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학/문집.고서.문헌 154

교남과방록(嶠南科榜錄)

↑필자소장본 9권/1938년 간행본 ■ 교남과방록(嶠南科榜錄) 9책 [저 자] 권오환(權五煥), 이재호(李㦳鎬) 공편 [크 기] 19㎝ x 28.5㎝ [활자본] 연활자본 [간행연도] 1938년 [주 기] 교남과방록(僑南科榜錄) 서문 및 용방(龍榜: 문과를 달리 이르는 말) 卷1-3(3책), 虎榜(무과를 달리 이르 는 말) .卷1(1책), 사마방(司馬榜: 생원, 진사시 합격자) 卷1(1책), 세강편(世講篇) 卷1(1책), 보유편(補遺 篇: 빠진 것을 채워넣음) 1책,부록(附錄) 卷1-3(2책)등全9冊완질본이다. --------------------------------------------------------------------------------------------------------------..

고문헌, 문적

↑보물 제477호 이이 남매 화회문기(李珥 男妹 和會文記) 부모가 죽은 뒤 유산을 율곡 이이(李珥)의 형제자매들이 모여 합의하여 나누면서 작성한 것이다. 각종 제사와 수묘를 위한 토지와 노비를 배정하고, 나머지를 4남 3녀와 서모(庶母)인 권 씨에 배 당한 토지와 노비 등을 구체적으로 적은 다음, 끝에 문서작성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과 수결(지 금의 서명)을 표시하였다. ↑소지 6장, 입안 2장 등 총 8장으로 된 문서이다. ​소지 6장에는 윤광전이 노비를 상속하게 된 이유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입안 2장에는 당시 이 지역의 책임자인 탐율감무가 이를 확인하여 상사의 결재를 신청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보물 제494호 정탁 문 적 - 약포 유고 및 고문서(鄭琢 文籍 - 藥圃遺稿 및 古文書) 조..

역대 경상도 관찰사 명단

■ 역대 경상도 관찰사 명단 경상도선생안(慶尙道先生案)은 고려 문종 때부터 조선을 거쳐 대한제국시대에 이르기 까지 경상도 관찰사를 지낸 이들의 명단을 수록한 『증보 경상도선생안』이다. 전 영남대 교수 이수건(李樹健ㆍ1935~2006)이 해제했다. 김지남의 '경상도영주제명기서(慶尙道營主題名記 序)가 앞에 붙어있다. 목차 1.개요 2.고려시대의 영주 3.조선시대의 영주 3-1조선 말의 영주 4.대한제국시대의 영주 5.각주 개요[편집] 고려 초에는 절도사(節度使), 1012년(현종 3) 안찰사(按察使)로 하였으며, 1064년(문종 18) 도부서(都部署)로, 다시 1113년(예종 8)에는 안찰사로 환원했다. 1276년(충렬왕 2) 안렴사(按廉使)로 불렀다. 1388년(창왕 즉위년)에 도관찰출척사(都觀察黜陟使)로..

삼국사기 발문(三國史記 跋文)

삼국사기 발문(三國史記 跋文) 『삼국사기(三國史記)』인쇄본으로 경상도 계림(雞林, 경주)에 있던 것은 세월이 오래되어 모두 없어졌고 세간에는 필사본이 나돌고 있었다. 경상도안렴사(慶尙道按廉使) 심효생(沈孝生)이 한 본을 얻어서 전 경주부사(慶州府使) 진의귀(陳義貴)와 함께 간행을 계획하였다. 1393년(태조 2) 7월에 경주부에 공문을 보내어 8월에 비로소 판각을 시작하였으나, 얼마 되지 않아 두 공이 다른 임지로 가게 되었다. 내가 그해 10월에 경주부사로 부임하여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민개(閔開) 공의 명을 받들고, 그 뜻을 이어 힘써 도와서 공인들의 손을 놀리지 않게 하였다. 그리하여 1394년(태조 3) 여름 4월에 이르러 완성하게 되었다. 아! 일을 잘 지휘하여 완성에 이른 것은 오로지 삼..

화엄경관자재보살소설법문별행소/불교 경전

■ 화엄경관자재보살소설법문별행소(華嚴經觀自在菩薩所說法文別行疏) ◈도서요약 : 고려 충숙왕 때의 승려 체원(體元)이 반야삼장(般若三藏)이 번역한 40권본 『화엄경』의 입법계품 (入法界品)을 해설한 책. ◈시대 : 고려 말 ◈저작자 : 체원(體元) ◈창작/발표시기 : 1328년(충숙왕 15) 이전 ◈성격 : 화엄경 해설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1책 ◈분야 : 종교/불교 ◈소장/전승 : 해인사 해인사 사간장(寺刊藏),규장각, 동국대학교 도서관 ------------------------------------------------------------------------------------------------------------------------------------- 고려 말의 승려..

매헌실기(梅軒實記) - 李仁亨 著

■ 이인형(李仁亨) [문과] 세조(世祖) 14년(1468)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1[壯元]위(1/33) -------------------------------------------------------------------------------------------------------------------------------------- 1436년(세종 18)∼1497년(연산군 3).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공부(公夫), 호는 매헌(梅軒). 증 조부는 이즐(李隲), 조부는 이원로(李元老), 아버지는 대사성 이미(李美)이고, 어머니는 강비호(姜匪虎)의 딸 금 천강씨(衿川姜氏)이다. 배위는 영천이씨(永川李氏) 이맹호(李孟浩)의 딸이다. 공은 점필재(佔畢齋) 김..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저자] 이긍익(李肯翊)-양명학자 [권수] 7책(7권) [간행년도] 1912년(명치45/조선광문회 발간) [책 상태] 중,내용 낙장 없음/원표지 위에다가 다시 표지를 한 상태임 [크기] 가로15cm,세로21.8cm [지질] 갱지 [판본] 인쇄본 [분량] 각책150쪽 내외 [출처지] 전라도 광주 [내용]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최남선 간행,원교(圓嶠)이광사(李匡師)의 아들로 소론 출신의 양명학파 이긍익 (李肯翊, 1736~1806)이 저술한 조선 당쟁사인 연려실기술로 본집(本集) 5책과별집(別集) 2책등 총 7책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