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2038

사류재 이정암 선생 유언

26世 이정암『李廷馣, 1541년(중종 36) ~ 1600년(선조 33)』의 유서[遺書 庚子八月二十四日] 내 너희를 위해 남긴 것이 없다만.... 내가 작은 종기를 잘못 조리하여 마침내 독한 종기가 되고 말았다. 밤낮으로 고통스럽고, 죽음이 아침저녁에 있고 보니 다시 무엇을 말하겠느냐? 나이 쉰이면 요절했다고 말하지 않는데, 하물며 나는 예슨 해를 살았다. 벼슬은 재상의 반열에 올랐고 게다가 자손까지 있지 않느냐? 기꺼운 마음으로 눈을 감아 조금도 여한이 없다. 너희는 내 죽은 뒤에 장례 등의 일을 검약에 힘써 내 평일의 뜻을 따르도록 해라. 국장(國葬)이 끝나거든 바로 전포(錢浦)에 있는 죽은 아내의 곁에 묻고, 고양촌(오늘날 고양시 일산동구 사리현동)의 집에 신주를 모시고 슬픔을 아껴 효를 마치면 될..

사류재 이정암 선생 유서

■이정암(李廷馣) 선생 유서(遺書) 죽음을 보름여 앞두고 아들과 손자, 사위에게 준 유서이다. 자기 사후의 일을 꼼꼼하게 당부했다. 글의 주요 부분만 살펴보면 나이 쉰을 넘겼다. 젊어서는 곤궁하여 늘 집안의 가난함 때문에 동분서주했다. 성격은 뻣뻣하고 재주는 졸렬하여 사물과 더불어 어그러짐이 많았다. 혼자 자신을 헤아려 봐도 필시 세속의 근심을 받으려니 하였다. 애써 세상을 떠나 지내느라 너희들을 어려서부터 춥고 주리게 하였다. 내 일찍이 한나라 왕패(王覇)의 어진 아내 유중(孺仲)의 말에 느낌이 있었다. 낡은 솜옷을 걸친다 해도 어찌 자식들에게 부끄럽겠느냐.(중략) 질병을 앓은 후로 점점 쇠약해지는구나. 친구들이 날 버리지 않아 매번 약과 침으로 도움을 받지만, 수명이 장차 다해 갈까 염려되는구나. 너..

사류재 이정암 사우(고양시)

[생졸년] 1541년(중종 36)∼1600년(선조 33) 9월 10일./향년60歲 [문과] 명종(明宗) 16년(1561) 신유(辛酉)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9위/합격연령 : 21歲 [생원진사시] 명종(明宗) 13년(155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2등(二等) 5위/합격연령 18歲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중훈(仲薰), 호는 사류재(四留齋)· 퇴우당(退憂堂)· 월당(月塘). 서울 출신. 사직서령(社稷署令) 탕(宕)의 아들이며, 이조..

피염정일고(避炎亭逸稿)

◇도서 성격 : 시와 산문집 ◇책수 : 2권 1책(單) ◇저자 : 이희음『李希音, 1579년(선조 12)~1641년(인조 19)』 ◇간행연도 : 1850년(철종 1) ◇소장처 : 성오당 이개립 종손가 ------------------------------------------------------------------------------------------------------------------------------------- 2권 1책. 목판본. 1850년(철종 1)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중곤(李中錕)의 서문이, 권말에 김세락(金世洛)의 발문이 있다. 경주이씨종손가에 있다. 권1에 시 64수, 권2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명·제문·만사(輓詞)·증유(贈遺)·피염정기(避炎亭記) 등이 ..

가산서원지(佳山書院誌)

▲필자 소장본 ◇간행연도 : 1968년 ◇간행인 : 이면우(李冕雨) ◇판본 : 석판본 ◇크기 : 20㎝(가로) x 29㎝(세로) ▲장성 가산사 전경(長城 佳山祠全景)/사진 출처>인터넷 소재지 : 전남 장성군 삼서면 홍정리 488-2 가산마을 ------------------------------------------------------------------------------------------------------------------------------------ ■ 가산사(佳山祠) 고려 후기 문신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 1287∼1367)과 조선 중기 문신이자 학자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 1556~1618) 등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1498년(연산군 4) 이제현의 5대손인 장수현감(..

이완 청덕애민선정비

앞면에 목사 이공 완 청덕 선정영세물망비라고 기록되어있다. 소재지 : 경기도 양주 관아지 이완의 송덕비는 방형 대좌에 비신을 세우고, 가첨석 형태의 개석을 올린 형태이다. 비신의 파손이 상당하다. 앞면에는 ‘목사 이공 완 청덕선정영세불망비’라고 새겼으며, 1643년(인조 21)에 세운 것이라고 한다. 이완의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징지(澄之), 호는 매죽헌(梅竹軒)이다. 아버지는 인조반정 공신 이수일(李守一)이며, 어머니는 완산이씨(完山李氏)로 이귀년(李貴年)의 딸이다. 이완(李浣)[1602~1674]은 1624년(인조 2)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갔다. 인조반정 공신으로 군사력을 장악하고 있던 이서(李曙)의 추천으로 만포첨사(滿浦僉使)가 되었고, 1627년(인조 5) 영유현령을 거쳐 1629년..

경주이씨 선세자료

■ 경주 이씨 벌열(閥閱) ● 비(碑) 시조공경모비(始祖公景慕碑) 자연암 비(自然岩碑), 시조 유허비(始祖遺虛碑) 우봉 도리촌선영묘단비(牛峰桃李村先塋墓壇碑) 평리 열헌공사단비(評理悅軒公祀壇碑) 고려 평리공사단비(高麗評理公祀壇碑) 동암 문정공묘비(東庵文定公墓碑) 익재 문충공묘지명(益齋文忠公墓誌銘) 문희 송암이선생추모비(文僖松巖李先生追慕碑) 상서공사단비(尙書公祀壇碑) 전서공3세사단비(典書公三世祀壇碑) 석탄공사단비(石灘公祀壇碑) 운와공여흥군사공양세사단비(雲窩公驪興郡事公兩世祀壇碑) 운와공묘표(雲窩公墓表) 정순공묘갈(靖順公墓碣) 전농판관공묘표(典農判官公墓表) 병조판서공묘갈(兵曹判書公墓碣) 호군공묘갈(護軍公墓碣) 태상소경공묘단비(太常少卿公墓壇碑) 한성판윤공유허비(漢城判尹公遺墟碑) 증판서청호공묘갈(贈判書淸湖公墓碣) ..

증 숙부인 능성 구씨 묘지명

■수군 첨 절제사(水軍僉節制使) 공(公)의 휘(初諱)는 용주(容柱). 자(字)는 경교(景交)이고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아버지는 학생 준서(浚瑞)이고 어머니는 유인(孺人) 진천 송씨(鎭川宋氏)이다. 조부는 이응종(李應鍾)이다. 공은 1816년(순조 16) 8月 21日에 태어나 1839년(헌종 5) 무과(武科)에 올라 행 법성포진(行 法聖浦鎭)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와 관지절충장군(官止折衝將軍)이 이르렀다. 기묘(己卯) 1879년 8월 16일 졸하니 향년 64歲이고 묘(墓)는 금치당곡(金峙棠谷) 배(配)는 증 숙부인(贈 淑夫人) 능성구씨(綾城具氏) 은배(殷培)의 따님이다. 1815년(순조 15) 5월 12일생으로, 1852년(철종 3) 7월 13일 양덕방(陽德坊: 서울 종로구 계동 가회동지역) 본댁에..

이태형(李泰炯)

[음관] 무보(武譜) [인물요약] ◇초명(初名) : 이용주(李容柱) ◇자(字) : 경구(景九) ◇생년 : 병자(丙子) 1816년(순조 16) 8월 21일생 ◇졸년 : 기묘(己卯) 1879년 8월 16일 졸/향년64세 ◇본관 : 경주(慶州) [가족사항] ◇부(父) : 이준서(李浚瑞) ◇조부 : 이응종(李應鍾) ◇증조부 : 이언우(李彦佑) 관직 : 별제(別提) 과거 : 무과(武科) ◇양가 증조부(養家曾祖父) : 이희집(李喜集) 관직 : 변지(邊地僉使 : 국경지역에 근무하는 첨사직) ◇생가 증조부(生家曾祖父) : 이희원(李喜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