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서(書).간찰(簡札) 44

박기양 선생 간찰(朴基陽先生 簡札)

박기양선생간찰(朴基陽先生 簡札) 1856-1932 자는 範吾며 호는 石雲으로 본관은 潘南이다. 朴泰輔의 후손으로 1888년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성, 이조참의, 함경감사 등을 역임하였다. 독립협회 창립후 임원이 되었고 많은 상소를 통해 애국하고자 노력했으나 좌절되자 수원으로 낙향하기도 하였다. 행서와 묵죽에 능했고 저서로는 石雲日記등이 있다. 출품물은 선생의 연세 33세때인 1888년에 하신 간찰로 크기는 가로 39cm 세로 23cm이다. *2014년 2월 23일 11시 KBS 제1TV 진품 명품에서 이분의 호패가 출품되었었다.

代季兄與李方伯(慶億)

代季兄與李方伯(慶億)。○戊戌六月(1658년 6월) (계형을 대신해서 이경억에게 보낸 편지. 孔巖書院의 예를 들어 黃愼의 사당 滄江祠의 祠田에 대한 免稅를 청하는 내용). ------------------------------------------------------------------------------------------------------------------------------------ 秋浦黃先生廟號曰滄江祠者。在公州境西。創設僅數十年。慕先生之風者。莫不行過而瞻拜焉。祠下有田不滿二結地。自官給復。蓋亦有年矣。自徐伯一番狀啓之後。此祠遂被輕重之論。祠田給復之擧。自今年始寢不行焉。遠近錯愕。多士駭歎。其所駭歎。不必在於若干田結復與不復而已也。蓋我黃先生少受學于坡山。與金淸風,申靈川,吳楸灘諸先生。相許爲道義偲切之輔。師友淵..

答李判書錫爾[慶億]/二月

答李判書錫爾[慶億] / 二月 因村里喧傳。伏聞今日使節當回由州府。不審原隰餘暇。台體履神相萬福否。采辭事粗了。幸安微分。祗是積病澌頓。尙不敢爲歸省計。其他可知也。區區行止。乃煩鐫喩。吾人立心。自與異端自私之徒殊塗。苟非虛聲厚誣萬萬不獲已者。何苦忘其本心。而必爲此許多態色。以益譏笑於一世。亦願從者母因鄙人而並疑於先輩精義也。昏憊方甚。未由躬候館下。略申書替。 南溪先生朴文純公文正集卷第二十一>書(問答論事)/朴世采의 文集

答李方伯碧梧養久(時發) - 徐思遠

■ 答李方伯碧梧養久(時發) 昨日宋上舍學懋之見過弊廬。因渠便拜附起居之問。伏想時未及登達矣。方此懸情。忽奉盛帖。欣悉霜寒。侍奉莅况。與時均福。區區蘇倒。不可言喩也。每想治成制定。卧閣多閒。若非弄故紙一段事業。則他無吾令公足用心者。是以日望德學之盛。殆無異在己飢渴之甚也。玆承令敎曰意思乾沒。長進無期。使人不覺其發嘆也。則此雖出於君子有歿身之憂。而不自滿暇之意也。然例見朋友間石火初頭。雖旣墾良地。又落得嘉種。而緩於灌漑。怠於鋤治。因循汩溺。不知不覺魯莽拋荒。反不如稊稗之有秋。爲外人譏笑者。踵相尋也。有如吾令公美質英才。方進而未已。一時暫輟工程。萬不足奉慮矣。顧吾晩學鈍根。旣以此相終相長之地。而遽聞此消息。則豈不爲大可懼大可憂之甚哉。嘗觀抱卵之鷄。時時或未免出巢飮啄。而未及煖氣之衰歇而趁卽還抱。卒見化雛。吾人今日不遠復之美節。豈莫及於此老禽之能事乎。伏望公餘淸暇。亟親古人遺芳。或夜就短檠。..

答李伯深(思游) 書/申維翰

答李伯深(思游) 書 得君書。雖在紛忙中。輒盡意看。念及前日草堂楸陰。相對唱酬詩墨時。却似夢裏蓬萊。信後多日。春寒正峭。色憂近復如何。悶慮悶慮。人生作吏固形役。孰若此身百種辛苦。又聞靑耕舊窩。已化刦燼。自覺形骸。如一片浮雲。無心更踰八良峴。卽朝暮解此腰間物。將向何地歇休爲耶。淵明雖達士。若不能携幼入室。容膝而安。必無歸去來之興矣。看君所作賦。固奇崛如峻壑幽林。人未易窺。然所恨者精神氣色。沉欝不著。卽令愛之者無以字譽而句賞。况論不愛者乎。望君入來。日暮月出。今已四百餘日矣。造物者何意。時時與邑子課奬。輒言吾衣鉢有歸。而末由見其人可歎。不宣。只希轉憂爲懽。且祝迨氷未泮。草草。 靑泉集卷之三/禮州申維翰周伯著 [註] ◇李伯深>李思游의 자(字)이다. ◇禮州>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의 옛지명. ◇周伯>申維翰의 자(字)이다.

答 李生 宗城(壬辰)/곤륜 최창대

答 李生 宗城(壬辰) 글>곤륜 최창대(昆侖 崔昌大) 惠書云有意聖賢之學。甚盛甚盛。三代之士。無非學者。尙矣毋論。雖以近世言之。若穆陵及仁孝兩朝。朝紳章甫爲此學者猶多。不必以繩尺自律而槩之。淹通經傳及儒先之言。有行誼文識則同。然世俗或譏笑之。蓋爲此者寡而不爲者衆耳。今世名爲學問之士滋寡。譏笑者滋益多。噫。此可以觀世矣。然爲 學者苟無卓立之志。鮮不爲譏笑所動。此皆見道未明之過。而亦獨行孤立爲難爾。今吾子誠有意於是。則旣毋以近名爲行。而亦勿以避名爲心。惟以收心飭行。讀書求道。視如日用飮食。行之不已。則譏笑漸息而見道益明矣。僕少時專欲避名而務爲自修之實。自修之實。若存若亡。避名之心。卒與流俗同波。至今四十五十而無聞。悔將不可追已。故於吾子之問。輒以毋苟避名。贊其决焉。欲吾子視我爲戒耳。答人論文。亦已見本末之所在。其間不無得失。姑未暇一一評對。爲學。雖以文字爲末。讀書不可不力。勉旃勉 旃。..

與 李雲谷[李光佐]

■ 與 李雲谷[李光佐,1674(현종 15)∼1740(영조 16)] 지은이>尹東洙 撰(1674(현종 15)∼1739(영조 15). 自聞遜荒于儒鄕。瞻望不遐。慕嚮之私。有倍尋常。天時漸熱。伏惟愷悌神勞氣候萬重。外奇。不欲言。亦不欲聞。伏想素位而安。必不存隕穫之意矣。然以古人進憂退憂之心。目今時勢。不直爲一己之榮枯禍福。則其在休戚之義。亦豈可恬然而已乎。天實爲之。亦復柰何。東洙頃年慘慽以後。形存心死。已無人事。而又遭都憲叔父之喪。私心悲痛。不可形喩。自逝者言 之。乘運觀化。更無餘憾。而只是孤露鮮生。益少依仰。此爲痛苦。柰何。 출전>敬庵先生遺稿卷之五>書/尹東洙 著 ----------------------------------------------------------------------------------------------------------..

서공순(徐公淳)선생 간찰 - 보재 이상설 선생의 장인

■서공순(徐公淳) [문과] 고종(高宗) 18년(1881) 신사(辛巳) 정시(庭試) 갑과(甲科) 1[壯元]위(1/12) [진사시] 고종(高宗) 4년(186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56위(86/196)/합격연령>26세 -------------------------------------------------------------------------------------------------------------------------------------- 1842(헌종 8)∼1911. 조선 말기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자(字)는 원명(元明). 고종(高宗, 1882년 1월 13일) 때 영의정(領議政)을 역임한 서당보(徐堂輔)의 아들로 현보(玄輔)에게 입양되었다. 1881년..

李承熙 先生의 簡札.

↑크기(가로 x 세로) : 22㎝ x 28㎝ ■ 이승희(李承熙) 본관은 성산(星山)으로 1847년(헌종 13) 경북 성주에서 영남 주리론의 대통을 이은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아들로 태어났다. 대유학자인 부친의 영향으로 어려서 부터 성리학을 수학하여 영남 주리론의 대통을 계승하면서 위정척사론을 정립하고, 위정척사운동에 앞장섰다. 개항시기에는 척사상소를 올려 무분별한 개국에 반대하고 성리학적 전통 질서를 옹호하였다. 나아가 1895년 명성황후 민씨가 일본 낭인들에 의해 시해되는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곽종석 등 문인들과 함께 포고문을 각국 공사관에 보내 일제의 침략만행을 규탄하고 열강의 각성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1908년 조국의 운명이 풍전등화와 같이 되자 일본의 노예가 될 수 없다고 판단하여 김창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