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선현들의 묘. 206

국립대전현충원

▲국립 대전현충원 현충문 ▲국립 대전현충원 현충탑 ▲국가 원수 묘역에 안장된 제10대 최규하 대통령 묘. ▲최규하 전 대통령 묘역 우측에 3기의 대통령 묘역이 예비로 준비 되어 있다. ▲국가 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된 전 국무총리 김상협 묘. ▲국가 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된 민관식 묘(대한체육회장/문교부장관 역임) ▲국가 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된 전 국회의장 황낙주 묘. ▲국가 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된 오제도검사 묘. 1946년에서 50년대초 검사 재직시 반공검사로서 좌익세력 색출에 이름을 떨쳤으며, 제9대, 제11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국가 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된 손기정 전 올림픽 마라톤 선수 묘. ▲장군 제1묘역에 안장된 김창룡 묘(일제 관동군 헌병에서 대한민국 특무부장까지.....1956년 피살)..

조욱선생 묘(趙昱先生 墓)/平壤人

■ 조욱선생 묘( 양평군 향토유적 제26호) ↑소재지: 경기 양평군 용문면 덕촌리 산7번지 ↑후경 모습 ↑최근 새로 단장된 모습(2012.) 사진 출처 : 솔향 조욱(趙昱, 1498~1557) 선생의 묘는 양평군 향토유적 제26호이다. 본관은 평양(平壤)이고 자는 경양(景陽), 호는 용문(龍門)‧ 또는 보진재(葆眞齋). 아버지는 판관(判官-從五品) 조수함(趙守諴)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춘양군(春陽君) 이래(李徠)의 딸이다. 묘는 장대석의 둘레돌이 돌려져 있고, 봉분의 오른쪽에 묘갈비(墓碣碑)이 자리하고 있다. 봉분 앞 중앙에는 상석과 향로석이 비치되 있고, 좌우에 동자석, 망주석, 문인석이 각각 놓여 있다. 묘갈은 조익(趙翼)이 글을 짓고, 이건명(李健命)이 글씨를쓰고, 이징하(李徵夏)가 ..

15세기 나신걸(羅臣傑)의 한글편지

■ 15세기 나신걸(羅臣傑)의 한글편지 ↑국가기록원이 최근 복원에 성공한 대전 유성구 안정 나씨 선산의 분묘에서 발견된 한글편지. 「집에 가서 어머님이랑 애들이랑 다 반가이 보고 가고자 하다가 … 못보고 가네. 이런 민망하고 서러운 일이 어디에 있을꼬?”“분(화장품)하고 바늘 여섯을 사서 보내네. 집에 못 다녀 가니 이런 민망한 일이 어디에 있을꼬(하며) 울고 가네」 500년 전, 부인을 아꼈던 애절한 마음을 느낄 수 있는 편지가 국가기록원에 의해 복원되었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안정나씨(安定羅氏) 묘에서 미라와 함께 출토된 조선시대 부부의 애틋한 사랑을 담은 한글 편지를 복원했다. 이 편지는 대전 유성구 안정나씨 종중 분묘 이장 중 나온 것으로, 나신걸(羅臣傑 15C중반~16C전반..

전주류씨 5대 봉군 묘역 - 남양주시

남양주시 향토유적 제10호(2009. 10. 14지정) 경기도 남양주시 순화궁로 548-1(별내동 산 210-1)에 있는 전주유씨(全州柳氏) 문중묘역이다. 전주류씨 묘역 입구의 홍살문 전주류씨 묘역(全州柳氏墓域) / 남양주시 향토유적 제10호) 이 묘역은 전주류씨 오대봉군 묘역(全州柳氏 五代封君 墓域)이다. 조선 선조(宣祖) 때 영의정을 지낸 전양부원군(全陽府院君) 류영경(柳永慶, 1550~1608)과 그의 아버지인 문소전 참봉, 증영의정 전릉부원군(全陵府院君) 류의(柳儀, 1518~1576), 장자인 통진현감, 증영의정 전원군(全原君) 류열(柳悅, 1571~1612), 손자인 오위도총부도총관, 전창군(全昌君) 류정양(柳廷亮, 1591~1663)과 배위인 선조의 6녀 정휘옹주(貞徽翁主, 1593~1653..

연산군묘역(燕山君 墓域)

연산군묘역(燕山君墓域) ↑좌측이 연산군(燕山君, 1476-1506) 묘이고 우측이 왕비인 거창군부인 신씨((居昌郡夫人愼氏, 1472,~1537) 묘이다. ↑연산군 묘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77번지 사적 제362호 ▲이 묘역은 능성구씨(綾城具氏)의 선영 안에 연산군의 묘가 있다. 제일 위쪽의 곡장안에 있는묘가 연산군 부부(燕山君 夫婦) 묘이고 그 아래 태종(太宗)의 후궁 의정궁주 한양조씨(義貞宮主 漢陽趙氏) 묘이고 제일 아래쪽에는 연산군의 사위 능양위 구문경(綾陽尉 具文璟)과 딸 휘순공주(徽順公主)의 묘이다. ●연산군 묘(燕山君 墓) 연산군 묘는 조선왕조 제10대 임금이었던 연산군(燕山君, 1476-1506)과 왕비인 거창군부인 신씨(居昌郡夫人愼氏, 1472, 1537)등이 안장된 묘역이다..

민정중선생 묘(閔鼎重先生 墓)

■ 민정중(閔鼎重) [문과] 인조(仁祖) 27년(1649) 기축(己丑) 정시(庭試) 갑과(甲科) 1[장원(壯元)]위(1/7) [진사시] 인조(仁祖) 26년(1648)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식년진사 3등(三等) 1위(31/100 ----------------------------------------------------------------------------------------------------------------- 민정중[1628(인조 6)~1692(숙종 18)]은 숙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여흥, 자는 대수(大受), 호는 노봉(老峰)이다. 강원도관찰사를 지낸 민광훈(閔光勳, 1595~1659)의 아들이며 숙종(肅宗)의 계비(繼妃)인 인현왕후(仁顯王后)의 백부(伯父)이자 이조판서를 역임..

김두한 전 국회의원 묘

■ 김두한 국회의원 묘. ↑김두한 전국회의원 묘역 우측편에서 내려다 보면 가수 배호 묘가 보입니다. 그러나 다음에 다시 찾아 온다고 해 도 찾기 가 쉽지 않을듯~~ ------------------------------------------------------------------------------------------------------------------------------------- 연합뉴스 2012/03/06 11:18 송고 '장군의 아들' 김두한 전국회의원 묘 아버지 곁으로 이전 무산 (보령=연합뉴스) 이은중 기자 = '장군의 아들' 김두한의 묘를 아버지 곁으로 이전하려던 충남 보령시의 계획이 무산됐다. 6일 보령시에 따르면 김을동 국회의원이 경기도 양주시 장흥 신세계공원에 안장된 ..

심정선생 묘(沈貞先生 墓)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77호/소재지 : 서울시 강서구 방화동 855(삼정초교 정문 옆)/사진 : 개미실사랑방 ↑2017년 4월 촬영 모습/아마 멧돼지가 봉분을 회손 한듯 함 ↑ⓒ개미실사랑방(2015촬영) ●심정(沈貞) [문과] 연산군(燕山君) 8년(1502) 임술(壬戌) 알성시(謁聖試) 2등(二等) 2위 ------------------------------------------------------------------------------------------------------------------------------------ 1471년(성종 2)∼1531년(중종 26) 때인.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 아버지는 부사를 지내고 적개공신(..

둔촌 이집선생 묘(遁村李集先生墓)

■ 둔촌 이집선생 묘(遁村李集先生墓) (성남시 향토유적 제7호) ↑둔촌 이집선생 묘(遁村李集先生墓) ↑둔촌 이집선생 묘 후경(後景) ↑상단 묘역이 둔촌(遁村)선생 묘역이고, 아래는 선생의 장손으로, 지직(之直)의 장자(長子) 장손(李長孫) 묘이다. ↑광주이씨(廣州李氏)의 고당(古唐)과 재실(齋室=追慕齋) 성남시 향토유적 제7호인 성남시 하대원동 산3-1, 산7-1, 산8-1, 산18, 산3-33 일대의 광주이씨(廣州李氏) 묘역은 둔촌(遁村) 이집『李集, 1327(충숙왕 14) ~ 1387(우왕 13)』선생 이하 그의 자손들의 묘역으로, 각 인물들의 사적(史蹟)과 함께 조선 전기 묘역으로서 문화재적 가치를 지닌 성남시 지정 향토 유적 제7호이다. 묘역중 하대원동 산3-1번지에는 둔촌(遁村)선생의 아들로 포..

조견선생 묘(趙狷先生 墓)

■ 조견(趙狷) 1351년(충정왕 3)∼1425년(세종 7).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초명은 윤(胤). 호는 송산(松山). 아버지는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덕유(趙德裕)이며, 어머니는 오의(吳懿)의 딸이다. 영의정부사 조준(趙浚)의 동생이다. 유년에 출가하여 여러 절의 주지를 역임하다가 30세가 넘어 환속하고, 승직(僧職)경력으로 인하여 좌윤(左尹)에 서용되었으며, 고려 말에는 안렴사(按廉使)를 지냈다.1392년(태조 1) 상장군으로 이성계(李成桂)추대에 참여하고 개국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1394년 경상도도절제사, 1397년 지중추원사, 1400년(정종 2) 삼사우복야(三司右僕射)를 거쳐 1402년(태종 2) 도총제(都摠制) 재직중에 사은사의 명을 받았으나, 사행이 위험하다는 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