 것입니다. ↑왕과 비로 선출된 신랑. 신부^^ 영조임금이 실제로 혼례를 하였던 통명전에서 실시하였습니다. ↑신랑이 참 잘 생겼습니다.^^ ↑이날 관람객들도 참 많았네요.^^ ↑신랑과 신부 나란히 서서^^너무 부럽네요.^^ ↑어가행렬입니다. ↑신랑 클로즈 업 ↑황후는 가마타고 행렬 ↑자태가 참 아름답습니다. ↑참 단아한 모습입니다.^^ 창경궁 궁중혼례 2007년 6월 2일(토), 창경궁 통명전에서 문화재청이 영조대왕이 66세에 15세의 정..

수(壽)와 향년(享年)에 대하여...

어제 시(市),의회 의장으로 봉직하는 지인의 부친께서 별세 하셨는데 신문 기사의 부고(訃告)란에 향년(享年) 80세(歲)라 했기에 아래와 같이 바로 잡고자 합니다. 70세(歲) 이상의 장수를 누렸을 때는 수(壽)라 기록하고, 70세(歲)가 못되어 별세했을 때는 향년(享年)이라고 씁니다. 그리고 20세 이전에 죽었을 때는 요(夭)나, 조요(早夭)라고 씁니다.

『창경궁 궁중혼례』 王과 妃 공개 선발

『창경궁 궁중혼례』 王과 妃 공개 선발 시민이 참여·체험할 수 있는 궁중혼례를 시행하여 궁중 문화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높이고 해외 관람객에게는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동 혼례의 주인공인 “왕과 비”를 공개 선발한다. 「창경궁 궁중혼례」는 영조대왕이 66세에 15세의 정순왕후를 계비로 맞이하는 혼례절차를 기록한 「영조·정순왕후 가례도감의궤」를..... 《영조·정순왕후 가례도감의궤》중 친영반차도(영조35, 1759) ↑ ↑ 악대와 군인들이 선도하여 영조의 가마 주변에 총·창·활을 멘 군인들이 호위하고 있으며, 그 뒤로 정순왕후가 탄 가마가 상궁·별감·시녀들의 악대와 군인들이 선도하여 영조의 가마 주변에 총·창·활을 멘 군인들이 호위하고 있으며, 그 뒤로 정순왕후가 탄 가마가 ..

12간지 해설(12干支解說)

■ 십이간지 해설(12干支解說) 고전(古典) 속에 나타나 있는 십이지(十二支)의 해설을 원전(原典)과 함께 여기 소 개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子(鼠) ◇子者, 滋也 萬物滋於下也.(史記. 律書) ◇孶萌於子(자맹어자)(漢書, 律歷志) ◇子, 孶也. 孶孶已也.(白虎通, 爵) [解] ◇子는 번식한다는 뜻이며, 만물은 아래에서 번성하는 것이다. ◇子는 부지런히 싹트는 것이다. ◇子는 부지런한 것이다. 부지런히 늘어 나는 것이다. ●丑(牛) ◇丑, 紐也. 容氣屈紐也. (釋名, 釋天) ◇丑, 紐也, 言陽氣在上未降, 萬物厄紐未敢出(史記, 律書) [解] ◇丑은 끈으로 동여매는 것이다. ◇容과 氣가 구부러지는 것을 동여매는 것이다. ◇丑은 끈으로 동여매는 것이다. ◇양의 기가 위에 있으며 내려오지 않아, 만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