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문집.고서.문헌 154

사본(寫本)의 종류에 대하여

■사본(寫本)의 종류에 대하여 1. 머리말 寫本은 붓 등의 필사도구를 이용하여 종이 등에 손으로 쓴 것을 총칭하는 뜻으로 쓰인다. 정조 때 간행되거나 필사된 御定書와 命撰書를 수록해 해제한 서목인 군서표기(羣書標記)에서도 손으로 쓴 책을 寫本이라 기입하고 있다. 또한 書寫本, 筆寫本, 초본(鈔本), 繕寫本, 錄本, 謄寫本, 謄本등으로도 쓰이고 있다. 다시 말해 손으로 쓰거나, 베끼거나 한 책을 총칭하여 사본이라 하며, 요즘은 사진으로 찍거나 복사하여 만든 책도 사본이라 한다. 본 과제에서는 사본의 종류인 稿本과 傳寫本, 寫經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사본의 종류 2.1 고본(稿本) 고본이란 編者나 著者가 내용을 고안하여 처음으로 쓴 책을 말하며, 고본(藁本)이라 일컫기도 한다. 다시 말..

哲人言行錄 - 艮庭 李相稷 筆寫本

애국지사 보재 이상설(溥齋 李相卨)선생의 從弟이며 애국지사인 간정 이상직(艮庭 李相稷,1878~1947)선생이 쓰신 《哲人言行錄》 1책 單, 《동사보유(東史補遺)》 1책 單, 《大東孝烈錄》1책 單, 《海東忠義錄》 1책 單, 《國朝人物特選》 1책 單, 《家語略選》 2권 2책 , 《名士嘉行》 1책 單, 《民法物權法》 單, 《韓報論集》 2-3권 2책, 《이조말년사》 3책 등 필사본 14책 일괄. 이 책은 한 말 당시 大韓學會報에도 기고하는 등 많은 활동을 하신 선생이 자신의 저서, 찬집서, 기타 매체에 실린 좋은 글들을 등서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직(李相稷). 1878년(고종 15) 3월 29일 충북 진천군 진천읍 387번지에서 태어나 1905 私財로 常山學校를 설립 人材養成에 헌신하고 1919. 3. 15..

육선생유고발(六先生遺稿跋)/박숭고(朴崇古)

육선생유고(六先生遺稿) 사육신의 시문집. 박팽년(朴彭年)의 후손인 박숭고(朴崇古)가 편집한 것으로, 1658년 간행하고 1878년 중간하였다. 3권 3책으로 1권에는 박팽년의 시, 2권에는 성삼문(成三問)의 시, 3권에는 나머지 사육신의 작품이 실려 있다. -------------------------------------------------------------------------------------------------------------------------------- ■육선생유고발(六先生遺稿跋) 지은이 : 박숭고(朴崇古) 박 선생은 나의 7대조이다. 선인(先人)이 일찍이 그분의 유시(遺詩) 약간을 얻었으나, 모은 것이 광범위하지 못해 출간을 하지 못하였다. 이에 내가 계속해서 더 수집하고..

육선생유고서(六先生遺稿序) - 조경(趙絅)

육선생유고(六先生遺稿) 사육신의 시문집. 박팽년(朴彭年)의 후손인 박숭고(朴崇古)가 편집한 것으로, 1658년 간행하고 1878년 중간하였다. 3권 3책으로 1권에는 박팽년의 시, 2권에는 성삼문(成三問)의 시, 3권에는 나머지 사육신의 작품이 실려 있다. -------------------------------------------------------------------------------------------------------------------------------------- ■ 육선생유고서(六先生遺稿序) 지은이 : 조경(趙絅) 명(明)나라 사람이 임오년 〈제신록(諸臣錄)〉에 서술(敍述)하기를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의 은택을 흠뻑 입었으나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의 절의라고 말하..

좌명공신녹권(佐命功臣錄券)

↑좌명공신녹권(佐命功臣錄券) 이 좌명공신녹권(佐命功臣錄券)은 1401년 태종(太宗)이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한 뒤, 태조이성계가 태조개국공신을 책봉한 예를 따라 자신을 도운 47명을 선정해 좌명공신 호칭을 내리고 포상했는데, 그 기록을 담은 필사본으로 (주)화봉문고 소장품이다. 이 좌명공신녹권(佐命功臣錄券)은 2006년 04월 28일 보물 제1469호로 지정된 장흥마씨(長興馬氏) 대종회 소장품이 유일한 공신녹권이었는데 이것은 두 번째로 발견된 공신녹권이다. 그러나 공신 녹권자의 주인공을 나타내는 부분이 유실되고 없어 기록이 절반만 나타나있다. 그러나 중요한 역사 자료로 인정 받아 2014년 07월 20일(일요일) 오전 11시 KBS 진품 명품에 출품되어 시가 3억원의 감정가를 받았다

당시품휘(唐詩品彙)-명나라 고병(高棅)이 편찬한 唐詩選集.

■ 당시품휘(唐詩品彙) 明나라 고병(高棅,1350~1423)이 편찬한 당시선집(唐詩選集)으로 조선조 중기 甲辰字 금속활자로 간행한 [당시품휘] 57-60권 1책. 甲辰字는 1484년(성종 15)에 만든 동활자로 辛卯字라고도 한다. 기존의 甲寅字 ·乙亥字가 주조한 지 오래되어 마모가 심하고 부족한 글자가 있었기 때문에 이에 왕명을 받은 이유인(李有仁, 禮曹參判을 역임, 樂安郡守 繼蕃의 子) ·권건(權健, 知中樞府事를 지냄, 우의정 擥의 子) 등이 당본(唐本) 《구양공집(歐陽公集)》과 명관판(明官版)인 열여전(烈女傳)을 字本으로 하고, 모자라는 글자는 박경(朴耕)으로 하여금 보서(補書)하게 하여 30여만 자를 大字 ·小字별로 8개월에 걸쳐 활자를 주조하였다. 이 활자는 庚子字보다 글자가 약간 작으면서도 정교..

조선과환보(朝鮮科宦譜)

■ 조선과환보(朝鮮科宦譜) 1914년에 남주원(南㴤元)이 편찬한 책으로 조선조 문과· 무과· 음사 출신자들을 각 본관 성씨별로 기록한 [조선과환보] 목활자본 8권 8책/完으로 각기 성씨에 따라 본관별로 과환을 수록하였다. 크기 : 20.6×32.3cm. [참고] 조선과환보(朝鮮科宦譜) 조선조 문과(文科). 무과(武科). 음사(蔭仕) 출신자들을 각 본관 성씨별로 기록한 책이다. 편찬자는 남주원(南㴤元)이며, 편찬 시기는 1914년이다. 모두 8책으로, 간행되었는데 이책은 1918년에 하일순(河一淳)이 전라북도 남원에서 인쇄한것이다. 서문은 박영효(朴泳孝)가 썼다. 그 서문에, “우리나라에는 문· 음· 무· 삼보(三譜)가 있었다. 이는 관직의 계급과 씨족의 동이(同異)를 알 수 있는 것으로서, 명현(名賢)을..

부계집(扶溪集)-田秉淳 著

■ 부계집(扶溪集) 8권 5책(완질) - 田秉淳 著 저자 전병순(田秉淳)은 洪直弼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한 조선후기의 함양(咸陽) 출신의 학자이다. ■부계집(扶溪集) ◈시대 : 조선 말기 ◈저자 : 전병순 ◈간행시기 : 1913년 ◈권수/책수 : 8권 5책 ◈간행/발행자(처) : 전범진|전익진|임철규|김낙종 -------------------------------------------------------------------------------------------------------------------------------------- 1816년(순조 16)∼1890년(고종 27). 본관은 담양(潭陽). 자는 이숙(彛叔), 호는 부계(扶溪), 겸와(謙窩). 석채(田錫采)의 아들이다. 동생 시순..

칠인정소장도서목록(七印亭所藏圖書目錄)

■ 칠인정 소장도서 목록(七印亭所藏圖書目錄) 인동장씨 흥해파 사일문중에서 칠인정(七印亭)에 소장하고있는 도서목록 입니다. 1 江海集 강해집 2 耕隱先生實紀 경은선생실기/벽진인(碧珍人) 3 敬齋遺稿 경재유고 4 孔夫子聖蹟圖 공부자성적도 5 彙語 휘어 6 觀瀾集 관란집/慶州人이승증(李承曾) 著 7 關西問答 관서문답 8 光山世稿 광산세고 9 龜溪先生 文集 구계선생 문집/이중립(慶州人) 10 九峯實紀 구봉실기/이도겸(慶州人) 11 久菴集 구암집 12 懼齋先生實紀 구재선생실기 13 菊圃逸稿 국포일고/이익만(경주인) 14 龜峰集 귀봉집 15 近思錄 근사록 16 樂善堂實紀 낙선당실기 17 樂義齋集 낙의재집 18 南坡集 남파집/이안태(慶州人) 19 農叟先生文集 농수선생문집 20 訥傭齋集 눌용재집 21 訥齋文集 눌재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