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문집.고서.문헌 154

옛서화 관련도서

◈槿域書畵徵(吳世昌,-啓明俱樂部, 1928) 근역서화징(오세창, 계명구락부) ◈韓國繪畵大觀-(劉復烈 編,-文敎院, 1969) 한국회화대관(유복렬 편, 문교원) ◈우리나라의 옛그림-(李東洲, 博英社, 1975) (이동주, 박영사) ◈韓國繪畵史(安輝濬, 一志社, 1980) 한국회화사(안휘준, 일지사) ◈韓國의 美 19-風俗畵-(安輝濬 監修, 中央日報社, ) 한국의 미 19-풍속화-(안휘준 감수, 중앙일보사) ◈韓國繪畵의 傳統-(安輝濬, 文藝出版社, 1988) 한국회화의 전통(안휘준, 문예출판사)

한문학자 이병혁 명예교수, 부산대에 7000여점 사료 기증

한문학자 이병혁(여주이씨) 명예교수, 부산대에 7000여점 사료 기증 국민일보 | 입력 : 2007.03.21. 19:06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노론의 학맥을 이은 추연 권용현선생의 대표적인 제자중의 한분으로, 원로 한문학자인 부산대 이병혁(66) 명예교수가 21일 평생 모은 서적과 자료 7000여 점을 부산대 도서관에 기증했다. 기증 자료에는 고서 1300여 권과 사료가치가 높은 희귀 고문서 등이 포함됐다. 고서 중에는 조선시대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아동들의 한자·한문 교재로 사용됐던 몽학류(蒙學類)와 과문(科文) 연구에 중요한 200여 점의 과시(科詩)·과부(科賦)·과책(科策)·과표(科表) 등이 들어 있다. 고문서 중에는 조선시대 각 지방 군현에 설치된 곡물 대여기관인 ..

송천서원 문헌록

■ 송천서원 문헌록 1.연역 송천서원은 1695년(숙종 21) 유림의 공의로 청원군 옥산면 환희리 송천마을에 김사렴(金士廉), 최유경(崔有慶), 이정간(李貞幹), 박광우(朴光佑), 이지충(李之忠), 조강(趙綱), 이대건(李大建)을 배향하고 후진을 교육하기 위하여 세운 서원이다. 향사 축문은 명곡 최석정(1646-1715) 선생이 지었다(享祀祝辭明谷崔先生所撰). 1711년에 ‘송천(松泉)’이라고 사액되었으며, 그 뒤 1723년(경종 3)에 이제신(李濟臣)을 추향하고, 영조 대에 최석정(崔錫鼎)과 이인혁(李寅爀)을 추향하고, 1798년(정조 22)에 이효석(李孝碩), 남구만(南九萬), 박문수(朴文秀), 이종성(李宗城) 등을 추향하였다. 이 서원에서는 원생 15인과 자모생 15인을 뽑았다. 1871년(고종 8..

근역인수(槿域印藪) - 오세창 저(吳世昌 著)

↑필자소장본 근역인수(槿域印藪)는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이 조선 초기부터 광복 이전까지 서화가(書畵家)와 학자들의 인장을 모아 엮은 인보(印譜)이다. 오세창 자신의 것 225개를 포함하여 총 850명 3,912과(顆)의 인장이 실려 있다. 인장의 종류는 성명·호·자 및 장서인(藏書印)·사장인(詞章印) 등 다양하다. 전각(篆刻), 즉 인각에는 관인(官印)과 사인(私印)이 있는데, 대부분 문인 묵객(文人墨客)들이 기호에 따라 자각(自刻)한다. 이 책에 실린 인장도 대부분 장인에 의한 것보다는 자각이거나 전각가에 의하여 새겨진 것이 많다. 그중에는 중국인의 명각(名刻) 들도 눈에 뜨인다. 시대의 흐름과 사용자의 인품에 따라 다양한 각법(刻法)을 살필 수 있으며, 또한 이들 인장의 각법이 모두 뛰어나 조선..

징비록(懲毖錄) - 류성룡 저

■ 징비록(懲毖錄) ◈시대 : 조선전기 ◈성격 : 전기(戰記) ◈유형 : 문헌 ◈수량 : 16권 7책 ◈지정(지정일) : 국보 제132호 (1969년 11월 7일) ◈창작/발표시기 : 1633년, 1647년(인조 25)(간행), 1936년(영인), 1958년(영인), 1975년(출간) ◈간행/발행처 : 조선사편수회(193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1958), 삼중당(1975)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징비’란 『시경』 소비편(小毖篇)의 “내가 징계해서 후환..

조선명신록(朝鮮名臣錄)

■조선명신록(朝鮮名臣錄) 1925년 경성 儒林建約所 발행 鉛活字本 2卷 2冊 완질로 권말에 大正十四年(1925)十一月三十日, 儒林建約所 發行의 판권지가 있다. 상태 양호한 편이다. 1926년 간/노루지 15.7 × 23.5cm 檀君이래의 姓을 분류하고 각 시대의 그 姓氏 중 名臣들에 대하여 간략히 기록한 책. 학자, 공신, 열사,유일 등 여러 사람을 뽑아 姓150, 貫545에 달하는 人物志이다.

동국문헌록(東國文獻錄)

동국문헌록(東國文獻錄) 신라 이래 한국의 역대 주요 인물들을 그 성격에 따라 명단을 수록한 3권 3책의 목판 활자본으로 1870년(고종 7) 강하형(姜夏馨)이 엮은 책이다. 그러나 이책의 최초 간행인은 알수없다. 유형별로 보면 정승(政丞)의 황각록(黃閣錄), 대제학의 문형록(文衡錄), 유학자의 유림록(儒林錄), 문필가의 필원록(筆苑錄), 대장(大將)의 등단록(登壇錄) ·도원수록(都元帥錄) ·공신록(功臣錄), 문묘배향(文廟配享) ·정묘배향(庭廟配享) 등 죽어서 공자의 묘당이나 국왕의 묘당에 배향된 사람도 수록하였다. 또, 대보단(大報壇) ·동서관왕묘(東西關王廟) ·계성사(啓聖祠) ·선무사(宣武祠) ·숭절사(崇節祠) ·궐리사(闕里祠) 등의 사당과 각 서원(書院)이 편람식으로 편찬되어 있다. 비슷한 성격의 책..

전고대방(典故大方)

필자소장본 ◈도서명 : 전고대방(典故大方) 1책(全) ◈저자 : 강효석(姜斅錫) 1책완질 ◈지질 : 노루지 활자본(한문) ◈간행년도 : 1935년 ◈구매일자 : 2014. 09. 05(금) -------------------------------------------------------------------------------------------------------------------------------------- ■전고대방(典故大方) 한말의 유학자 강효석(姜斅錫:?~?)이 우리나라 역대 인명에 대한 전거(典據)를 기록한 책이다. 1924년에 서울 한양서원에서 4권 1책 노루지 활자본으로 초간 발간했다. 각 분야별로 인물들을 나열하여 관계된 사건이나 내용을 서술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단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