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서(書).간찰(簡札) 44

조석윤(趙錫胤) 간찰

■ 조석윤(趙錫胤) 1606년(선조 39) ~ 1655년(효종 6) 때인 조선 후기의 문신.본관은 배천(白川). 자는 윤지(胤之), 호는 낙정재(樂靜齋). 조응두(趙應斗)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충(趙冲)이고, 아버지는 대사간 조정호(趙廷虎)이다. 어머니는 군수 심은(沈訔)의 딸이다. 장유(張維)·김상헌(金尙憲)의 문인이다. 1626년(인종 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했으나 파방(罷榜)되고, 1628년 다시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시강원사서가 되었다. 이듬해조경(趙絅) 등과 함께 호당(湖堂)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한 뒤 헌납·수찬·교리 등을 지냈다. 1635년(인조 13) 감시관(監試官)이 되었으나 과장(科場) 부정사건이 일어나 한때 파직되었다가, 최명길(崔鳴吉)의 추천으로 다시 조정에 돌아왔다...

김광욱(金光煜) 간찰

■ 김광욱(金光煜) 1580년(선조 13) ~ 1656년(효종 7) 때인 조선 후기의 문신.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회이(晦而), 호는 죽소(竹所). 김생해(金生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원효(金元孝)이고, 아버지는 형조참판 김상준(金尙寯)이며, 어머니는 이천우(李天祐)의 딸이다. 1606년 진사시에 제1인으로 합격하고, 같은 해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배속되었다가 검열·대교·봉교를 거쳐, 병조좌랑·정언·부수찬 등을 역임하였다. 1611년(광해군 3) 다시 정언이 되어, 이언적(李彦迪)과 이황(李滉)의 문묘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하는 정인홍(鄭仁弘)을 탄핵하였다. 1613년 계축옥사에 아버지와 함께 연루되어 국문을 받았으나 곧 풀려났으며, 1617년 폐모논의를 위한 정청(庭請)에도 참가하..

홍담(洪曇) 선생 간찰

■ 홍담(洪曇), 1509년(중종 4) ~ 1576년(선조 9) 때인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태허(太虛). 홍귀해(洪貴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홍형(洪泂)이고, 아버지는 정랑 홍언광(洪彦光)이며, 어머니는 양윤(梁潤)의 딸이다. 영의정 홍언필(洪彦弼)의 조카이다. 1531년(중종 26) 사마시에 합격하고, 1539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정자(正字)·저작(著作)·설서(說書)·정언을 거쳐, 1546년(명종 1) 예조와 이조의 정랑, 1547년 장령·장악원첨정·응교를 역임하였다. 1548년 사간, 사복시와 사재감의 정(正), 집의가 되고 이듬해 예빈시부정·전한(典翰)을 거쳐, 1550년 직제학·동부승지, 1553년 호남관찰사, 동지중추부사, 한성부좌윤·우윤, 형조참판을 지냈다...

여이징(呂爾徵) 간찰

↑여이징(呂爾徵) 간찰 ■ 여이징(呂爾徵), 1588(선조 21)∼1656(효종 7) 때인 조선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자구(子久), 호는 동강(東江). 증 승지 여숙(呂淑)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 영의정 여순원(呂順元)이고, 아버지는 한성부우윤 여유길(呂裕吉)이다. 어머니는 신씨(愼氏)로, 현감 신준경(愼俊慶)의 딸이다. 공은 한백겸(韓百謙)의 문인으로. 1610년(광해군 2) 생원이 되고 1616년 경안도 찰방(慶安道 察訪)에 임명되었으나, 폐모 론이 일어나자 관직을 버리고 양강(楊江)에 은거하였다. 인조반정이 일어나기 며칠 전에 심명세(沈命世)가 가담할 것을 권고하였으나 사양하였는데, 반정이 성공한 뒤 인조는 여이징의 태도를 오히려 옳다고 생각하여 사포서별좌(司圃署別坐)에 임명하..

해강 김규진(海岡 金奎鎭)의 서화 감상

■ 해강 김규진(海岡 金奎鎭)의 서화 감상 김규진(金奎鎭: 1868(고종 5)∼1933)의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용삼(容三), 호는 해강(海岡)·만이천봉주인(萬二千峰主人)·무기옹(無己翁) 등 많은 별호를 썼으며, 평안남도 중화(中和)의 농가(農家)에서 태어났다. 외숙인 이희수(李喜秀)로부터 서화의 기초와 한문을 공부하다가, 18세 되던 해 중국에 건너가 8년간 수학하고 귀국하여 평양에서 조선국평양성도(朝鮮國平壤城圖)를 그렸고, 서울로 올라와 궁내부 외사과(外事課)와 예식원(禮式院) 문서 과의 관직을 얻었으며, 1901년에는 고종황제의 명으로 영친왕의 서법(書法)을 지도하는 한편 궁내부 시종(侍從)에 임명되었다. 1906년에는 일본에 건너가 사진기 조작법을 배우고 돌아와 서울에서 사진관을 개설함으로써..

참장(參將) 낙상지(駱尙志)에게 주는 글 -서애 류성룡

■ 참장(參將) 낙상지(駱尙志)에게 주는 글 -서애 류성룡 소생이 오랜 병으로 혼미해졌지만 나라를 걱정하는 생각만은 조금도 해이해 지지 않았습니다. 이 때문에 밤에 눈을 붙이지 못한 지 이미 30여 일이 되었습니다. 삼가 생각하면, 노야(老爺=중국에서 높은 벼슬아치 등 윗사람을 일컫던 존칭)께서 우리나라를 가엾게 여겨 여러 번 깨우침을 더해 주시니 듣고 보는 사람으로 누가 감동하여 눈물을 흘리지 않겠습니까. 들리는 말에 의하면, “왜놈이 부산ㆍ동래ㆍ양산 지역에 주둔해 있으면서 많은 무리를 모아 지구전을 계획하니, 쉽게 바다를 건너지 않을 것이다.” 합니다. 이런 말이 만일 사실이라면 적의 환란이 거의 그치지 않을 것입니다. 지금 비록 잠깐 물러간다 하더라도 이익 될게 없습니다. 부산ㆍ동래는 우리나라의 남..

한문의 서체 종류

■한문의 서체 종류 한문의 서체는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합니다. 전서체(篆書體) - 예서체(隸書體) - 해서체(楷書體) - 행서체(行書體) - 초서체(草書體)는 시대 순서로 나열한 것인데, 이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체는 해서체다. 흔히 보는 명조 분위기의 한문 서체가 해서체입니다. ◈고대 한자의 서체인 전서(篆書) ◈중국 한나라 때에는 예서(隸書) ◈한자의 일점·일획을 정확히 독립시켜 쓰는 해서(楷書) ◈해서를 약간 흘림글씨로 쓰는 행서(行書) ◈이들 글자의 일부 자획을 생략하여 흘림글씨로 쓰는 초서체(草書體) 등을 가리킨다.

독립운동가 이승희(李承熙) 선생 간찰

■ 독립운동가 이승희(李承熙) 선생 간찰 ↑크기> 44×30.7cm 한말 성주 출신의 성리학자 이며 독립운동가인 이승희(李承熙) 선생의 간찰 ● 이승희[李承熙. 1847(헌종 13)∼1916] 성리학자·독립운동가. 본관은 성산(星山). 일명 대하(大夏). 자는 계도(啓道), 호는 강재(剛齋)·대계(大溪)·한계(韓溪). 진상(震相)의 아들이다. 20세 전후부터 평생을 위정척사운동에 앞장서 흥선대원군에게 시국대책문을 올려 당시의 정국을 바로 잡으려고 하였다. 무분별한 개국(開國)에 대해서는 척사소를 올려 성리학적 전통사회의 질서를 옹호하였다.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곽종석(郭鍾錫) 등 문인과 함께 일제의 만행을 규탄하는 성명서를 각국 공사관에 전달하였다. 그 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을..

독립운동가 김진묵(金溱默), 홍창섭(洪昌燮), 이영(李英), 최동식(崔東植), 이동수(李東秀)선생의 간찰

한말 독립운동가(애국지사) 김진묵(金溱默), 홍창섭(洪昌燮), 이영(李英), 최동식(崔東植), 이동수(李東秀)선생 등 간찰 5점. 36×26cm 등 ① 김진묵(金溱默. 1876(고종 13)∼?) 조선말기의 의병장. 별명은 택(澤) 또는 용묵(容默). 평안북도 창성출신. 1907년 군대 해산에 격분하여 의병장 왕회종(王會鍾)과 함께 500여명의 의병을 거느리고 평강(平康)·신계(新溪)를 점령하였고, 유격전을 전개하여 금성(金城)·토산(兔山) 등지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그해 8월 11일에는 왕회종·조인환(曺仁煥)·권준(權俊) 등과 함께 1천여 명의 의병을 거느리고 경기도 파주·양주·적성 등지를 점령하는 큰 전과를 올렸다. 이때 일본이 소위 폭도대토벌작전을 전개하여 의병활동이 어렵게 되자 의병부대를 해산하였..

중국 '명필 법첩' 특별전-국립중앙박물관

■중국 '명필 법첩' 특별전-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옛 명필대가들의 글씨 탑본(搨本)전《서예의 길잡이 중국 법첩(法帖) 전시회》가 2014년 12월 16일(화)부터 2015년 3월 15일(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용산) 상설전시관에서 열립니다. 법첩(法帖)이란 옛 명필대가의 글씨를 감상하고, 임서 할 때 교본으로 쓸 수 있도록 전통 방식으로 복사한 책자(冊子) 모양의 서첩을 말합니다. 예로부터 한자문화권에서는 ‘서여기인(書如其人)’ 이라 하여 글씨는 단순한 문자가 아니라, 글을 쓴 사람의 모든 것(이를테면 그 사람의 성품, 학문적 성취, 인격적인 수양, 사물을 관조하고 사유하는 지혜등 한 개인의 인문학적 총량지수 같은 것)으로 보아왔습니다. ↑순화각첩(Model letters from Chun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