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선조문집 141

익재난고(益齋亂藁) - 이제현(李齊賢)

고려의 3대시인의 한 사람인 익재 이제현(1287-1367)의 시문집. 익재의 초상. 至正二十三年(1363) 李穡 의 序. 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 이 책은 萬曆庚子(1600) 鷄林府에서 간행한 책과 同一本. [저자] 고려국 익재 이제현(高麗國 益齋 李齊賢) [인쇄판식] 목판본(木板本) [출판년도] 만력경자 계림부간(萬曆庚子鷄林府刊 : 1600년) [간행인] 경주부윤 이시발(慶州府尹 李時發) [출판사] 계림부간(鷄林府刊) [크기] 가로 205mm x 세로 315mm -------------------------------------------------------------------------------------------------------------------------------------- 익재..

백사집(白沙集) - 이항복(李恒福)

↑백사집(白沙集) [춣판년도] 1629년(인조 7) 序 [인쇄판식] 목판본(木板本) [책의 크기] 가로 20㎝ x 세로 30㎝ [저자] 이항복(李恒福) 《白沙集》은 1629년(仁祖 7) 이후 여러 차례 간행되었다. 1629년에 창곡 이현영(蒼谷 李顯英1573-1642)이 江原道觀察使로 있을 때 江原府使 潛窩 李命俊(1572-1630)과 같이 처음으로 ≪白沙集≫을 刊行하였다(江陵本). 그리고 이후 後刊本으로 錦南君 鄭忠信(1576-1636)이 晋州에서 간행한 晋州本(晋陽本이라고도 함)이 있다. 江陵本과 晋州本의 차이점은 鄭汝立의 叛逆에 의한 己丑獄事에 관한 記錄이 江陵本에는 누락되어 있는 점이다. 그 후 다시 1630년 金長生(1548-1631)의 門人인 張維(1587-1638)에 의해 《白沙集》이 重刊되..

유단서굴기(遊丹書窟記) - 이응협(李膺協)

↑유단서굴기(遊丹書窟記) 「유단서굴기(遊丹書窟記)」는 : 1826(순조 26)∼1894(고종 31)의 문집『항은일고(巷隱逸稿)』권3에 수록되어 있다. 7월 22일 고을 동쪽 10리쯤에 단서굴(丹書窟)이 있다는 말을 듣고 유람을 하게 된 것이다. 단서굴의 유래는 병자호란(임진왜란의 잘못된 표기이다)때 두곡(杜谷) 고응척이 난리를 피해 이산에 숨어살다가 깎아지를 듯한 절벽 속에서 외굴과 내굴을 발견하였는데 굴안에 들어가 붉은 글씨로 '대명일월(大明日月)' 4글자를 썼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외굴에는 꽃과 나무 푸른 바위들이 있지만, 내굴은 외굴에서 백여보를 가면 올라가지도 내려가지도 못하는 깎아지를 듯한 절벽에 위치해 있었다. 절벽은 예전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굴은 바위와 돌이 무너져 있어 안타까워하고 ..

국포일고(菊圃逸稿) - 이익만(李翼萬)

■국포일고(菊圃逸稿) 1책 이익만(李翼萬) 著/판전공파 간행연도 : 1913년 목판본 조선후기의 학자인 이익만(1795-1870)선생의 본관은 경주(慶州). 고려 판전객시사(判典客寺事) 강(康+羽)의 후손으로 자는 사붕(士鵬). 김형모(金瀅模)의 서문과 김상규(金相珪)의 발문이 있다. 임란의병장 이석종(李碩宗)의 7대손으로 증조부는 태문(泰文)→조부는 춘선(春善)→양부는 우하(友夏), 생부는 우성(友晟)→아들 주효(疇孝)이다. 어려서는 형 우성(友晟)과 함께 조명국(趙鳴國)에게 배웠으며 후에는 이석호(李錫琥)에게서 수학하였다. 그는 사장학(詞章學)보다는 거경함양(居敬涵養)에 힘썼다. 이 문집은 1900년대 초에 그의 손자인 유면(裕冕)에 의해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시(詩)는 자연시, 서사시, 풍류를 즐..

역옹패설(櫟翁稗說)/益齋 李齊賢 著

고려 말기의 학자 익제 이제현(1287-1367)의 수필집. 이규보,이색과 함께 고려 3대 시인으로 일컬어지는 이제현의 역옹패설은 파한집,보한집과 같이 고려시대 패관문학의 대표적 저술이다. 사서에 나오지 않는 이문,기사,인물평,경론,시문,서화품평 등이 주 내용인데 前集(一-二), 後集(一-二), 拾遺. 李穡이 撰한 益齊墓誌銘으로 구성되어 있다. 宣德壬子(1432) 金鑌 奉敎敬跋. 萬曆庚子(1600) 鷄林府刊. 조선 중기 학자 五友堂 金近(1579-1656) 장서인. 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 /크기 : 210 x 310mm 이제현(1287-1367) 고려 후기의 대학자, 정치가. 본관 慶州, 字는 仲思, 號는 益齋,櫟翁. 1301년 과거에 합격, 1314년 상왕인 충선왕의 부름으로 원나라 수도 연경의 만권당에..

우리나라 최초 중등수학교과서 - 이상설 저

산술신서(算術新書) ↑산술신서(算術新書)/우리나라 최초 중등수학교과서) 이 책은 원래 일본학자 우에노[上野淸]의 의 내용을 보재 이상설선생이 1900년(광무 4) 사범학교와 중학교 등 각급 학교의 교과서로 편찬저작한 우리나라 최초의 수학교과서입니다. 그리고 이 책에는 당시 학부편집국장 이규환(李圭桓)의 서문과 편저인 이상설선생이 쓴 범례가 붙어있습니다. 단 포스팅의 책은 1908년에 간행한 책입니다.

기유일록(己酉日錄)/李時發 著

작성일 : 2012. 08. 25 ■ 기유일록(己酉日錄) 벽오 이시발 저 『기유일록(己酉日錄)』은 벽오(碧梧) 이시발(李時發)이 1609년(광해군 1) 1월 1일부터 이듬해인 1610년 9월까지 평안도관찰사로 있으면서 작성한 일기로, 고위관료의 일기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벽오의 개인 생활과 생각을 읽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의 시대상과 평안도 지역의 정세를 살필수 있어 그 가치가 남다른 자료로 평가된다. ◈이시발(李時發) 본관은 경주(慶州). 로는 벽오(碧梧). 후영어은(後潁漁隱). 시호는 충익(忠翼)으로, 조선 중기의 대표적 문신(文臣)이다. 1589년 (선조 22) 증광문과에 급제한 이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크게 활약하였으며, 벼슬이 형조판서에 이르렀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뿐만 아..

서정일록(西征日錄) - 이정암 유필

서정일록(西征日錄) /이정암 유필 필자소장본[影印本] 및 국력본 ↑사류재 이정암선생의 서정일록 원문 유필(영인본 필자 소장품)입니다. 간행(1973년) : 플러스예감 李章熙(廷馣先生 十四代孫) ------------------------------------------------------------------------------------------------------------------------------------ ■ 27世 이정암(李廷馣) [생졸년] 1541년(중종 36)∼1600년(선조 33). [문 과] 명종(明宗) 16년(1561) 신유(辛酉)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9위/합격연령 : 21歲 [생원진사시] 명종(明宗) 13년(155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2등(二等) ..

감시만어(感時漫語) - 省齊 李始榮 著

구매일자 : 2012. 01. 25 감시만어(感時漫語)-省齊 李始榮 著 ↑필자소장본 ● 이시영(李始榮) (1868. 12. 3∼1953. 4. 19 ) 호는 성제(省齊) 자는 성옹(聖翁) 한국의 독립운동가. 초대부통령 서울 저동(苧洞) 사람이다. 17세 때인 1886년에 식년감시(式年監試)에 생원발해(生員發解)하여 관계에 투신한 뒤 1909년 까지 형조좌랑(刑曹佐郞),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수찬(修撰), 승정원 부승지(承政院 副承旨), 외부 교섭국장(外部交涉局長), 평남관찰사(平南觀察使), 중추원 칙임의관(中樞院 勅任議官), 한성 재판소장(漢城裁判所長), 고등법원 판사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된 뒤 그는 조국의 운명이 날로 기울어져감에 이를 만회하기 위하여 안창호(安..