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2038

知中樞府事 李夢麟 墓誌銘

이몽린『李夢麟,1496년(연산군 2)~1563년(명종 18)』 知中樞府事 李夢麟 墓誌銘 - 이유원(李裕元) 天休堂先生。爲東國高士。聞仁宗昇遐。與金河西同入山不出。使其弟仕之曰。夢麟多將略善騎射。幼時嬉戱。有兼人勇。諸少年莫敢抗。及登科。屢立功。官至節度使知中樞。與夫人慶州金氏。葬坡州月隴塋左岡子坐。雲谷公撰判官公墓記曰。公之孫夢麟名將。此可驗也。公慶州人。始祖謁平。我朝參判延孫之後。祖曰成茂安東判官。禰曰仁臣主簿。妣曰光州潘氏煕女。噫。爲將者身未嘗經鋒鏑之交。足未嘗履沙場之地。若一朝授以營閫重任。只儼然建大將旗而已。公受業於天休先生。所學者甲冑干櫓。忠信禮義。故屢仗斧鉞。不愧名將之稱也。子孫零替。後三百載。始謀幽堂之誌。人無有識公者。悲夫。銘曰。 公白沙先生之從叔也。其氣豪而其才蓄也。當時之笠轂也。識之者孰也。 가오고략 > 嘉梧藁略冊十七 > 墓誌

이기령(李箕齡) /상서공파

■ 이기령(李箕齡) [생졸년] 1666(현종 7) ~ 미상」 조선후기 경기도 포천 출신의 효자로 가산면 추곡리[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에서 출생하였으며,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자(字)는 명중(明仲)이다. 문충공(文忠公)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의 방손(傍孫)이다. 나이 13세 때에 사서삼경을 통달하였다. 나이 14세 때에 아버지 상을 당하여 집상에 어긋나지 않았으며, 3년간을 묘 앞에 여막을 짓고 어머니와 함께 시묘하였다. 어느 날 호랑이 두 마리가 나타나 여막 앞에 웅크리고 앉아 있었는데 마치 여막을 호위하는 듯하였으며, 그 뒤로는 조석으로 성묘할 때마다 성묘 길을 3년간이나 계속 호위하였다. 한번은 어머니가 학질을 앓고 있어서 사방으로 약을 구해 시탕하였으나 효험이 없었는데, 누군가 복숭아 뼈..

훈련원 판관 이경국 묘표

訓鍊院判官贈兵曹判書李公 敬國 墓表 생졸년 : 1543년(중종 38)~1592년(선조 25) 瀛洲中山之南。枕卯原者。故殉節功臣李公之藏也。公諱敬國字禮卿。格菴其號也。生于嘉靖癸卯五月十三日。天姿峻偉。智勇絶倫。萬曆癸酉登武科。官至判官。當壬辰之亂。奮忠仗義。與弟司僕安國,僉正榮國。榮家僮數十而起。道伯李公廷馣聞而壯之曰眞義氣之士也。給軍卒百餘及凱仗。使赴笠巖山城尹軫守鎭之所。合力防禦。賊徒乘夜踰城。尹遂遇害。公乃挺身鏖擊。斬賊數十級。竟至矢盡力竆。昆仲同殉于節。卽壬之九月八日也。其季僉正公冒矢石。與奴龍金收尸而返。事載勳錄及邑誌。哲廟丙辰。始蒙褒典。贈兵曹判書。公系出慶州。新羅佐命功臣諱謁平爲其鼻祖。至高麗尙書左僕射諱翮而大著焉。入我朝。兵馬節度使諱碩。始居湖南之羅州。寔公六世祖也。高祖諱黿號老圃兄弟四人。俱中司馬。己卯禍作。遞相往候於靜菴先生謫所。先生嘗稱許曰。若非大小李君..

설정집(雪汀集) - 이흘(李忔)

필자 소장본 > 1971년 광주(光州)에서 간행된 재간본(再刊本)이다. 19cm × 27cm 1820년(순조 20) 간행(청주 신항서원에서 간행) / 크기 : 20.5cm × 32cm 조선 후기의 문신 이흘(李忔)의 시문집[1820년 초간본]. [세계] 국당공 후 문정공파 조선 시대 설정(雪汀) 이흘『李忔, 1568년(선조 1)~1630년(인조 8)』의 문집이다. 1820년(순조 20) 이흘의 6대손 이환(李鍰)이 6권 3책 목활자본으로 청주 신항서원에서 편집· 초간(初刊)하였다. 권두에 송치규(宋穉圭)의 서문, 권말에 6대손 이환·이황(李鎤)·이석(李錫) 등의 발문이 있다. 그후 1971년 술암(述菴) 송재성『宋在晟, 1902년(광무 6) ~ 1972년)』의 서문과 함께 전남 광주에서 재간(再刊)하였다..

이식(李植)/어모장군(禦侮將軍)

[과거자료] [무과] 명종(明宗) 15년(1560) 경신(庚申) 별시(別試) 병과(丙科) 10위(14/19) [인물요약] 자(字) : 덕수(德樹) 생년 : 경인(庚寅) 1530년(중종 25) 합격연령 : 31歲 본관 : 경주(慶州) 거주지 : 신녕(新寧)/오늘날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을 말함. [이력사항] 선발인원 : 19명[甲科1名/乙科3名/丙科15名] 전력 : 정로위(定虜衛)/조선 시대, 1480년에 창설한 군대 부모구존 : 구경하(具慶下)/부모가 다 살아계심 [가족사항] 아버지 : 이진형(李眞亨) 품계 : 어모장군(禦侮將軍) [안항(鴈行)] 제(第) : 이종(李種) 출처 : 『가정39년(1560) 문무과별시방목(嘉靖三十九[年庚申]文武科別試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 소장)

경주 표암재 시조 향사 거행(동영상)

경주이씨(慶州李氏) 시조 표암공(瓢巖公) 알평(謁平)의 2019년 향사가 4월 20일(토) 오전 11시 경북 경주시 산업로 4152-10(동천동 16) 소재 표암재에서 전국의 전 종인이 참여한 가운데 거행되었다. 알평은 신라의 건국 신화에 나오는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으로 사로(斯盧) 6촌장의 수장으로서 화백회의를 주재하고 혁거세(赫居世)를 옹립하여 신라 건국을 하였다. 경주이씨(慶州李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3대 성씨로서 경주의 옛 이름이 월성(月城)이므로 월성이씨(月城李氏)라고도 한다. 이날 향사 초헌관으로는 3선의 국회의원을 지낸 이철우 경상북도지사가 거행하였다. ◇ 행사 이모저모 ▲ 이석형(종헌관, 전 함평군수.왼쪽부터), 이상춘(아헌관. 기업가), 이철우 경북지사 (..

이한두(李漢斗) - 33世

公의 諱는 漢斗요. 字는 光伯이요. 號는 溪隱(계은)으로. 司評公 諱 元男의 7代孫이다. 高祖는 贈 參判 諱 志猷이고, 曾祖는 贈 參判公 諱 九齡이다. 祖는 豊德都護府事公 諱 聖魯요. 先考는 平山都護府事公이다. 先妣는 淑夫人 廣州盧氏의 長女이다. 公의 벼슬은 通德郞이고 戊寅年에 태어나 九세에 父母를 돕고 집이 가난하여 벼슬에 뜻을 접고 어버이 섬기기를 진실로 정성을 다 하였으며, 부모가 병이 나메 식음을 전폐하고 아우들과 더불어 간호를 극진히 하였다. 經學(경학)에 독실 하셨으며 農坡要集(농파요집)과 大遺記日編(대유기일편)을 저술 하였다 配位는 共人 豊川任氏 熙益의 여식으로 성품이 현숙하고 奉先祀(봉선사)와 시부모 섬기기를 극진한 효성으로 임했다. 슬하에 2남을 두니 嘉善大夫 戶曹參判 諱 裕龍이 長子요...

이재수(李在秀)

[생졸년] 1912년~1974년 [본관] 경주(慶州) [인물요약] 해방 이후 『고전』, 『한국소설연구』, 『고전문학선』 등을 저술한 학자. 국문학자. 충북 진천(鎭川) 출신으로. 아호는 상산(常山). 이봉섭(李鳳燮)의 넷째 아들이다. [경력] 명신중학교 교사, 배재중학교 교사, 국학대학 교수, 연희대학교 조교수, 대구대학 교수, 대구사범대학 교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장,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장. [직업] 학자. 국문학자. [대표작] 윤고산연구, 고전, 한국소설연구, 고전문학선, 한국소설 발달단계에 있어서의 중국소설의 영향, 박혁거세전설논고, 주몽전설논고, 시조엔 유배지가 없다-윤선도, 박연암 소설논고-호질과 허생전을 중심으로, 금오신화의 연구, 양반전 논고, 혈의 누 연구, ..

栗亭先生逸稿 - 이표(李標)

필자 소장본 [저자] 이표(李標) [세계] 경주이씨 판전공파 [진사] 영조(英祖) 39년(1763) 계미(癸未)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51위(81/100) [합격연령] 39세(歲) [생졸년] 1725年(英祖1)~1789年(正祖13) [간행연도] 1955년 來源 : 韓國歷代文集叢書 No. 2492 栗亭先生文集(栗亭先生逸稿) 刻本 : 抄本 著作時代 : 朝鮮時代 後期 序·編·跋 著者 : 序-李鐸(1949)․權丙洛, 跋-李錫欽(1949), 書後-柳奭佑(1954), 後識-李鴻集(1955), 小識-李圭璇 [해제] 『율정집(栗亭集)』은 조선후기의 학자 이표(李標 ; 1725~1789)의 시문집이다. 이표의 자는 휴경(休卿), 호는 율정(栗亭),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이 책은 1950년 6세손 규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