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2038

노사영언(魯史零言)

20.2×32.2cm 저술자의 손자 이시현(李時顯)의 장서인이 있는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 著, 1673年 刊 목판본 『노사영언(魯史零言)』의 끝 책(卷30)이다.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 著, 1673年 刊 목판본 『노사영언(魯史零言)』 卷30 한 책으로 권두에 저술자의 손자인 이시현(李時顯)의 장서인이 있으며 양질의 한지에 인출은 매우 선명하다. 앞 10여장 상단 일부 얼룩 , 책끈 일부 풀림 외 기타 보존 상태 아주 양호하다. 책의 20.2×32.2cm 이다. 이시현『李時顯. 1622(광해군 14)∼1678(숙종 4)』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월성(月城). 자는 사영(士榮). 영의정 항복(恒福)의 후손으로 부사 성남(星男)의 아들이다. 1659년(효종 10) 병조판서 송준길(宋浚吉)의..

이몽태(李夢台)

■ 이몽태(李夢台) [무과] 선조(宣祖) 16년(1583) 계미(癸未) 별시(別試) 병과(丙科) 257위(294/500) --------------------------------------------------------------------------------------------------- [인물요약] ◇자(字) : 응정(應禎) ◇생년 : 갑진(甲辰) 1544년(중종 39) ◇졸년 : ◇합격연령 : 40歲 ◇본관 : 경주(慶州) ◇거주지 : 파주(坡州) [이력사항] ◇선발인원 : 500명[甲科1名/ 乙科36名/丙科463名] ◇전력(前歷) : 충의위(忠義衛) ◇부모구존 : 영감하(永感下/부모가 모두 죽고 없는 처지) [가족사항] ◇부(父) : 이덕영(李德榮) 관직 : 부사용(副司勇) [출전] 『만..

우가헌유고(尤可軒遺稿)

35世 이정영(李鼎榮,1789~1860)은 조선 후기의 학자로 본관은 경주이고, 밀직공(密直公) 이창로(李彰路)의 후손이다. 충남 보령 주산 동오리에 살았다. 호는 우가헌(尤可軒)이다. 어려서부터 문학에 뜻을 두고 자라서는 난국재(蘭菊齋) 이예환(李禮煥)의 문인으로 수업하여 남당학파의 성리학을 따랐다. 고종조에 학행으로 동몽교관에 올랐으며, 문집인 우가헌유고가 있다.그의 아들 이규덕(李圭悳)이 문과에 급제해서 정언 벼슬을 역임했다. 우가헌유고(尤可軒遺稿)는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4권 2책(冊)으로 간행한 그의 시문집(詩文集)이다. [내 용] 4권 2책. 목활자본. 1911년에 손자 종경(鍾卿)·종대(鍾大)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복한(金福漢)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신장(申棖)과 종..

이정영(李鼎榮)

이정영(李鼎榮) 본관은 경주이고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후손이다. 충남 보령 주산 동오리에 살았다. 호는 우가헌(尤可軒)이다. 어려서부터 문학에 뜻을 두고 자라서는 난국재(蘭菊齋) 이예환(李禮煥)의 문인으로 수업하여 남당학파의 성리학을 따랐다. 고종조에 학행으로 동몽교관에 올랐으며,문집인 우가헌유고가 있다. 그의 아들 이규덕(李圭悳)이 문과에 급제해서 정언 벼슬을 역임했다.

이표(李標)

■ 이표(李標)/판전공파 [진사] 영조(英祖) 39년(1763) 계미(癸未)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51위(81/100) [합격연령] 39세(歲)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부모구존] 자시하(慈侍下)/아버지는 돌아가시고 어머니만 모시고 있는 처지 [가족사항] ◇아버지 : 이만형(李晩馨)/학생(學生) ◇조부 : 이준(李濬) ◇외조부 : 최창대(崔昌大) [안항(鴈行)] ◇제(第) : 이익(李杙) ------------------------------------------------------------------------------------------------------------------------------------- [자(字)] 휴경..

동강집 서(桐江集 序)

동강(桐江) 이송제(李松齊) 선생의《동강집(桐江集)》의 서문(序文)은 통정돈녕부도정(通政敦寧府都正)을 역임한 허온(許蘊) 선생이 撰하고 書한 의 序文으로 몽적분약(蒙赤奮若,乙丑. 1925年)에 쓴 것입니다. 동강 이송제 선생의 묘는 전남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 방죽굴 월재공 묘소위에 모셔져 있는 학생공의 현손으로 문집으로 桐江集이 있습니다. 생전에 전각 글씨를 잘 쓰셨으며 김수항의 문집에도 " 낭주 이송제가 찾아오다" 라는 시를 남기기도 했습니다. 우암 송시열 선생께서 영암 망호리 마을에 들렸을떄, 서당에 계셨던 방 선조이신 낭주 이송제에게 동강일사 부한구정 이란 여덟글자를 병풍에 써 주셨다는 이야기도 오늘날 전해지고 있습니다. ■동강집 서(桐江集 序) 허온(許蘊) 찬(撰) 낭주(朗州)는 영암(靈巖)의 옛..

추월정(秋月亭)

▲추월정(秋月亭) / 사진>청주 시청 공식 블로그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옥화리 137-2번지에 소재하는 추월정(秋月亭)은 옥화서원 옆으로 난 길을 따라 야트막한 산을 오르면 추월정을 알리는 표지석을 볼 수 있다. 표지석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가면 유유히 흐르고 있는 강을 바라보고 있는 추월정을 만날 수 있다. 추월정은 2015년 4월 17일 청주시 향토유적 제22호로 지정된 전통 건축물로서 1609년(광해군 1)에 서계(西溪) 이득윤(李得胤, 1553년(명종 8)~1630)이 세운 경주이문(慶州李門)의 정자이다. ▲추월정 현판/사진>청주 시청 공식 블로그 지금 세워저있는 정자는 1985년에 다시 지은 건물로 밖에는 1898년(광무 2)에 화산(花山) 권용규(權容圭)가 쓴 ‘추월정(秋月亭)’이란 현..

서계집(西溪集) - 이득윤(李得胤)

한국문집총간(속) 제8집/ 간행처 >한국문집총간(속) 제8집 ●형태서지 권수제 서계선생문집(西溪先生文集) 판심제 서계선생문집(西溪先生文集) 간종 활자본(木活字) 간행년도 1833년 간행 권책 4권 2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2.0×16.2(cm) 어미 上下三葉花紋魚尾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도서번호 한46-가893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속 8 ●저자 성명 이득윤(李得胤) 생년 1553년(명종 8) 몰년 1630년(인조 8) 자 극흠(克欽) 호 서계(西溪) 본관 경주(慶州) 초명 덕윤(德胤) 특기사항 서기(徐起), 박지화(朴枝華)의 문인. 김장생(金長生), 정사호(鄭賜湖) 등과 교유 ●가계도 이곤(李鯤)/判官 ㅣ ㅣ-----이혼(李渾) ㅣ ∥ ㅣ 나운걸(羅云傑)의 女 ㅣ ㅣ-----이정(李淨) ㅣ ..

훈련원 판관 이윤 삶

[제주일보] 2018. 05. 22 아! 슬프다, 李별장이 갔구나…제주에는 그런 사람이 없다” 이윤, 청렴한 성품으로 주변서 칭송 자자 김춘택 문하에서 수학...유배인에 배풂 실천 묘는 부인 고씨와 함께 월라봉에 조성돼. ▲훈련원판관 이윤 선생 묘 서귀포시 신효동 월라봉 남쪽 정상에 있는 이윤 무덤의 전경. 혈을 달리해 부인 고씨의 무덤이 가까이 있다. ■ 무사들에게 칭송받은 이윤(李 火+允) 제주에 남겨진 이익의 아들 이인제(李仁濟)는 두 아들과 딸을 낳았는데, 장남은 윤이고, 차남은 찬(燦)이다. 이윤(1650~1708)은 젊어서 활쏘기와 말타기를 익혀 1680년 봄, 어사 이증(李增)이 실시한 무과에 급제해 서울에서 벼슬을 하다 제주에 돌아왔다. 훈련원 판관을 지내는 동안 진보(鎭堡)의 조방장(助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