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선현들의 묘. 206

李之直先生 墓/廣州人

■ 형조참의 탄천 이지직 선생 묘 (刑曹參議 炭川 李之直先生 墓) 생몰년 : 1354(공민왕 3)~1419(세종 1) 고려 말과 조선 초의 정치적 격변기 때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백평(伯平), 호는 탄천(炭川)이다. 아버지는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이집(李集)이다. 1380년(우왕 6) 전구서승(典廐署丞)으로 과거에 2등으로 급제하고, 한림, 교리를 거쳐 관동과 호서지방의 관찰사(觀察使-從二品)를 지냈다. 1398년(태조 7) 보문각직제학(寶文閣直提學-從三品) 재임시 소도(昭悼-태조의 8남 방석의 호로, 제1차 왕자의 난을 말함)의 변란이 있자, 이를 극렬히 간하다 화를 입었다. 이때 태종 이방원(李芳遠)과 변춘정(卞春亭)이 그를 강력히 변호하여 금고(禁錮)의 처벌만 받게 되었다. 이후..

배우 박용하, 가수 김현식 묘

■ 능원묘 답사 ◇답사지 : 경기 하남/성남 권역 ◇일시 : 2012. 11. 11(일요일) ◇참가인원 : 7명 ↑아침에 집결해서 첫 답사지인 유길준선생 묘는 검단산 중턱에 있어서 초장부터 땀 좀 뺐습니다. ↑유홍선생 신도비 전경. 유홍선생 묘역은 종중의 허가가 있어야 한다고...그냥 통과... ↑구정 남재선생 아들인 남경문선생 묘역 입구 전경... 문은 닫혀 있어도. ↑남경문선생 묘역은 작은릉이라고 불릴 정도로 묘역이 큽니다. 선생의 3남은 조선 태종의 4女 정선공주와 결혼하 고... ↑성종의 서14남 양원군 이희 묘는 한 번 다녀 온 곳인데도 소재지가 산 번지로 빙글빙글 돌고... ↑양원군 묘역 뒤에는 유계문선생 묘역이 있는데, 양원군과 무슨 관계가 있는지... 확인이 요합니다. ↑이극돈의 3자인 이..

신라 제41대 헌덕왕릉(慶州 憲德王陵)

↑경주 헌덕왕릉(慶州 憲德王陵) ※(신라헌덕왕릉 →경주 헌덕왕릉)으로 명칭이 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종목] 사적 제29호 [명칭] 경주 헌덕왕릉 (慶州 憲德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수량] 및 면적 18,007㎡ [지정등록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동천동 80 [시대] 통일신라 [소유자(단체)] 국유 [관리자(관리단체)] 경주시 경주 북천가에 있는 신라 제41대 헌덕왕(재위 809∼826)의 무덤이다. 헌덕왕의 본명은 김언승이며, 조카인 애장왕을 죽이고 왕이 되었다. 재위기간 동안에 농사를 권장하고 당나라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나, 김헌창의 난과 김범문의 난이 일어나는 등 국내정세가 혼란스러웠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826년에 왕이 ..

성안공 상진 신도비(成安公 尙震 神道碑)

↑성안공 상진 묘역 (成安公 尙震 墓域) [지정번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0호 [지정연월일] 1984년 11월 3일 [시대] 조선 명종 21년(1566) [크기] 전체 높이 362㎝, 비신 높이 220㎝, 너비 106㎝, 두께 36㎝ [재료] 비신 대리석, 대좌·개석 화강암 [소유자] 학교법인 상문고등학교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산152-5 조선 16세기 전반의 명재상 성안공 상진(尙震, 1493∼1564)의 묘역과 신도비이다. 신도비에는 중종·명종 연간에 활약한 그의 행적이 잘 적혀있다. 상진의 자는 기부(起夫), 본관은 목천(木川)으로 성종 24년(1493) 6월 5일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찰방 상보(尙甫)이며, 어머니는 연안인(延安人) 박사 김휘(金徽)의 딸이다. 어려서 부모를 여..

영의정 상진 묘(領議政 尙震 墓)

■ 상진(尙震) 1493(성종 24)~1564 조선중기의 문신. 자 기부(起夫), 호 송현(松峴)·범허재(泛虛齋)·향일당(嚮日堂), 시호 성안(成安). 본관은 목천(木川)이다. 1519년(중종 14)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 사관(史官)이 되었으며, 1526년 예조좌랑 때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528년 필선(弼善)이 된 뒤 집의(執義)·응교(應敎) 등을 거쳐 1533년 대사간에 올랐다. 1535년 동부승지(同副承旨)에 이어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병조판서 등을 지내고 우찬성(右贊成)·돈령부지사(敦寧府知事)가 되었으며, 1544년 중종이 죽자 춘추관지사(春秋館知事)로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그후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 등을 지내고 우의정·좌의정을 ..

영의정 김근사 묘(領議政 金謹思 墓)

■ 영의정 김근사 묘(領議政 金謹思 墓)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703번지 지월1리 현산마을 제일 끝집에서 산길로 올라가면 상수도 시설이 있고, 조금 더 올라가면 참나무 고목이 서있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약 100m 더 올라가면 영의정 김근사 묘(領議政 金謹思 墓)에 이른다. ● 영의정 김근사(金謹思) [문과] 성종(成宗) 25년(1494) 갑인(甲寅) 별시(別試) 병과(丙科) 9위/합격연령 : [생원시] 성종(成宗) 17년(1486)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식년생원(式年生員) 2등(二等) 13위 ---------------------------------------------------------------------------------------------------------..

영의정 김전선생 묘-연안김씨

■ 조선 중종때 영의정을 지낸 충정공(忠貞公) 나헌(懶軒) 김전(金銓)의 묘. ○경기도 고양시 향토문화재 제12호이다.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흥동 122-9 나헌 김전선생 묘(懶軒 金銓先生 墓)는 고양시 원흥동 송현마을의 원흥교회 뒤편 절골 골짜기에 남향으로 위치해 있다. 상석에는 광무 10년(1906) 새로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고. 묘 앞에는 상석, 향로석, 장명등이 있으며, 좌우에는 망주석과 문인석이 각 1쌍식 배치되어있으며, 단 상석, 향로석, 문인석은 후손들이 최근에 세운것이고. 묘소의 우측 망주석 뒤편에 신도비가 있습니다. 신도비는 장방형의 화강암 비좌와, 비신, 이수로 갖추고 있는데, 전자엔「김충정공신도비(金忠貞共神道碑)」라고 새겨져있고, 비문은 영의정 신흠(申欽)이 짓고, 전서..

의안대군 영의정 이화 묘-이성계의 이복동생.

사당 : 경기도 남양주시 평내면 151번지(향토문화 유적 제4호) 묘소 : 경기도 남양주시 평내면 산97-3(곡선 850m 거리) ⓒ개미실사랑방 ■ 이화(李和) 1348년(충목왕 4)∼1408년(태종 8). 조선왕조 개국 1등공신.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이요정(二樂亭). 이성계의 이복동생이다. 이자춘(李子春)과 비첩(婢妾-여자 종으로서 첩이된 사람) 김씨 사이에 태어났다. 1388년(우왕 14) 이성계를 따라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회군공신에 봉해지고, 1392년(공양왕 4) 이방원이 정몽주를 격살하는 데 가담하였다. 그해 이성계를 추대하는 데 참여하여 개국공신 1등에 서훈되고 의안군(義安君)에 봉해졌다. 1398년(태조 7) 제1차왕자의 난에 이방원을 도운 공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1등에 서훈되고, ..

옥산 이우선생 묘(玉山李瑀先生 墓)

사진>치숙당(癡叔堂) ↑묘소 소재지 : 경북 구미시 선산읍 북산동 무래산(舞萊山) ◇시제일 : 매년 음 10. 15 ◇세거지 : 13世 李瑀 孫 =구미시 고아읍 예강리 ◇덕수이씨 13世 사진출처: 河南風水地理學會 -------------------------------------------------------------------------------------------------------------------------------------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계헌(季獻), 휘(諱)는 우(瑀). 호는 옥산(玉山), 죽와(竹窩), 기와(奇窩), 1542년(중종 37) 생하고, 1609년(광해군 1)졸하였다. 조부는 천(蕆), 외조부는 진사 신명화(申命和), 아버지는 원수(元秀), 처부는 진사 ..

목은 이색선생 묘

↑목은 이색선생 묘 ↑목은 이색묘역 뒷편에서 내려다 본 모습(묘역 하단 좌측에 보이는 건물은 문헌서원이며, 부인 묘는 서원 우 측에 위치) 고려 후기의 문인이며 학자인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1396) 선생의 묘이다. 선생은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와 함께 삼은(三隱)의 한 사람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영숙(潁叔), 호는 목은(牧隱),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문헌서원 입구에 있는 재실 ↑서원 앞에 위치한 이색선생 신도비 ↑묘역 입구에 세워진 양경공 이종선 묘갈 ↑문헌서원 좌측을 지나면 목은 묘역이 보입니다. ↑앞의 봉분은 목은의 셋째 아들인 양경공(良景公) 이종선(李種善) 묘이고, 뒤의 봉분이 이색선생 묘역입니다. ↑목은 이색선생 묘표 ↑이색선생 묘역 내 석물 모습 문헌서원 우측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