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2038

경주이씨 인물록

경주이씨 인물록 긍탄(亘坦) 알평(謁平) 이갑성(李甲成) 이개립(李介立) 이건영(李健榮) 이격(李格){2} 이경륜(李敬倫) 이경억(李慶億) 이경일(李敬一){1} 이경주(李擎柱) 이경주(李擎株) 이경하(李擎厦){1} 이경한(李景漢) 이경휘(李慶徽) 이계조(李啓朝) 이공린(李公麟) 이광우(李光友) 이광윤(李光胤) 이광익(李光翼) 이광좌(李光佐) 이교영(李敎榮) 이구(李坵) 이구(李龜){2} 이구징(李耉徵){2} 이규일(李圭日) 이규채(李圭彩) 이규항(李圭恒) 이규헌(李圭憲) 이규홍(李圭弘) 이극복(李克福) 이기남(李箕男) 이기룡(李起龍) 이기온(李基瑥) 이기조(李基肇) 이단장(李端章) 이달의(李達意) 이달존(李達尊) 이달충(李達衷) 이담(李擔){1} 이대건(李大建) 이대년(李大年) 이대립(李大立) 이대방(李..

증조모 산소 성묘 다녀왔습니다.

[세계] 星山全氏 錫一의女 [생년] 壬子 1852年 3月 29日. [졸년] 乙巳 1905年 3월 4일 [향년] 54歲 소재지 : 忠南 錦山郡 濟原面 川內里 479번지 (八岩下 辰坐有床石) [벌초일] 2021년 8월 31일(화) [성묘일] 2021년 9월 13일(월) [거리] 452.6Km(왕복) [소요시간] 7시간 30분(왕복) 앞에 보이는 다리가 금산군 제원면 제원교(다리) 입니다. 1905년 우리 조부께서 자기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 길지를 찾아 경상도에서 인부 30명을 동원하여 충남 금산 까지 150Km의 먼 거리를 마다 않고 점지한 유택지 입니다. 우리 후손들은 조부의 효심을 생각해 먼길을 마다 않고 매년 잘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자 손손 잘 보존되기를 기원하며.... 필자의 아우님 산소 주변의 잡..

[한시]육신사를 배알하다 - 이중협(李重協)

창절서원소장 판각한시 8편중제5편<육신사를 배알하다 - 이중협李重協 창절서원 소장 판각 한시 8편 중 제5편 이중협(李重協) 嘗讀遜國記(상독손국기) / 일찍이 손국기遜國記를 읽을 때, 不禁廢卷淚(불금폐권루) / 나도 모르게 책을 덮고 눈물 흘렸네. 蒼黃亦苦心(창황역고심) / 창황한 겨를에도 적잖이 고심했으리. 闔族無噍類(합족무초류) / 일족 중에 살아남는 자 없을 테니. 哀哉六先生(애재육선생) / 서글프도다! 여섯 선생께서, 臣節終自遂(신절종자수) / 끝내 신하의 절의를 이루었네. 豈不識天命(기불식천명) / 어찌 천명의 추이 몰랐겠는가 마는. 盖欲扶人義(개욕부인의) / 그저 사람의 도리를 지키려 했을 뿐. 八賢同其趣(팔현동기취) / 여덟 현인이 그 뜻을 함께한 덕에, 三綱賴不墜(삼강뢰불추) / 삼강이 실..

경주이씨족보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품

慶州李氏五刊世譜. 卷2 [著者未詳] 慶州李氏家乘 [編著者未詳] 慶州李氏家乘 [編著者未詳] 慶州李氏遯菴公派家乘 [編著者未詳] 慶州李氏世譜 慶州李氏世譜所 編 慶州李氏世譜. 2,4-7,9-15 李載榮...[等編] 慶州李氏世譜. 卷1 慶州李氏世譜. 卷2,14,16 慶州李氏世譜. 卷5-6,18-20,32 慶州李氏族譜草稿 慶州李氏族譜 이계필 慶州李氏家乘 慶州李氏忠穆公派譜 慶州李氏族圖 慶州李氏菊堂公派譜. 卷1-19 慶州李氏派譜所 編 高宗10[1873] 慶州李氏世譜. 1-10 慶州李氏世譜所 編 高宗12(1875) 慶州李氏派譜 : 再思堂公派. 卷1-2 [編者未詳] 高宗17(1880)跋 慶州李氏派譜. 卷1-2,4-8,10-30 李喬榮...等編 高宗29(1892)序 慶州李氏世譜. 卷1-5 李集夏(朝鮮) 編 光武 9(1905..

이여주(李汝柱) 묘(墓)

▲개풍 신성리 이여주(李汝柱) 묘(구 지명 : 경기도 개풍군 대성면 대성리) 경기도 개풍군 대성면 대성리(현재 북한의 개성지구 개풍군 신성리)에 있는 조선시대 민묘 유적이다. 1963년 건축공사 때, 발굴되었다. 비문에 의하면 묘의 주인공은 이여주로 1643년(인조 21)에 태어났는데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연안성전투에서 큰 공을 세운 이정암의 4대손(31世)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있다가 1705년(숙종 31)에 62세로 죽었다. 이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 중 우선 옷을 만든 천의 종류를 보면 운문단(雲文緞). 대단(大緞),공단(貢緞),운문항라((雲文亢羅),고사(庫紗). 명주(明紬) 등이 있다. 이들 천은 황토색,자색,목홍색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무늬는 구름무늬가 많다. 천의 너비는 비단들을 제외하..

씨족원류(경주이씨)

씨족원류(한국민족문화대백과) [氏族源流] 유형 문헌 시대 조선 성격 통합보 편저자 조종운 제작시기 17세기 중반 권수·책수 7책 소장처 조종운의 14세손 조용진(개인소장) 씨족원류(한국민족문화대백과) [氏族源流] 목차 정의 내용 정의 17세기 중반 조종운(趙從耘, 1607∼1683)이 편찬한 통합보(統合譜). 내용 필사본으로 분량은 7책이며, 현재 조종운의 14세손 조용진(趙鏞珍)씨가 소장하고 있다. 편찬자 조종운의 자는 백농(伯農), 호는 송창(松窓), 본관은 풍양이다. 이조참의에 추증된 조척(趙滌)의 아들로 조부 조수륜(趙守倫)은 이이·성혼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학행으로 명성이 높았다. 그는 어려서부터 숙부 조속(趙涑)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조속은 학식과 서화에 대한 재능을 바탕으로 당시 사림에서 ..

동암공 사마시험

■이방연(李芳衍) [고려사마] 원종(元宗) 5년(1264) 갑자(甲子) 생원시(生員試) 1등(一等) 1[壯元]위(1/47)/합격연령 21歲 [타과정보] ◇고려문과 : 충렬왕(忠烈王) 6년(1280) 경진(庚辰) 문신친시방(文臣親試榜) 을과(乙科) 2위(2/9) 합격연령 37勢 ◇고려문과 : 충렬왕(忠烈王) 5년(1279) 기묘(己卯) 기묘방(己卯榜) 병과(丙科) 2위(5/43)/합격연령 36歲 -------------------------------------------------------------------------------------------------------------------------------------- [인물요약] ◇개명(改名) : 이진(李瑱) ◇자(字) : 온고(溫古) ◇호..

평리 성암공 이인정(李仁挺) - 고려사

"대쪽 같은 성품" 우리나라 역사서 중 가장 훌륭한 정사(正史)로 평가 받는 고려사(高麗史)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관찬((官撰) 역사서로 가장 신뢰할만한 역사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려사(高麗史)는 1396년(태조 4) 1월에 고려국사(高麗國史)라는 이름으로 정도전에 의해 처음 간행되었지만. 이방원에 의해 정도전이 제거되고 나서 1414년(태종 14)에 태종은 하륜(河崙)을 시켜 공민왕대 부터 정도전의 입장에서 유리한 면들은 전부 제거하거나 수정하여 완성을 앞두고 있었으나 하륜(河崙)의 사망으로 완성을 보지는 못하였습니다. 그후 세종(世宗)의 명에 의하여 1449년(세종 31)부터 다시 편찬하기 시작하여 1451년(문종 1)에 완성을 보고 1454년(단종 2)에 간행한 역사서로 책의 구성은 기전체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